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동아시아 경제협력 Initiative [전자자료]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 협동연구총서 ; 15-04-01
면수
323
제어번호
NONB120151510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산업연구원
연구책임자: 고준성
영문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요약 3

Abstract 15

제1부 동남아시아(ASEAN) 및 동아시아 3국 대상 경제산업협력 Initiative 모색 29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0

제2절 연구의 목적, 범위 및 방법 31

제2장 우리의 Post-China 시대의 새로운 경제협력 대상으로서의 ASEAN 및 회원국의 경제 위상 및 현황 34

제1절 세계 경제에서의 ASEAN의 위상 및 특징 34

1. 세계 경제에서의 ASEAN의 비중 현황 및 추이 34

2. ASEAN 경제ㆍ산업의 특징 37

제2절 ASEAN의 경제및 산업 등 현황 39

1. 회원국별 경제및 주요 산업별 현황 39

2. 회원국별 대외무역과 외국인직접투자의 현황 및 추이 44

제3절 협력 대상 ASEAN 개별 회원국의 구분 및 의의 48

1. 경제발전 수준에 따른 구분 : 발전 개도국 vs. 최빈개도국 48

2. 우리와의 경제협력 증대 유망성에 따른 구분 : 우선 협력 대상 회원국 vs. 장기협력 대상 회원국 50

제3장 동아시아 경제협력 Initiative 추진을 위한 경제 산업 협력 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모색 51

제1절 한국과 동아시아 개도국 간 경제ㆍ산업협력 Initiative 추진을 위한 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모색 51

1. 개관 51

2. 경제ㆍ산업 제도 및 정책분야 협력 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53

3. 제조업 분야 협력 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55

4. 무역인프라 및 투자분야 협력 아젠다 및 협력 프그램 59

5. 기타 산업연관 분야 협력 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61

제2절 동북아 3국간 경제산업 협력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63

1. 의의 63

2. 경제산업 협력 아젠다 및 협력 프로그램 63

제4장 한국과 ASEAN간 경제ㆍ산업협력 아젠다 및 협력 프로그램 67

제1절 한ㆍ베트남간 경제ㆍ산업협력 아젠다 및 협력 프로그램 67

1. 경제개발 계획 및 산업정책 수립 지원 방원 67

2. 제조업분야 : ITC산업 등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 69

3. 서비스업분야 : 유통서비스산업 등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 73

4. ODA를 활용한 베트남내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산업협력 강화 방안 76

5. 추진중인 한-베트남 FTA 활용 촉진 방안 82

제2절 한-인도네시아간 경제ㆍ산업 협력아젠다 및 협력프로그램 87

1. 경제개발 계획 및 산업정책 수립 지원 방안 94

2. 인프라 및 경제특구 협력 강화 방안 106

3. 산업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 120

4. 한ㆍ인도네시아 민관합동 실무 T/F의 내실화를 통한 협력 강화 방안 128

제5장 동아시아 경제협력 Initiative 추진을 위한 방안 : 한국과 동아시아 개별 국가간의 "양자 간 산업협력기구" 설립 137

제1절 양자간 산업협력기구의 설립 배경 및 필요성 137

제2절 양자간 산업협력기구의 설립안 138

제2부 동아시아연구센터 설립 모색을 위한 기초 : '중국연구원' 설립 모형 제시 141

제1장 서론 142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2

제2절 연구 방법 145

제2장 세계 중국연구 현황 147

제1절 미국의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147

1. 미국 내 중국연구기관의 목적 147

2. 미국의 중국연구기관 개요: 싱크탱크와 대학연구소 148

3. 주요 싱크탱크: 사례분석 158

4. 미국에서의 중국연구 동향 162

제2절 일본의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176

1. 개요 176

2. 일본의 중국 연구 기관: 싱크탱크와 대학연구소 180

3. 일본의 중국 연구 기관 사례 분석 196

4. 일본의 중국 연구 동향 204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211

제3절 타이완의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215

1. 개요 215

2. 중국연구기관 현황 216

3. 주요 중국연구기관 분석 220

4. 타이완의 중국연구 동향 228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234

제4절 홍콩의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236

1. 개요 236

2. 홍콩의 중국연구 기관 237

3. 홍콩의 중국연구 동향 243

4. 한국에 대한 시사점 248

제5절 중국의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250

1. 개요 250

2. 중국의 연구기관 현황 252

3. 연구기관 사례: 대학 부설 연구소 255

4. 중국내 중국연구 동향 259

4. 중국연구의 쟁점(issue area) 264

5. 한국에 대한 함의 272

제3장 한국 중국연구 기관과 동향 277

제1절 한국 중국연구 기관 277

제2절 한국 중국연구 동향 279

1. 통일연구원 279

2. 한국국방연구원 280

3.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81

4.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82

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83

6. 경기개발연구원 284

7. 세종연구소 285

8. 아산정책연구원 286

9. 동아시아연구원 (EAI) 287

10.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 287

제3절 연구 동향 : 주요 이슈와 성과 289

1. 정치 분야 289

2. 국제관계 분야 290

3. 경제 분야 291

4. 사회 및 기타 분야 292

제4절 발전방향 294

제4장 파일럿 프로젝트 : 중국연구원(가칭) 설계모형 299

제1절 핵심목표와 역할체계 299

제2절 연구원의 구조와 기능 302

제3절 수행체계 : 조정, 연구, 정책, 네트워크, 교육 306

제4절 장기발전 로드맵 307

제5장 기대 효과 및 정책적 시사점 310

제1절 단기 효과 311

제2절 장기 효과 312

참고문헌 314

판권기 323

제1부 동남아시아(ASEAN) 및 동아시아 3국 대상 경제산업협력 Initiative 모색 25

〈표 2-1〉 아세안의 일인당 총생산 성장률과 인구성장률 35

〈표 2-2〉 아세안국가들의 일인당 총생산량변화 41

〈표 2-3〉 아세안 국가들과 중국의 인프라 발전 수준, 2011 49

〈표 4-1〉 Master Plan (2013년 2월 19일 서명) 주요내용 요약 68

〈표 4-2〉 주요국 IDI 및 순위변동 추이 70

〈표 4-3〉 베트남 유통서비스업의 비관세장벽 73

〈표 4-4〉 클리너 산업생산에 대한 전략 78

〈표 4-5〉 한국의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과 녹색성장국가전략의 비교 80

〈표 4-6〉 사업화 완료과제의 성과 요약 81

〈표 4-7〉 베트남의 대 한국과의 수출입 동향 83

〈표 4-8〉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투자통계 (2013년 12월 31일까지 누계) 84

〈표 4-9〉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 88

〈표 4-10〉 인도네시아 주요 자원 현황 89

〈표 4-11〉 양국 경협회의 개최 내역 94

〈표 4-12〉 수정된 MP3EI 주요 보완내용 96

〈표 4-13〉 수정된 마스터플랜의 투자주체별 비중 97

〈표 4-14〉 경제발전마스터플랜 이행 경과 98

〈표 4-15〉 회랑별 투자집중지역 100

〈표 4-16〉 주요 개정 법령 101

〈표 4-17〉 MP3EI 효율적 이행을 위한 필요노동력 교육수준 정도 101

〈표 4-18〉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 102

〈표 4-19〉 동남아 주요국 인프라 경쟁력 지수 106

〈표 4-20〉 주요 인프라 확충계획 (2015-2019) 108

〈표 4-21〉 인도네시아 보조금 비중 109

〈표 4-22〉 분야별 고용비중 120

〈표 4-23〉 2012년 2차 실무 T/F 회의 아젠다 : 예시 128

〈표 4-24〉 제주 경협회의 주요프로젝트 129

〈표 4-25〉 2013년 경협실무 T/F 130

제2부 동아시아연구센터 설립 모색을 위한 기초 : '중국연구원' 설립 모형 제시 26

〈표 2-1〉 일본학술진흥회 학술연구 지원 사업 185

〈표 2-2〉 인간문화기구 현대중국지역연구 제2기 프로젝트 분담 현황 188

〈표 2-3〉 와세다대학 현대중국연구소 연구 주제 199

〈표 2-4〉 〈아시아연구〉 중국 관련 원고 게재 현황(2010~2014) 209

〈표 2-5〉 타이완 주요 대학 중국학 교육기관 217

〈표 2-6〉 타이완 주요 중국연구 싱크탱크 220

〈표 2-7〉 정치대학 국제관계연구센터 조직 현황 및 주요 연구 의제 224

〈표 2-8〉 2014년 중국연구서비스센터 방문 연구자 현황 240

제1부 동남아시아(ASEAN) 및 동아시아 3국 대상 경제산업협력 Initiative 모색 27

[그림 2-1] 아세안국가의 총생산량 및 전 세계 비중 변화 34

[그림 2-2] 외국인직접투자변화 (유량) 36

[그림 2-3] 외국인직접투자 전 세계 대비비중 (유량) 37

[그림 2-4] 실질구매력 총생산량 변화 38

[그림 2-5] 아세안국가별 일인당 총생산량 40

[그림 2-6] 아세안국가별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변화 42

[그림 2-7] 아세안국가별 농업 부가가치 비중변화 43

[그림 2-8] 아세안국가별 총생산량 대비 무역량, 2013년 44

[그림 2-9] 아세안 대외 수출액 및 비중 45

[그림 2-10] 아세안 대외 수입액 및 비중 46

[그림 2-11] 아세안국가별 외국인직접투자액 (유량) 47

[그림 4-1] 한국의 ICT 개발협력 프로그램 71

[그림 4-2] 베트남 프로젝트 지원 사업 72

[그림 4-3] 베트남의 소득별 가구 비중 74

[그림 4-4] 베트남 유통시장 규모와 비중 76

[그림 4-5] 기존 산업단지와 생태산업단지의 개념비교 79

[그림 4-6] 아세안 5개국의 개방도 85

[그림 4-7] 최적의 전략적 파트너 90

[그림 4-8] 한국 및 세계의 대 인니 FDI 91

[그림 4-9] 마스터플랜이 추구하는 인도네시아 성장 경로 92

[그림 4-10] 6대 경제회랑 93

[그림 4-11] 인도네시아 개발계획 95

[그림 4-12] KPI 역할 99

[그림 4-13] 인프라분야 투자 필요 금액 (2015-2019) 107

[그림 4-14] PPP Financing 구조 110

[그림 4-15] 인도네시아 경제특구 지정 지역 112

[그림 4-16] 주요 분야별 GDP 비중 121

[그림 4-17] MP3EI내 22개 핵심 산업분야 124

[그림 4-18] 양국 협력의 현단계 및 발전방향 132

제2부 동아시아연구센터 설립 모색을 위한 기초 : '중국연구원' 설립 모형 제시 28

[그림 2-1] 현대중국지역연구 제1기, 제2기 조직 구성 190

[그림 2-2] 제1, 2기 프로젝트 조직 구성 201

[그림 2-3] 〈아시아연구〉 중국 관련 글수록 현황(2010-2014) 210

[그림 2-4] 중국정책연구 자문 기구 254

[그림 2-5] 성균중국연구소 조직 체계 288

[그림 4-1] 중국연구원 조직 구성도 30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