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장애인 관련법 개정(안) 분석 -제18대 국회를 중심으로- / 김용탁 4
요약 6
Ⅰ. 논의 배경 7
Ⅱ. 현황 9
1. 장애인 관련법 개요 9
2. 18대 국회 법 개정 현황 11
3. 장애인 국회의원 현황 12
Ⅲ. 법개정(안) 내용 분석 13
1. 법개정(안) 주요 내용 13
2. 특징 20
Ⅳ. 법개정 발의 네트워크 분석 22
1. 대표 발의 분석 22
2. 공동 발의 분석 26
3. 대표발의 - 공동 발의 관계 30
Ⅴ. 시사점 39
1. 장애인 국회의원의 증가와 관련 법안 발의의 증가 39
2. 장애인 관련 이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필요 40
3. 의미 41
참고문헌 42
주요국 (중증)장애인 고용서비스 현황 / 남용현;심진예;전영환 43
요약 45
Ⅰ. OECD 장애인 고용정책 최근 동향 46
1. OECD 국가의 복지정책 개혁 방향 46
2. OECD 국가의 장애인복지ㆍ고용 패러다임 변화 46
3. 주요 OECD 국가들의 장애인 고용정책 최근 동향 47
Ⅱ. 주요국 중증장애인 고용서비스 현황 49
1. 중증장애인 대상 주요 고용서비스ㆍ프로그램 49
2.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51
3.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한 범국가적 프로젝트(독일) 51
4.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52
Ⅲ. 시사점 53
1. OECD 주요국 장애인 고용정책 최근 동향의 시사점 53
2. 중증장애인 고용창출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규모 프로젝트 전개 필요 54
3. 정부 주도형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모델 개발 55
4.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55
Ⅳ/Ⅲ. 참고자료: 주요국 (중증)장애인 고용서비스 55
1. 영국 55
2. 미국 60
3. 호주 66
4. 독일 70
5. 스웨덴 79
6. 노르웨이 82
7. 핀란드 85
8. 덴마크 88
주요 국가들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 남용현 92
요약 93
Ⅰ. 주요 국가들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개요 94
Ⅱ. 각국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95
1. 영국 95
2. 미국 97
3. 호주 100
4. 독일 102
5. 프랑스 103
6. 일본 106
참고문헌 109
외국의 장애인을 위한 근로유인정책 / 남용현 110
요약 111
Ⅰ/Ⅱ. 머리말 112
Ⅱ/Ⅲ. 외국의 장애인을 위한 근로유인정책 113
Ⅲ/Ⅳ. 맺음말 118
참고문헌 120
몽골의 장애인 고용 및 복지 정책 개관 / 심진예 121
요약 122
Ⅰ. 장애인 정의 및 현황 123
1. 장애인 정의 123
2. 장애인구 현황 123
3.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125
Ⅱ. 장애인 고용 및 복지 관련 주요 조직과 업무 125
1. 사회복지노동부(Ministry of Social Welfare and Labour) 125
2. 노동사회복지청(Labour and Social Welfare Service Office) 126
3. 중앙노동센터(Labour Exchange Center Office) 129
4. 국립재활센터(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129
5. 국가사회보험청(State Social Insurance General Office) 130
Ⅲ. 장애인 고용 제도 130
참고문헌 132
중고령 장애인의 은퇴 특성과 은퇴 후 만족도 연구 / 심진예;이민영 133
요약 134
Ⅰ. 서론 135
1. 연구목적 135
Ⅱ. 연구방법 137
1. 분석자료 137
2. 분석변수 137
Ⅲ. 분석결과 139
1. 장애인의 은퇴 특성 139
2. 장애인의 은퇴 후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145
Ⅳ. 결론 및 제언 149
참고문헌 151
장애인의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김용탁;구인순 152
요약 154
Ⅰ. 서론 155
Ⅱ. 이론적 배경 157
1. 인구사회학적 요인 158
2. 장애 요인 159
3. 편의요인 160
4. 사회적 요인 160
5. 이전 직장 요인재취업에 있어서 이전 160
Ⅲ. 연구 방법 161
1. 분석 대상 161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62
3. 분석 방법 164
Ⅳ. 분석 결과 165
1. 조사대상자의 특성 165
2. 재취업 결정 요인 및 성별 분석 168
Ⅴ. 결론 180
참고문헌 183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참가자 직업능력평가 분석 / 이민영 185
요약 187
Ⅰ. 서론 188
1. 공단의 직업능력평가 188
2. 커리어점프 장애학생 희망일자리 만들기 189
3.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에서의 직업능력평가 190
Ⅱ. 연구 방법 191
1. 분석 대상 191
2. 직업능력평가 도구 선정 및 실시 192
Ⅲ. 분석 결과 194
1.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의 평가 도구별 결과 194
2. 취업여부에 따른 평가 도구별 결과 195
3. 직업능력평가 결과와 취업여부 비교 203
Ⅳ. 결론 205
참고문헌 207
[부록1] 기사보조ㆍ교무보조 선발기준 체크리스트 208
[부록2] 사서보조 선발기준 체크리스트 211
[부록3] 수시과제목록(2009~2012) 214
주요 국가들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92
[그림 1] 영국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96
[그림 2] 미국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98
[그림 3] 호주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101
[그림 4] 독일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103
[그림 5] 프랑스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106
[그림 6] 일본의 장애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108
몽골의 장애인 고용 및 복지 정책 개관 121
[그림] 몽골의 사회복지노동부 조직 126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참가자 직업능력평가 분석 185
[그림 1]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프로젝트 진행 과정 189
[그림 2] 커리어점프 희망일자리 서비스 및 참여 인원 195
[그림 3] 직업능력평가 결과와 서비스 흐름 및 취업여부 비교 20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