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제기후금융 메커니즘의 진화와 우리의 대응방안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109
제어번호
NONB1201703702
주기사항
[제출처]: 외교부
연구책임자: 문진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6

제2장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조성 현황 8

1. 유엔기후변화협약 협상 경과 8

가. 협약과 재정메커니즘 전개 8

나. 파리협정에서의 재원 부문 쟁점 및 합의사항 15

다. 2016년 마라케쉬 당사국총회(COP22)의 장기재원 논의 사항 18

2. 국제사회의 기후재원 현황 22

가. 재정상설위원회 격년보고서 22

나. OECD-CPI 공동 기후재원 보고서 27

다. 선진국의 2020년 1,000억 달러 로드맵 30

3. 공여국별 지원 현황 31

가. 기후 ODA 지원 추이 32

나. 기후 ODA 지원 분야 및 수단 35

제3장 기후변화 관련 다자기금 및 다자기구의 지원 동향 37

1. 다자기금 및 다자기구의 지원 현황 37

가. 전 세계 기후변화 관련 다자기금 현황 37

나. 다자개발은행(MDBs)의 기후변화 관련 지원 동향 39

2. 분야별 주요 기후기금 현황 45

가. 범분야/다분야 45

나. 감축 52

다. 적응 61

3. 다자기금의 사업추진 절차 65

가. GCF 66

나. GEF 71

다. CIF 77

제4장 국제기후금융 참여와 개선과제 80

1. 민간부문 참여 확대를 위한 다자기금 동향 80

가. GEF 민간부문 프로그램 80

나. CIF Private Sector Set-Aside 87

다. GCF Private Sector Facility 88

2. 우리나라 기업의 애로사항 90

3. 기업의 다자기금 활용 지원 방안 93

제5장 결론 98

1. 기후재원 논의 및 과제 98

2. 주요 다자기금 현황 101

3. 다자기금을 활용한 기업의 진출 지원방안 104

참고문헌 106

[부록] 녹색기후기금 승인 사업 108

표 2-1.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지원 의무 및 재정메커니즘 9

표 2-2.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개도국 지원 기금 11

표 2-3. 2013-2014년 개도국지원 공공 재원의 특성 26

표 2-4. 개도국을 위해 선진국으로부터 조성된 잠정적 기후재원 추정 29

표 2-5. DAC 회원국별 기후변화 관련 지원 현황(2014년) 34

표 3-1. 기후변화 관련 다자기금 38

표 3-2. 다자개발은행(MDBs)의 기후변화 관련 지원 목표 40

표 3-3. 다자개발은행(MDBs) 별 기후변화 관련 지원 현황(2015년) 41

표 3-4. 분야별 GCF 사업 49

표 3-5. 감축분야 주요 기금(2003~2016) 52

표 3-6. GEF 분야별 지원 현황 53

표 3-7. CTF와 SREP 지원수단 57

표 3-8. CTF 대상국가 58

표 3-9. SREP 대상국가 60

표 3-10. 감축분야 주요 기금(2003~2016) 61

표 3-11. PPCR 대상국가 64

표 3-12. 다자기금 승인기관 현황 및 역할 66

표 3-13. GCF 사업 세부 절차 67

표 3-14. GEF 승인기관 71

표 4-1. GEF 전체 포트폴리오 중 민간부문 포트폴리오 비중 86

표 4-2. 민간부문 포트폴리오: 분야별 배분 86

표 4-3. GEF intervention 유형 86

표 4-4. CIF 민간부문 할당지원 현황 88

그림 2-1. 2013~14년 기후재원 흐름 25

그림 2-2. 2013~14년 재원 출처별 조성된 기후재원 28

그림 2-3. 2020년 추정 공공재원의 부문별 지원 31

그림 2-4. 양자 기후 ODA 지원 규모 33

그림 2-5. 분야별 양자 기후 ODA 비중 35

그림 2-6. 양자 기후 ODA 지원 수단 36

그림 3-1. 주요 기후기금 규모(약정액 기준) 38

그림 3-2. 다자개발은행(MDBs) 별 분야별 지원 현황(2015년): 감축 vs. 적응 총 지원규모: 251억 달러 41

그림 3-3. 다자개발은행(MDBs)의 지원 유형(2015년) 42

그림 3-4. 다자개발은행(MDBs)의 지원 현황: 지역별 비중(2015년) 43

그림 3-5. 다자개발은행(MDBs)의 분야별 지원 현황(감축 및 적응) 44

그림 3-6. Clean Investment Fund 구성 45

그림 3-7. CIF 기금 구성 46

그림 3-8. CIF 프로그램별 사업 46

그림 3-9. GCF 주요 공여국 47

그림 3-10. GCF 중점 지원분야 및 투자 우선순위 49

그림 3-11. 분야별 GCF 사업 51

그림 3-12. 국가별 GCF 사업 51

그림 3-13. GEF 주요 공여국 현황(원문불량) 54

그림 3-14. GEF 사업목표 및 전략 방안 추이 55

그림 3-15. 지역별 GEF 사업 규모 56

그림 3-16. 지역별 GEF 사업 건수(원문불량) 56

그림 3-17. CTF 주요 공여국(원문불량) 58

그림 3-18. SREP 주요 공여국 58

그림 3-19. 지역별 CTF 사업 규모 59

그림 3-20. 지역별 CTF 사업 건수(원문불량) 59

그림 3-21. 세부분야별 SREP 추진 현황 60

그림 3-22. 적응기금 분야별 지원 현황 63

그림 3-23. 적응기금 국가이행기구 지정 현황 63

그림 3-24. PPCR 주요 공여국 64

그림 3-25. PPCR 주요 수원국(원문불량) 64

그림 3-26. 세부분야별 PPCR 추진 현황 65

그림 3-27. GCF 사업 추진 절차 67

그림 3-28. GEF 사업 추진 절차 - 일반규모 사업(FSP) 73

그림 3-29. GEF 사업 추진 절차 - 중규모 사업(MSP) 75

그림 3-30. CIF 사업지원 절차 77

그림 4-1. GEF의 민간부문 프로그램 85

그림 4-2. 기업의 해외 진출 촉진을 위한 지원 메커니즘 97

그림 5-1. 글로벌 차원 재원 현황 10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