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계획의 개요 13
1.1. 계획의 배경 14
1.2. 계획의 범위 17
1.2.1. 공간적 범위 17
1.2.2. 시간적 범위 17
1.2.3. 내용적 범위 17
제2장 대중교통현황 및 전망 19
2.1. 지역현황 및 대중교통현황 20
2.1.1. 지역현황 20
2.1.2. 대중교통현황 31
2.1.3. 이용객 편의시설 현황 42
2.1.4. 통행실태 현황 44
2.2. 대중교통 이용실태 46
2.2.1. 대중교통 서비스 조사 46
2.2.2. 버스 서비스 만족도 분석 57
2.3. 대중교통 문제점 59
2.3.1. 대중교통 노선체계상 문제점 59
2.3.2. 대중교통 수단 및 시설의 문제점 59
2.3.3. 대중교통 서비스 및 운영상의 문제점 60
2.4. 제2차 지방대중교통기본계획 성과분석 61
2.4.1. 제2차 지방대중교통기본계획 추진방안 61
2.4.2. 제2차 지방대중교통기본계획 주요 추진성과 62
제3장 장래 교통여건 전망 및 교통수요예측 63
3.1. 관련계획검토 64
3.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64
3.1.2.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2001-2020) 68
3.1.3. 충청북도 종합계획(2011-2020) 71
3.1.4. 진천군기본계획 77
3.1.5. 제3차 대중교통기본계획 79
3.2. 장래 사회경제지표전망 82
3.2.1. 사회경제지표 전망 종합 82
3.2.2. 장래 인구 전망 83
3.2.3. 장래 세대수 전망 84
3.2.4. 장래 학생수 전망 85
3.2.5. 장래 종사자수 전망 86
3.2.6. 장래 자동차등록대수 전망 87
3.3. 장래 교통수요예측 88
3.3.1. 일반적인 교통수요예측 방법 88
3.3.2. 본 과업의 교통수요예측 기본전제 89
3.3.3. 진천군 교통수요 예측 90
제4장 대중교통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 94
4.1. 대중교통정책방향 설정 95
4.1.1. 대중교통 정책방향 설정 95
4.2. 대중교통정책목표 설정 96
4.2.1. 이용자 특성분석 96
4.2.2.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97
4.3. 계획의 정책방향 98
4.3.1. 비전 및 목표 98
4.3.2. 계획지표설정 99
4.3.3/4.2.3. 세부추진과제 100
제5장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제고 및 이용편의 증대 102
5.1. 버스정류장 정비방안 103
5.1.1. 버스정류장 개선방향 103
5.1.2. 버스정류장 시설개선방안 104
5.1.3. 버스정류장 레드존 설치 112
5.2. 환승시설 정비방안 114
5.2.1. 환승시설의 개념 및 유형 114
5.2.2. 환승센터의 개념 및 유형 116
5.2.3. 진천군 환승시설 정비방안 117
5.3. 자전거 이용과 대중교통 연계성 확보방안 120
5.3.1. 자전거 이용활성화 필요성 120
5.3.2. 자전거와 대중교통 연계 문제점 120
5.3.3/5.5.3. 추진방안 120
제6장 대중교통 운영효율화 123
6.1. 대중교통 노선체계 개편 124
6.1.1. 공간구조 분석 124
6.1.2. 공간구조 설정 125
6.1.3. 노선체계 개편 127
6.2. 버스 운영체계 및 구조개선 134
6.2.1. 버스산업 운영체계 현황 134
6.2.2. 버스운영체계의 종류 134
6.2.3. 버스운영체계의 사례 136
6.2.4. 진천군 준공영제 도입검토 138
6.3. 시내버스 정보제공시스템 구축 140
6.3.1.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140
6.3.2. 대중교통정보제공시스템 구축 145
6.3.3. 진천군 버스정보시스템 구축방안 149
6.4. 교통카드 데이터 활용성 증대 151
6.4.1. 시내버스 하차태그 유도 151
6.5. 합리적인 재정지원 체계 구축 154
6.5.1. 재정지원의 기본방향 154
6.5.2. 합리적 재정지원의 추진방향 155
6.5.3. 재정지원금 집행시기 조정 156
6.5.4. 중소형버스도입확대 156
제7장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159
7.1. 안전벨트 착용 및 사고시 행동요령 안내 160
7.1.1. 개요 160
7.1.2. 추진배경 및 설치규정 160
7.1.3. 진천군 홍보 및 안내방안 161
7.2. 운수종사자 안전관리 163
7.2.1. 디지털 운행기록계 활용 163
7.2.2. 버스운전자 안전관리 강화 163
7.2.3. 노선버스 운수종사자 근로형태 개선유도 164
제8장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 167
8.1. 공간ㆍ시간적 사각지대 해소 168
8.1.1.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수단 도입 168
8.1.2. 수요응답형체계의 개념 169
8.1.3.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운영방안 171
8.1.4. 진천군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운영방안 173
8.1.5. 산업단지 대중교통 편의성 제고방안 175
8.1.6. 비수익노선 운행조정 및 지원방안 176
8.2. 교통약자 사각지대 해소 180
8.2.1.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반영 180
8.2.2. 저상버스 단계별 도입방안 180
8.2.3. 특별교통수단 도입방안 182
8.2.4. 버스 탑승도우미 활용 183
제9장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185
9.1. 투자계획 수립 186
9.1.1. 부문별 소요예산 규모 186
9.1.2. 연차별 투자계획 189
9.2. 재원조달 방안 191
9.2.1. 진천군 재정현황 및 전망 191
9.2.2. 재원조달 방안 195
[그림 1-1] 과업의 공간적 범위 17
[그림 2-1] 진천군 지리적 위치 21
[그림 2-2] 진천군 인구 및 세대수 추이 22
[그림 2-3] 진천군 읍면별 인구수 23
[그림 2-4] 진천군 자동차 등록대수 추이 24
[그림 2-5] 진천군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추이 25
[그림 2-6] 읍면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26
[그림 2-7] 학교 및 핵생수 추이 27
[그림 2-8] 토지이용 분포 28
[그림 2-9] 진천군 도로연장 추이 29
[그림 2-10] 진천군 주요 도로망 30
[그림 2-11] 읍면별 정류장 설치현황 42
[그림 2-12] 수단분담률 44
[그림 2-13] 목적통행량 45
[그림 2-14] 버스 서비스 만족도 점수 58
[그림 3-1] 계획의 기본 틀 65
[그림 3-2] 유라시아-태평양 전략적 요충지 66
[그림 3-3] 국토형성의 기본골격 66
[그림 3-4] 추진전략 69
[그림 3-5] 계획의 비전 및 목표 71
[그림 3-6] 발전축 설정 72
[그림 3-7] 상생협력을 위한 기본방향 73
[그림 3-8] 지역생활권과 중심지 체계 73
[그림 3-9] 교통부분 기본방향 74
[그림 3-10] 2020 충청북도 고속도로망 계획 75
[그림 3-11] 2020 충청북도 철도망 계획 76
[그림 3-12] 진천군의 미래상 77
[그림 3-13] 장래 사회경제지표 종합 82
[그림 3-14] 장래 인구수 전망 83
[그림 3-15] 장래 세대수 전망 84
[그림 3-16] 장래 학생수 전망 85
[그림 3-17] 장래 종사자수 전망 86
[그림 3-18] 장래 자동차등록대수 전망 87
[그림 3-19] 장래연도 전국 여객 OD 구축 방법론 90
[그림 5-1] 버스정류장 개선예시(4m 일반형, 6m 일반형) 112
[그림 5-2] 레드존 설치사례 113
[그림 5-3] 자전거 거치대(국내 및 외국사례) 119
[그림 6-1] 진천군 중심지 체계 126
[그림 6-2] 진천군 도시개발축 127
[그림 6-3] 자동차ㆍ도로 ITS의 개념 140
[그림 6-4] 기본교통정보제공 단위서비스의 개념도 141
[그림 6-5] 교통관리 서비스 추진전략 142
[그림 6-6] 대중교통 서비스의 개념도 144
[그림 6-7] 대중교통 서비스 추진전략 145
[그림 6-8] 버스정보시스템 개념도 146
[그림 6-9] BIS 정보제공체계 147
[그림 6-10] 버스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정보제공 148
[그림 6-11] 교통카드 하차태그 홍보사례(청주시) 153
[그림 7-1] 안전띠 홍보스티커 사례 162
[그림 8-1] 연계중심형 서비스 개념도 172
[그림 8-2] 노선탄력형 서비스 개념도 172
[그림 8-3] 공백지역 서비스 지원형 개념도 173
[그림 8-4] 버스 탑승도우미 사례 184
[그림 9-1] 진천군 재정운용 실적 추이 192
[그림 9-2] 수송 및 교통 투자계획 19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