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모시는 글 3
개회사 / 박재완 5
환영사 / 원유철 6
축사 / 강창희;최경환;이완영 8
기조연설 : 21세기 새로운 통일정책 패러다임 '북한의 정상국가화' / 박세일 12
주제발표 Ⅰ. 왜 북한의 정상국가화인가? 17
발제문 / 조영기 18
Ⅰ. 북한체제의 비정상성 18
1. 유일사상체계에 의한 세습체제의 구축 18
2. 통치구조의 비민주성 21
3. 독재자(정권) 위주의 경제운용 22
4. 국제규범을 일탈한 불량국가(Rouge State) 24
Ⅱ. 북한체제의 정상화, 왜 필요한가? 26
1. 북한의 정상국가화의 의미 26
2. 정상국가의 바람직한 모습: 근대국가 27
Ⅲ. 북한의 정상국가화를 위한 과제 32
토론문 / 정낙근 34
1. 생각해볼 문제 34
2. 무엇이 '정상국가'인가? 35
3. 북한체제의 '진화'가 필요하다! 35
4. 북한경제의 '진화'를 위한 방안 35
주제발표 Ⅱ. 북한의 정상국가화, 무엇이 필요한가? 36
발제문 / 박용옥 37
1. 북한은 어떤 의미에서 비정상적인가? 37
2. 북한을 왜 정상국가화 해야 하나? 38
3. 어떤 대북정책이 필요한가? 39
4. 우리에게 어떤 방법과 수단이 있는가? 41
5. 무엇부터 해야 하나? 43
토론문 / 박휘락 46
주제발표 Ⅲ. 북한의 정상국가화,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49
발제문 / 김석우 50
1. 북한이 공산주의 70년 실패역사의 예외가 될 수 있는가? - 아니다. 50
2. 북한 정권의 수명이 지금까지 연장되어온 이유 50
3. 북한의 정상국가화-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추진 방안) 51
4. 결어 : 북한 정상국가화 노력의 기대효과 53
토론문 / 남궁영 55
1. 역사상 공산국가의 부패와 실정은 필연적 결과, 북한 예외일 수 없음 55
2. '정상국가'의 의미부터 명확히 해야 55
3. 김정은 정권에게 정상국가 이행은 '독이 든 사과' 55
4. '정상국가' 이행을 위한 대북지원이 돼야 56
5. 북한인권법 제정 서둘러야 56
참고자료 58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모임』 의원 현황 59
『통일을 여는 국회의원모임』자문위원 현황 6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