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NCS 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개편 및 적용 계획(안) / 김대관 4

Ⅰ. 추진 배경ㆍ목적 및 경과 7

Ⅱ. 추진체계 및 적용 일정 8

Ⅲ. 주요 추진 계획 10

1. 교육과정 개정 11

2. 운영역량 강화 13

3. 여건 마련 16

Ⅳ. 향후 추진 일정 20

[붙임 1]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주요 내용 21

[참고]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교과목 구성(안) 24

[붙임 2] NCS 능력단위 성취평가 결과 NEIS 입력 방법 29

2. NCS 학습모듈 활용 지원 사업 운영 방안 / 김지영 31

「NCS 학습모듈 활용 지원 사업」개요 32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2

2. 사업 추진 주체별 역할 분담 32

3. 결과 활용 33

4. 기대 효과 33

「NCS 학습모듈 활용 지원 사업」운영계획서 작성 방법(예시) 34

Ⅰ. 운영 개요 34

Ⅱ. 운영방법 35

Ⅲ. 운영 계획 35

3. NCS 학습모듈 활용 방법 / 박기철 38

교육 VS. 훈련 40

지금까지의 수업 40

모듈이란? 41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란? 41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구조 42

NCS의 구성 항목 42

NCS-학습모듈-교육과정의 관계 43

NCS 학습모듈의 구성 체계 43

NCS와 학습모듈의 연결 체계 44

NCS와 학습모듁의 연결 체계(사례) 44

NCS 학습모듈 개발의 기본 방향 45

NCS 학습모듈의 활용 45

NCS 학습모듈의 이해와 개발 절차 46

NCS 학습모듈의 활용 46

NCS와 자격, 교육과정의 체계 47

NCS기반중등 직업교육과정의 핵심 47

NCS기반 직업교육과정과 현행 계열 48

NCS기반 중등 직업교육과정의 적용 48

NCS 학습모듈의 적용 과정 49

사례 1 - 경영ㆍ회계ㆍ사무ㆍ금융 교과군 49

교과서 선정 50

학과별 전망 분석 50

자격 현황 분석 51

인력양성 유형 설정 51

인력양성유형 관련 능력단위 선정 52

회계정보처리시스템 교과목 프로파일 52

교과프로파일 - NCS연계표 53

SW개발과 - 앱프로그래밍교과 능력단위 도출 53

앱프로그래밍 교과 NCS연계표 54

NCS학습모듈 준비 54

NCS학습모듈 다운로드(http://www.ncs.go.kr) 55

수업에 학습모듈 활용 56

성취기준ㆍ성취수준 작성 58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안) 58

전자제어과 직무 모형(안) - 사례(일부) 59

교과목별 능력단위 행렬표 59

NCS 활용패키지-평생경력개발경로 60

직무기술서 예시 61

채용ㆍ배치ㆍ승진 체크리스트 예시 61

자가진단도구 예시 62

4. '14년 수업연구회 우수사례 발표 및 질의응답 63

NCS기반 수업연구회 사례(프로젝트 융합수업) / 우연재 64

1. NCS 수업 적용을 위한 연구 방안 탐색 64

2. NCS 기반 수업연구의 실제 66

3. NCS 수업연구회에 대한 제언 77

NCS 학습모듈 활용 수업연구회 운영결과(2014년) / 여순호 79

Ⅰ. 연구의 목적 81

Ⅱ. 연구회 구성 81

Ⅲ. 추진 일정 82

Ⅳ. 연구 과정 82

Ⅴ. 활동 결과 83

1. 수업적용 세부 분야 83

2. 각 계열별 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84

농ㆍ생명 산업/가사ㆍ실업/수산ㆍ해운 84

공업 계열 84

상업정보 계열 87

Ⅵ. 개발 및 수업적용 결과 예시(디자인-시각디자인-비주얼 아이데이션) 88

1. 교육과정 운영계획서 88

2. 교과목프로파일 및 운영 로드맵 90

3. 교수-학습설계서 93

Ⅰ. 단원의 연구 94

Ⅱ. 본시 수업 계획 99

NCS 적용 사례 : 자동차 정비검사 / 이용표 104

1. NCS 학습모듈검색 104

2. 자동차 정비 분야 평생 경력개발 경로 105

3. NCS 세분류 vs 현 교과명 105

4. NCS 세분류 이수시간 vs. 현 교육과정 이수시간 106

5/4. NCS 세분류 능력단위별 vs. 현 교과 대단원 106

6/4. 현 교과목 편제 107

7/5. 세분류 : 정비검사 능력단위 108

8/6. 능력단위별 훈련기준 및 훈련시간 109

9/6. 자동차 정비검사 교육과정 구성(안) 109

10/7. 수업적용 110

동일성 확인 110

경유차량 무부하 매연 검사 110

가솔린 차량 배출가스 검사 111

11/8. 배움 중심 수업 112

12/8. 배움이 일어나는 교실 113

13/9. 결론 114

5. 참고자료 116

[참고자료 1] NCS 및 학습모듈 개발 현황 117

[참고자료 2] NCS 기계분야 능력단위교재 집필 현황-한국산업인력공단 136

[참고자료 3] 교육과정 개발 적용 사례 150

[참고자료 4] 교수학습지도안 사례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