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Ⅰ. 문제의 제기 1

Ⅱ. 이론적 검토 3

1. 기술수용모형(TAM) 3

2. 개인 행위자 인지적 접근: 개인 혁신성(innovativeness) 및 사회적 동형화(isomorphism) 5

3/4. 선행연구 검토 7

4/5. 서울시 대기환경정보제공서비스의 현황 8

Ⅲ. 연구설계 9

1. 연구모형 9

2. 분석방법 및 자료 10

Ⅳ. 분석결과 논의 11

1. 표본의 특성 11

2. 구조방정식 모형의 추정: 대기환경 정보제공서비스 수용요인의 경로 12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1

참고문헌 22

표목차

[표 1] 기술수용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추가 및 생략변인들과 연구대상 8

[표 2] 측정지표 11

[표 3]/[표 2] 표본의 통계적 특성 12

[표 4]/[표 ]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 13

[표 5]/[표 ]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개념 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15

[표 6]/[표 ] 상관계수와 분산추출지수 15

[표 7]/[표 ] 모형적합도 요약 16

[표 8]/[표 ] 잠재요인과 관측변수 간 경로의 유의성 검증 17

[표 9]/[표 ] 모형의 추정결과 18

[표 10]/[표 ] 효과분석결과 20

그림목차

[그림 1] 초기 기술수용모형(TAM)의 구조 4

[그림 2] 간소화된 기술수용모형(TAM) 4

[그림 3] 연구모형 10

[그림 4]/[그림 ] 전체요인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8

[그림 5]/[그림 ] 서울시 대기환경정보제공서비스의 수용모형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