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발전기 정지중 진단 및 수명평가 기술개발 : 최종보고서 / 지식경제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지식경제부,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180
제어번호
NONB1201209575
주기사항
주관기관: 한전 전력연구원
총괄책임자: 주영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11

SUMMARY 12

제1장 서론 16

제1절 기술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 16

1. 성공적인 수명평가를 위해 독자적인 건전성 진단 요소기술 확보 16

2. 발전사의 경제적인 수명평가 사업을 위해 필요 16

3. 발전기 건전성 진단기술 체계화로 수명평가 신뢰도 향상 16

제2절 국내ㆍ외 관련기술의 현황 16

1. 국외 기술현황 16

2. 국내 기술현황 18

제3절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ㆍ경제적 파급 효과 19

1. 기술적 측면 19

2. 산업ㆍ경제적 측면 19

3. 정책적 측면 19

4. 활용방안 19

제2장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20

제1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20

1. 최종목표 20

2. 평가방법 20

제2절 단계목표 및 평가 방법 20

1. 1단계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방법 20

가. 1단계 연구개발 목표 20

나. 1단계 연구개발 평가방법 21

2. 2단계 연구개발 목표 21

가. 2단계 연구개발 목표 21

나. 2단계 연구개발 평가방법 21

제3절 연차별 개발내용 및 개발범위 22

1. 1단계 1차년도 22

2. 1단계 2차년도 22

3. 1단계 3차년도 22

4. 2단계 1차년도 22

5. 2단계 2차년도 22

제3장 결과 및 사업화 계획 23

제1절 발전게 모델권선의 가속열화 시험 및 수명평가 기술 23

1. 모델권선의 가속열화 시험 및 분석 23

1.1 모델권선의 가속열화 시험 23

2.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전열진단 특성 30

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전열진단 및 절연파괴 시험결과 분석 33

3.1 35년 이상 운전된 13.8kV급 발전기 절연진단과 절연파괴 특성 33

3.2 20년 동안 운전된 13.8kV급 발전기 절연진단 특성 41

3.3 13년 동안 운전된 13.8kV급 발전기 절연진단과 절연파괴 특성 43

3.4 24kV급 발전기 절연특성 분석 52

3.5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SEM 분석 55

4. 발전기 절연열화 판정기준 정립 58

4.1 절연파괴 메카니즘 분석 58

4.2 발전기 절연열화 판정기준 제시 59

5.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진단 DB 구축 61

5.1 DB 프로그램 개발 배경 61

5.2 주요기능 61

6. 발전기 수명평가 및 기법 63

6.1 절연재료의 수명점 63

6.2 절연열화 평가법 64

6.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수명평가 기법 67

7. 결론 68

제2절 고정자철심 EL-CID 시험기법 및 판정기준 확립 71

1. 서론 71

2. 발전기 철심 구조 71

2.1 고정자 프레임 구조 및 역할 71

2.2 철심의 구조 및 역할 72

3. 발전기 철심고장 원인 74

3.1 철심의 고장요소 74

3.2 철심 손상 진행 해석 76

4. 철심 건전성 진단기법 및 판정기준 확립 78

4.1 EL-CID 시험 개요 78

4.2 EL-CID 시험 81

4.3 시험결과 및 고찰 88

5. EL-CID 장비 개발 98

5.1 감지센서 자동주행장치(Auto Traveling Trolley System) 개발 98

제3절 회전자권선 증간단락 및 지락 진단기술 확립 100

1. 서론 100

1.1 RSO 진단 원리 100

2. RSO 진단 분석 101

제4절 회전자권선 절연물 열화특성 연구 107

1. 서론 107

2. 회전자 절연물 종류 107

3. 회전자 층간절연물 손상사례 분석 110

4. 회전자 층간절연물 열화특성 분석 114

5. 결론 117

제5절 회전자 End Coil 건전성 진단기술 개발 118

1. 서론 118

2. 점검로봇 제작 118

제6절 누수 및 C-map 시험을 통한 단말권선의 누수/흡습 평가기술 확립 121

1. 서론 121

2. 발전기 고정자 권선 누수, 흡습 및 진동 특성 시험 절차서 개발 121

3. 발전기 권선 누수 시험 및 진단 124

3.1 누수 시험의 발전소 적용 및 분석 124

3.2 누설 진단 사례 1 125

3.3 누설 진단 사례 2 127

4. 발전기 권선 흡습시험 및 진단 130

4.1 가속열화시험 권선의 정전용량변화 시험 130

4.2 발전기 고정자 권선 흡습 데이터 DB 프로그램 개발 133

4.3 흡습시험의 발전소 적용 및 분석 137

4.4 흡습 진단 사례 1 139

4.5 흡습 진단 사례 2 144

5. 발전기 고정자 권선 진동 특성 DB 프로그램 개발 146

6. 결론 152

제7절 Wedge 및 Retaining Ring 초음파 시험법 확립 154

1. 지지환(Retaining Ring)의 개요 154

2. 지지환(Retaining Ring)의 결함 발생 154

2.1 발생위치 155

3. 지지환(Retaining Ring)에 대한 기존 비파괴 진단 절차 155

3.1 Visual Inspection(VI) 155

3.2 Fluorescent Penetrant Testing(FPT) 156

3.3 Eddy Current Testing(ECT) 156

3.4 Ultrasonic Testing(UT) 156

4. 위상배열초음파 검사 기술의 이론 156

5. 지지환 대비시험편 설계/제작 및 신호취득 실험 159

6. 위상배열 초음파 신호 취득 및 분석 160

7. 검사기술 개발 및 검사방법 161

8. SCC의 평가 및 결함보수 162

9. 고감쇄 재료에 대한 검사기법개발 및 결함 검출능 실험 162

10.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용 웨지 및 홀더 등 검사장치 설계/제작 163

11. 위상배열 초음파에 의한 리테이닝 링 사전 현장검사 163

12.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용 웨지 및 홀더등 검사장치 설계/제작 165

13. 발전기 리테이닝 링에 대한 현장 적용검사 및 장치 보완 167

14. 회전자 웨지에 대한 검사기법 개발 170

14.1 대비시험편 설계 및 제작 170

14.2 인공결함 설계 및 삽입 172

14.3 신호취득 및 분석용 웨지 설계 제작 174

14.4 회전자 웨지에 대한 위상배열 초음파 검사 기법 개발 방향 선정 174

15. 위상배열 초음파 진단용 웨지 및 홀더 등 검사장치 설계/제작 176

16. 결론 176

제4장 연구개발 추진체계 178

1. 기술개발 추진방법ㆍ전략 178

2. 기술개발 편성도 179

제5장 시장현황 및 사업화 전망 180

1. 시장현황 180

2. 사업화전망 180

Table 3-1-1. 고정자 바의 절연진단 결과 비교 27

Table 3-1-2. 발전기 고정자 바에서 부분방전 크기의 변화 30

Table 3-1-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특성 32

Table 3-1-4. 기존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특성 33

Table 3-1-5. 가스터빈 발전기의 정격 34

Table 3-1-6.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교류전류 특성 34

Table 3-1-7.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유전정접 및 캐패시턴스 특성 35

Table 3-1-8.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특성 37

Table 3-1-9. 가스터빈 발전기의 정격 41

Table 3-1-10. 발전기 고정자 권선에서 절연진단 결과 42

Table 3-1-11. 가스터빈 발전기의 정격 43

Table 3-1-12.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교류전류 특성 44

Table 3-1-1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유전정접 특성 46

Table 3-1-14.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진단 특성 48

Table 3-1-15.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특성 54

Table 3-1-16. 발전기 고정자 권선에서 절연진단 결과 55

Table 3-1-17.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일화 판정기준 60

Table 3-1-18. 교체된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파괴전압 60

Table 3-1-19. 발전기 절연진단 DB 개발환경 및 사양 61

Table 3-2-1. 발전기 EL-CID 시험결과표 88

Table 3-2-2. 철심 모의결함 크기와 위치 93

Table 3-4-1. slot armor 물성 110

Table 3-4-2. 발전기 회전자권선의 고장원인 분류 110

Table 3-4-3. 회전자 층간절연지 특성 115

Table 3-4-4. GE계열 발전기 회전자 증간절연지 사양 115

Table 3-5-1. 회전자 Retaining Ring 부위 규격 119

Table 3-6-1. 발전기 고정자 권선에 대한 누수 시험 결과 124

Table 3-6-2. 권선 흡습 DB 프로그램의 개발환경 및 사양 133

Table 3-6-3. 발전기 권선 진동 특성 DB 프로그램의 개발환경 및 사양 146

Table 3-7-1. 인공결함 치수 160

Fig. 3-1-1. 300MW급 발전기에서 유전정접과 전압사이의 관계 26

Fig. 3-1-2. 400MW급 발전기 전압-유전정접 그래프 28

Fig. 3-1-3. 발전기(500MW)의 tanδ-전압 특성 31

Fig. 3-1-4. 발전기(137.5MW)의 tanδ-전압 특성 31

Fig. 3-1-5. tanδ-전압 특성의 비교 32

Fig. 3-1-6. 발전기의 교류전류-전압 특성 35

Fig. 3-1-7.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tanδ-전압 특성 36

Fig. 3-1-8. 캐패시턴스-전압 특성의 비교 36

Fig. 3-1-9. G/T Gen. Spare #1 부분방전 크기 및 패턴 38

Fig. 3-1-10. G/T Gen. Spare #2 부분방전 크기 및 패턴 39

Fig. 3-1-11. G/T Gen. Spare #3 부분방전 크기 및 패턴 40

Fig. 3-1-12. Corona probe 시험결과 42

Fig. 3-1-1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결함위치 정비 43

Fig. 3-1-14. G/T Gen. #1~3의 교류전류-전압 특성 45

Fig. 3-1-15. G/T #1~3의 tanδ-전압 특성 비교 47

Fig. 3-1-16. G/T Gen. #1 고정자 권선 49

Fig. 3-1-17. G/T Gen. #1~3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패턴 및 크기 52

Fig. 3-1-18. 발전기의 교류전류-전압 특성 53

Fig. 3-1-19. 발전기의 tanδ-전압 특성 54

Fig. 3-1-20.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크기 및 패턴 55

Fig. 3-1-21. 공기와 수소중에서 열화된 고정자 권선의 SEM 사진 57

Fig. 3-1-22. 장기간 운전되니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SEM 사진 57

Fig. 3-1-23.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tanδ-전압 특성 58

Fig. 3-1-24. 유전정접 시험결과 검색화면 62

Fig. 3-1-25. D-map법에 의한 잔존수명 평가 화면 62

Fig. 3-1-26. 유전정접의 추이분석 화면 63

Fig. 3-1-27. 신뢰성 곡선 64

Fig. 3-1-28. NY-map 65

Fig. 3-1-29. D-map 66

Fig. 3-2-1. 고정자 철심 프레임 구조 71

Fig. 3-2-2. 외부 고정자 케이싱 72

Fig. 3-2-3. 고정자 철심 72

Fig. 3-2-4. 발전기 철심 제작 흐름도 73

Fig. 3-2-5. 발전기 철심 제작 주요공정 73

Fig. 3-2-6. 철심 적층 74

Fig. 3-2-7. 철심 단부 74

Fig. 3-2-8. 철심단면 개략도 75

Fig. 3-2-9. 전자석에 의한 철심진동, 변형 75

Fig. 3-2-10. 밀봉유 유입에 의한 철심이완 및 손상 75

Fig. 3-2-11. 와셔발견(발전기 내부) 76

Fig. 3-2-12. 이물질 충격 철심손상 76

Fig. 3-2-13. 고정자 Wedge 이탈로 인한 철심 손상 76

Fig. 3-2-14. 철심손상 진행특성 77

Fig. 3-2-15. 철심 표면손상 진행에 의한 철심응용 77

Fig. 3-2-16. 철심 여자권선과 자로 78

Fig. 3-2-17. 여자자속 인가 82

Fig. 3-2-18. 건전철심 자속배분 및 위상 82

Fig. 3-2-19. 손상철심 자속배분 및 위상 83

Fig. 3-2-20. Chattock 전위계의 고정자철심 표면에 놓이는 위치 83

Fig. 3-2-21. 여자 자장세기에 대한 각 AT 및 검출신호 MPD 크기 84

Fig. 3-2-22. 철심시험 장비 85

Fig. 3-2-23. 저 자속 철심시험 구성도 86

Fig. 3-2-24. EL-CID 시험 및 철심표면 스캔 경로 86

Fig. 3-2-25. 발전기 철심표면 결함파형 검출 예 87

Fig. 3-2-26. 철심 상태가 건전한 발전기 EL-CID 취득 파형(신인천 #10ST) 89

Fig. 3-2-27. 보령복합 발전기 철심 EL-CID 시험결과('06. 10월) 89

Fig. 3-2-28. 보령화력 #6GT 발전기 철심 EL-CID 측정파형 90

Fig. 3-2-29. 북제주기력 #2 고정자철심 EL-CID 취득 파형 90

Fig. 3-2-30. 철심결합 정비 부위의 신호 파형(포스코파워 #9GT) 91

Fig. 3-2-31. 철심결합 정비 부위의 신호 파형(신인천복합 #10GT) 91

Fig. 3-2-32. 시험용 모의 결함 철심 92

Fig. 3-2-33. 철심 모의결함 위치 및 시험 93

Fig. 3-2-34. 모의결함부 고장전류(EL-CID) 파형 및 크기(4% 지속) 94

Fig. 3-2-35. 각 모의결함 부위의 고장전류(EL-CID) 파형측정(2차) 95

Fig. 3-2-36. A, D 철심 결함부의 인가자속 크기와 온도상승치 95

Fig. 3-2-37. B, C 철심 결함부의 인가자속 크기와 온도상승치 96

Fig. 3-2-38. E, F 철심 결함부의 인가자속 크기와 온도상승치 96

Fig. 3-2-39. 철심 모의결함부('A, B'부위) 유도전류에 의한 온도상승 97

Fig. 3-2-40. 철심점검 Trolley 장치(수동식) 98

Fig. 3-2-41. 자동주행식 철심점검 Trolley 시제품 99

Fig. 3-2-42. Trolley 시제품 주행시험 및 보완 99

Fig. 3-3-1. 선로 진행파 특성 100

Fig. 3-3-2. RSO 시험 결선도 100

Fig. 3-3-3. 스코프 1에 표시된 기본 파형 101

Fig. 3-3-4. 임피던스가 매칭된 기본파형 102

Fig. 3-3-5. 서인천복합 회전자 RSO 자료(부분) 102

Fig. 3-3-6. 평택복합 회전자 RSO 자료(부분) 102

Fig. 3-3-7. 회전자 층간단락 크기에 따른 RSO 파형변화(2턴단락→5턴단락) 103

Fig. 3-3-8. 회전자 층간단락 위치에 따른 RSO 파형변화(1번코일→2번코일) 103

Fig. 3-3-9. 서인천복합 발전기 회전자 구조 103

Fig. 3-3-10. 회전자권선 층간단락 파형 104

Fig. 3-3-11. 층간단락 위치 이동(좌로부터 2, 4, 6번 코일 동일위치 층간단락) 104

Fig. 3-3-12. 층간단락 층수 증가에 따른 면적 형상 변화(증가됨) 105

Fig. 3-3-13. 코일간 층간단락에 의한 RSO 파형 105

Fig. 3-3-14. 코일간 층간단락에 의한 RSO 파형 106

Fig. 3-4-1. 여러 발전기의 회전자 슬롯내 권선 및 절연지 설치 구조 108

Fig. 3-4-2. 여러 층간절연지 109

Fig. 3-4-3. 층간절연지의 물성 109

Fig. 3-4-4. 발전기 회전자 고장원인별 분석 111

Fig. 3-4-5. 발전기 회전자 운전 년수별 고장율 112

Fig. 3-4-6. 발전기 회전자 절연물 교체사례(국내/좌, 히타치/우) 112

Fig. 3-4-7. 발전기 회전자 절연물 손상사례(마찰 및 Fretting 손상) 113

Fig. 3-4-8. 제작사별 회전자 고장유형 분석(ABB) 113

Fig. 3-4-9. 제작사별 회전자 고장유형 분석(GE) 113

Fig. 3-4-10. 제작사별 회전자 고장유형 분석(BRUSH) 114

Fig. 3-4-11. 특성 분석용 회전자 층간절연지 샘플 116

Fig. 3-4-12. 층간절연지 사용년수에 따른 인장강도 116

Fig. 3-5-1. Retaining Ring 제거 전(좌), 후(우) 118

Fig. 3-5-2. 회전자 Retaining Ring의 구조 119

Fig. 3-5-3. 점검로봇 시제품 및 개선품(우) 시험 120

Fig. 3-6-1. 발전기고장 권선에 대한 기계적 건정성시험 표준문서화(전력연구원) 122

Fig. 3-6-2. 발전기 고정자 권선 누수 및 흡습 시험 절차서(계속) 122

Fig. 3-6-3. 발전기 고정자 권선 누수 및 흡습 시험 절차서(발전회사) 123

Fig. 3-6-4. 발전기 고정자 권선 진동 특성 시험 절차서(발전회사) 123

Fig. 3-6-5. 발전기 고정자 권선 누수 시험 사례 125

Fig. 3-6-6.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압력강하시험 데이터(2009년 5월) 126

Fig. 3-6-7.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압력강하시험 데이터(2010년 4월) 126

Fig. 3-6-8. 헬륨 추적 시험 결과 127

Fig. 3-6-9. 권선 누설처 보수 후의 압력 강하 시험 결과(Pass) 127

Fig. 3-6-10. 진공 및 압력 강하 시험 모습 128

Fig. 3-6-11. 진공 저하 시험 결과(Fail) 128

Fig. 3-6-12. 압력 강하 시험 결과(Fail) 129

Fig. 3-6-13. 헬륨가스 추적 시험 129

Fig. 3-6-14. 누설처 확인 시험(bubble test) 130

Fig. 3-6-15. 가속열화시험 중인 권선에 대한 흡습 시험 131

Fig. 3-6-16. 가속열화시험을 위한 냉각수 유동 장치 및 전압조절장치 131

Fig. 3-6-17. 가속열화 시험권선의 정전용량 변화(30℃, 계속) 131

Fig. 3-6-18. 가속열화 시험권선의 정전용량 변화(30℃) 132

Fig. 3-6-19. 발전기 권선데이터 흡습 DB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 구성 133

Fig. 3-6-20. 흡습 데이터 DB 기초 자료 134

Fig. 3-6-21. 일반 측정 및 정밀 흡습 측정 데이터 134

Fig. 3-6-22. 흡습 데이터의 upload window 135

Fig. 3-6-23. 흡습데이터로부터 통계처리되어 분석된 결과 135

Fig. 3-6-24. 다양한 통계적 방법에 의한 흡습 진단 결과 136

Fig. 3-6-25. 정규 분포에 의한 흡습 진단 결과 136

Fig. 3-6-26. 주기적으로 누적 관리되고 있는 발전기 권선의 정전용량 분포 경향 137

Fig. 3-6-27. 발전기 권선의 정전용량 분포를 통한 정밀 흡습 진단 137

Fig. 3-6-28. 발전기 고정자 권선 흡습 시험 사례 138

Fig. 3-6-29. 소형 흡습 센서를 이용한 흡습 측정 위치 138

Fig. 3-6-30. 소형 흡습 센서를 이용한 흡습 시험 장면 139

Fig. 3-6-31.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구조 및 정전용량 측정위치 139

Fig. 3-6-32. 'E' 화력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흡습 시험 결과(2006 vs. 2009) 140

Fig. 3-6-33. 'E' 화력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흡습 시험 결과(2006 vs. 2009) 140

Fig. 3-6-34. 'E' 화력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흡습 시험 결과(2006 vs. 2009) 141

Fig. 3-6-35. 여자기측 상부 및 하부권선에 대한 정전용량변화 트렌드(2006 vs. 2009) 141

Fig. 3-6-36. 여자기측 상부 및 하부권선에 대한 정전용량변화 트렌드(2006 vs. 2009) 142

Fig. 3-6-37.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위치별 정전용량 측정 142

Fig. 3-6-38.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위치별 정전용량 143

Fig. 3-6-39. 여자기측 상부 3, 40번 권선의 위치별 정밀 흡습 시험 결과 144

Fig. 3-6-40. 여자기측 하부권선 안쪽부분에 대한 흡습 진단 145

Fig. 3-6-41. 여자기측 하부권선 안쪽부분에 대한 정전용량 트렌드(2006 vs. 2010) 145

Fig. 3-6-42. 남동, 남부, 동서, 서부, 중부발전의 발전기 고정자 진동 DB 147

Fig. 3-6-43. 발전기 고정자에 대한 선형성 시험 결과 147

Fig. 3-6-44. 발전기 고정자 권선에 대한 주파수 응답 시험 결과 147

Fig. 3-6-45.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강성 보장 전ㆍ후의 진동 특성 데이터 비교 148

Fig. 3-6-46. 발전기 고정자 여자기측(CE)에 진동 모드 시험 결과 148

Fig. 3-6-47. 발전기 고정자 철심에 대한 진동 모드 시험 결과 149

Fig. 3-6-48. 발전원별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주파수응답 특성 데이터 비교 150

Fig. 3-6-49. 발전원별 발전기 고정자 단말부에 대한 진동모드 DB 151

Fig. 3-7-1. 발전기 설비의 열화과정 154

Fig. 3-7-2. 지지환의 일반적 균열발생 위치 155

Fig. 3-7-3. 18Mn-5Cr강 지지환의 SCC 156

Fig. 3-7-4. Design of multiple element linear array 157

Fig. 3-7-5. phased array 빔 진행 모드 158

Fig. 3-7-6. Various type of Phased Array scanning mode 159

Fig. 3-7-7. 발전기 지지환의 실제도면 159

Fig. 3-7-8. 리테이닝 링 대비시험편 측정도 160

Fig. 3-7-9. 리테이닝 링 대비시험편 정면도 160

Fig. 3-7-10. 단부 및 저부 결함검사 모습 160

Fig. 3-7-11. 저면 건전부 위상배열 신호 160

Fig. 3-7-12. 단부 위상배열 신호 161

Fig. 3-7-13. 단부 위상배열 신호 161

Fig. 3-7-14. 각 부위별 탐상방법 161

Fig. 3-7-15. 로타 웨지 대비시험편 인공결함 설계도 162

Fig. 3-7-16. 신호취득 대비시험편 163

Fig. 3-7-17. 신호취득 시험 163

Fig. 3-7-18. 결함초음파 검사용 각종 웨지 163

Fig. 3-7-19. 신인천복합 리테이닝 링 164

Fig. 3-7-20. 리테이닝 링에 대한 검사모습 164

Fig. 3-7-21. 리테이닝 링에 대한 신호 분석 164

Fig. 3-7-22. 리테이닝 링에 대한 신호 취득 164

Fig. 3-7-23. 내부단부에 대한 신호 취득(가로) 164

Fig. 3-7-24. 내부단부에 대한 신호 취득(세로) 164

Fig. 3-7-25. 검사장치 측면도 165

Fig. 3-7-26. 센서지그 부착 대차 좌측면도 165

Fig. 3-7-27. 검사장치 개념도 165

Fig. 3-7-28. 센서지그 부착 대차 좌측면도 166

Fig. 3-7-29. 센서지그 부착 대차 정면도 166

Fig. 3-7-30. 회전대차 조정장치 166

Fig. 3-7-31. 자동검사장치 체결모습 167

Fig. 3-7-32. 자동검사장치 체결 세부모습 167

Fig. 3-7-33. 자동검사장치 콘트롤러 167

Fig. 3-7-34. 자동검사장치 구동 테스트 167

Fig. 3-7-35. 리테이닝 자동 검사장치 개선 및 보완 장치의 모식도 168

Fig. 3-7-36. 리테이닝 링 자동 검사장치(개선 및 보완) 168

Fig. 3-7-37. 리테이닝 링 자동 검사장치 현장거치 모습 169

Fig. 3-7-38. 리테이닝 링 자동 검사장치 자동 검사 모습 169

Fig. 3-7-39. 리테이닝 링 자동 검사장치 수동 검사 모습 169

Fig. 3-7-40. 리테이닝 링 자동 검사모습 세부 확대도 170

Fig. 3-7-41.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170

Fig. 3-7-42.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170

Fig. 3-7-43.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인공결함 설계도 171

Fig. 3-7-44.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인공결함 설계도 171

Fig. 3-7-45.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인공결함 설계도 172

Fig. 3-7-46.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인공결함 설계도 173

Fig. 3-7-47. 회전자 웨지 대비시편 인공결함 설계도(베릴리움 등 소재 시편) 173

Fig. 3-7-48. 대비시험편 176

Fig. 3-7-49. 결함방향에 따른 탐상각 176

Fig. 3-7-50. 결함초음파 검사용 각종 웨지 176

Fig. 3-7-51. 결함검사용 스캐너 콘트롤러 176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