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요약 2

Ⅰ. 북한정권의 향방 및 문화계 동향 4

1. 김정은 체제 전망 4

1) 김정일 사후, 현 시점에서 김정은 체제가 국내외적으로 작동 중 4

2) 2012년 김정은 체제 전망: ‘후견체제’와 ‘유훈통치’ 4

2. 김정은 시대의 북한 문화계 전망 6

1) 김정일 시대의 ‘선군정치’의 지속과 함께 ‘선군문학예술’ 지속 전망 6

2) 주체예술 이전의 예술작품 복권 경향도 지속될 것으로 보임 7

3) ‘한류’에 대한 통제 예상 7

Ⅱ. 국제정세와 남북관계 8

1. 한반도 정세 8

1) 국제정세: 북한 불확실성 해소에 협력하면서 영향력 증대를 위한 각축 8

2) 한국의 대북정책 8

2. 남북관계 전망 9

1) 無대화 無도발 vs 국지적 도발 9

2) 2012년 남북관계 돌파구는 없을 것이나 2013년을 대비한 유연화 정책이 예상됨 9

Ⅲ. 문화교류와 문화정책의 대응 10

1. 남북 문화교류 전망 10

1) 2011년 하반기: 북한과의 사회문화교류에 선별적인 승인 10

2) ‘5.24조치’ 해제가 없는 한 본격적인 문화교류의 복원 및 활성화는 어려움 10

3) 북한의 2012년 4월 행사가 남북 문화교류의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음 10

4) 2013년 이후 남북문화교류 활성화 가능성 10

2. 문화정책적 대응방안 11

1) 남북관계 개선에 대응하는 전략 수립 11

2)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문화분야 종합계획 수립 11

[부록] 김정일 사망의 관광분야 영향 조사 12

1. 김정일 사망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12

2. 인바운드 여행사 대상 조사 실시 12

부록표목차

[표] 인바운드 여행사의 예약 현황 및 변화 전망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