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개회식 주제강연 10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체계의 종합적 고찰 / 신효숙 10

Ⅰ. 탈북청소년과 ‘함께 살아가는 연습하기’ 10

Ⅱ. 탈북청소년의 교육 배경 13

Ⅲ. 교육지원 체계와 현황 23

Ⅳ. 함께 사는 미래를 위한 교육지원 과제 35

참고문헌 40

제1부. 게임으로 배우는 통일교육 41

게임으로 배우는 통일교육 / 김성학;오현주 (내용누락) 41

제2부. 탈북학생ㆍ학무모 사례발표 42

새 삶은 대한민국에서 / 박영란 42

1. 삶의 전환점 42

2. 북한교사 생활 15년을 돌이켜 볼 때 44

3. 한국 정착생활 45

4. 사랑의 결실 48

나는 새터민입니다 / 마성훈 54

제3부. 분임토의: 탈북교사ㆍ탈북학생과의 대화 60

통일의 미래를 가르치는 교단에 서다 / 박금주 60

1. 얼굴도 모르는 할아버지 때문에 달린 꼬리표 60

2. 북한사회의 생활 61

3/2. 북한에서 중국 → 태국 → 대한민국 입국까지 68

4/3. 통일의 미래를 가르치는 교단에 서다. 71

나는 한국에 유학 온 탈북대학생 / 박은아 74

1. 북한생활 - 행복과 아픔이 공존하는 어린 시절 74

2. 중국생활 - 탈북과 북송, 그리고 대한민국 76

3. 한국생활 - 중3편입에서 대입 검정고시까지 78

4. 대학생활 - 탈북대학생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81

탈북교사 본 남북한 교육문화 / 장세율 84

1. 북한 생활과 탈북 동기 84

2. 입국 경로와 남한 생활 88

선생님이 우리의 희망입니다 / 김은주 92

1. 북한에서의 학교생활 92

2. 얼어붙은 두만강을 넘다 93

3. 남한에서의 학교생활 95

4. 절대적 적응 요인 : 선생님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 97

5. 탈북학생을 마주하시게 될 선생님들께 99

탈북교사의 도전과 정복 / 김경희 100

들어가는 말 100

1. 북한에서의 교육 및 교사로서의 경험 101

2. 도전과 정복 107

3.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한국사회 적응문제 113

4. 북한이탈주민자녀의 건강한 정착과 개선방향 114

5. 미리 온 통일미래-탈북자 116

선생님의 사랑과 꿈꾸는 통일한국 / 양진혁 118

제4부. 탈북청소년 초기 적응교육 현황 124

Ⅰ. 하나원 하나둘학교 운영 현황 (내용누락) 124

Ⅱ. 하나원 하나둘학교 교사와의 간담회 (내용누락) 125

제5부. 탈북청소년 교육 특성화학교 현장 탐방 126

한겨례중고등학교 운영 및 지도 현황 / 곽종문 126

Ⅰ. 한겨레중고등학교 학생실태 분석 126

Ⅱ. 입국 초기 학교 적응을 위한 방안 모색 134

Ⅲ. 학생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139

Ⅳ. 한겨레중고등학교의 향후 중점 운영 계획 151

Ⅴ. 제언 : 관리자 및 학교의 역할 156

제6부. 탈북학생 상담사례 및 상담 방법 157

탈북청소년 상담 사례 및 상담 방법 / 김현아 157

Ⅰ. 탈북 청소년의 호소문제와 상담요령 157

Ⅱ. 탈북 청소년과의 언어소통 163

Ⅲ. 탈북 청소년과의 상담실제 167

제7부. 학교급별 분임토의 170

초등학교 탈북학생 지도의 실제 / 배은자 170

요약 170

Ⅰ. 마음열기 173

Ⅱ. 준비하기 174

Ⅲ. 나아가기 179

Ⅳ. 마무리하며 190

[부록] 북한 어린이의 생활 모습을 알고 탈북청소년을 이해함 193

중학교 탈북학생 지도의 실제 / 이돈집 199

Ⅰ. 탈북학생의 학교적응에서의 문제점과 지도방안 199

Ⅱ. 탈북학생의 학교적응 대책과 방안 207

Ⅲ. A 중학교의 사례 212

Ⅳ. 탈북학생 지도에 관한 제언 218

고등학교 탈북학생 지도의 실제 / 박소라 223

Ⅰ. 지도 목적 224

Ⅱ. 지도 계획 수립 224

Ⅲ. 지도 내용 및 방법 225

Ⅳ. 지도 효과 227

Ⅴ. 지도 소감 228

제8부. 탈북청소년 적응교육과 통일 235

탈북청소년 적응교육과 통일 / 조용관 (내용누락) 235

제9부. 남북한 교육통합 방안 세미나 236

통일에 대비한 교육통합의 방향과 과제 / 한만길 236

1. 문제제기 236

2. 통합에 대한 접근 방향 237

3. 독일통일의 과정과 의미 241

4. 북한 변화 시나리오와 교육통합 243

5. 교육분야 교류협력의 증진을 통한 접근 246

6. 통일에 대비한 교육통합의 과제 248

7. 맺음말 : 통일교육의 쟁점에 대하여 250

[부록] 2011 인천권 통일교육 및 탈북학생 담당교사 심화연수 참석자 명단 253

판권기 254

표목차

개회식 주제강연 -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체계의 종합적 고찰 15

[표 1] 탈북청소년의 중국을 포함한 제3국 체류 기간 15

[표 2] 탈북주민의 연도별 입국 현황 19

[표 3] 탈북주민의 연령별 입국 현황 20

[표 4] 탈북청소년의 취학 현황 21

[표 5] 남북한 학제 비교 21

[표 6]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청소년의 학령-학년 간 차이 22

[표 7] 탈북청소년 연도별 중도탈락률 추이 22

[표 8] 탈북학생과 남한학생의 기초학력평가 결과 30

[표 9] 탈북청소년 교육 관련 민간단체 현황 34

제5부. 한겨레중고등학교 운영 및 지도 현황 127

[표 1] 북한출신지역 127

[표 2] 탈북 당시 북한의 학력 128

[표 3] 한겨레학교 연령별 북한 학교 최종 수학 기간 현황 130

[표 4] 가족 관계 131

[표 5] 북한에서의 부모직업 132

[표 6] 입국 과정에서 부모님과 떨어진 횟수 133

그림목차

개회식 주제강연 -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체계의 종합적 고찰 17

[그림 1] 취업자의 취업형태 17

[그림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한 생계비 수급 여부 18

[그림 3] 월 평균 가구 소득 18

[그림 4] 탈북청소년 교육지원 체계 24

제5부. 한겨레중고등학교 운영 및 지도 현황 129

[그림 1] 입국기간 129

[그림 2] 정착지원 중심학교 운영 체계도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