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부 요약문 9

1장. 연구개요 10

2장. 지역 콘텐츠 개발 사례 11

3장. 충북지역 콘텐츠 산업 기초 자료 16

4장. 콘텐츠 기반 창업 및 인큐베이팅 사례 22

5장. 자린고비 '조륵' 컨셉 방향 제시 27

6장. '조륵' 콘텐츠 산업 육성 전략과 비전 41

2부 72

제1장 계획 개요 73

제1절 연구 배경 7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8

1. 주요 연구 내용 78

2. 연구 방법 79

제2장 지역 콘텐츠 개발 사례 81

제1절 인물 중심 지역 콘텐츠 사례 81

1. 대구의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82

2. 여수 고소천사벽화마을의 '허영만화백거리' 86

3. 울진 매화마을 이현세 벽화거리 89

4. 사카이미나토 시의 '미즈키 시게루 로드' 91

5. 돗토리현의 '코난 마을' 95

6. 일본 만화가 기념관 100

제2절 역사적 사실 및 설화 중심 지역 콘텐츠 제작 사례 105

1. 안동시의 애니메이션 〈엄마 까투리〉 105

2. 장성군 '홍길동' 캐릭터 111

3. 정선 아트센터 '삼탄아트마인(Samtan Art Mine)' 115

4. 쿠마모토현의 '쿠마몬' 지역 캐릭터 개발 119

제3절 스토리텔링 기반 지역 콘텐츠 123

1. 〈아기공룡 둘리〉를 활용한 지역 123

2. 강동구 성안마을의 '강풀만화거리' 128

제4절 지역콘텐츠 사례를 통한 모델링 구축 130

1. 지역콘텐츠 사례의 구분과 특징 130

2.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개발 사례 모델링 131

제3장 충북지역 콘텐츠 산업 기초 자료 134

제1절 충북의 중원문화로서의 유교문화 개발 134

1. 중원문화 134

2. 중원문화권의 특성 135

3. 중원유교문화 135

4. 중원유교문화 관련 콘텐츠 137

제2절 충북지역 콘텐츠 개발 사례 및 연계인프라 146

1. 인물중심 147

2. 역사적 사실이나 설화 중심 149

3. 장소 중심 156

제3절 충북지역 출신 콘텐츠산업 네트워크 166

1. 충북 출신 연예인 셀럽(celebrity) 166

2. 충북 출신 작가 172

제4절 문화 수요 자료 및 트렌드 조사 174

1. 원심력 문화지표 174

2. 구심력 문화지표 176

3. 충북지역 문화 장점 및 가능성 179

제5절 충북의 콘텐츠 산업 발전의 가능성 181

제4장 창업 및 인큐베이팅 사례 182

제1절 인물 중심 지역문화기반 청년창업 사례 182

1. 전북의 '지기펀-페이퍼토이' 창업 사례 182

2. 서울의 '위세임(Wesame)' 독립운동가 피규어 창업 사례 184

3. 천안의'아트뮤플랫폼'만세 소녀 캐릭터 창업 사례 186

제2절 역사적 사실과 설화중심 지역문화기반 청년창업 사례 189

1. 대전의 '여행 37.5℃' 역사 스토리텔링 탐방 체험학습 창업 사례 189

2. 제주의 '두잉(DOING)' 캐릭터 '꾸무와 또또' 창업 사례 191

3. 강원의 '태백국악원' 태백지역 설화 모티브 연극 창업 사례 193

제3절 장소 중심 지역문화기반 청년창업 사례 195

1. 광주의 '무등산 브루어리' 수제맥주 1인 창업 사례 195

2. 광주의 '유기코리아' 유기농 화장품 1인 창업 사례 197

3. 대구의 '아트쉐어' 대구지역 섬유 업체와의 콜라보 창업 사례 198

4. 강릉의 '예밝공작소' 지역 스토리텔링 전문회사 창업 사례 200

제4절 지역문화기반 청년창업교육센터 201

1. 전국단위 지역문화기반 청년창업교육센터 사례 201

제5절 지역문화기반 및 농임업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 센터 203

1. 전북 지역문화기반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03

2. 서울 지역문화기반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04

3. 경북 지역문화기반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05

4. 제주 지역문화기반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06

5. 전국단위 지역문화기반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07

제6절 전국단위 농임업 창업연구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212

1. 전국단위 농임업 창업연구 센터 및 인큐베이팅센터 사례 212

2. 전체 청년창업 아이템 사례 분석 214

제7절 콘텐츠 기반 창업 및 인큐베이팅 인프라 구축의 가능성 217

제5장 자린고비 '조륵' 컨셉 방향 제시 218

제1절 조륵 기초자료 218

1. 조륵 개요 218

2. 조륵의 〈자린고비〉 설화 220

3. 조륵의 〈자린고비〉 설화 키워드 221

제2절 '조륵' 스토리텔링 223

1. 충북정신, 충북 혼이 내포된 긍정의 이미지 223

2. 충북유교문화 기반 스토리텔링 225

제3절 거상과 거부 중심 경제 스토리텔링 230

1. 거상과 거부 중심 국내 콘텐츠 230

2. 거상과 거부 중심 해외 콘텐츠 248

제4절 음성의 콘텐츠 제작조건 252

1. 교육 콘텐츠의 가능성 252

2. 지역 자체제작 교육 콘텐츠 사례 266

3. 교육 콘텐츠의 활용 268

제5절 자린고비 관련 콘텐츠의 가능성 274

제6장 '조륵'콘텐츠 산업 육성 전략과 비전 275

제1절 음성 '조륵' 콘텐츠 산업 육성 전략 275

1.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의 가능성 275

2. 콘텐츠 산업 생태계 277

3. 국내 콘텐츠 제작 인프라 센터 현황 분석 279

4. 음성 장기발전계획 현황 302

제2절 음성 '조륵' 콘텐츠 산업 비전과 전략 315

1. '조륵' 콘텐츠 자원의 가능성 315

2. 음성 지역 문화적 SWOT 분석 317

3. 음성 '조륵' 콘텐츠 산업의 비전 319

4. 음성 '조륵' 콘텐츠 산업 추진과제 320

5. '조륵' 스토리텔링 개발의 가치 340

6. '조륵' 콘텐츠 기반 지역 상생 가치 창출 342

참고문헌 345

[부록 1] 충청북도 축제 리스트 348

그림목차

[그림 1-1] 2019 콘텐츠산업 시장 규모 75

[그림 1-2]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 지도상 위치 82

[그림 1-3] 김광석 길 현장사진 84

[그림 1-4] '허영만화백거리' 지도상 위치(왼), 위성사진(오른) 86

[그림 1-5] 허영만 만화 벽화 갤러리 현장 사진 87

[그림 1-6] '이현세 벽화거리' 지도상 위치 89

[그림 1-7] 이현세 만화거리 현장 사진 90

[그림 1-8] 사카이미나토 시 지도상 위치 91

[그림 1-9] TV애니메이션 〈게게게의 기타로〉와 드라마 〈게게게의 여보〉 93

[그림 1-10] 미즈키 시게로 로드의 전경 93

[그림 1-11] 돗토리현 '코난마을'의 지도상 위치 95

[그림 1-12] 아오야마 고쇼 향토관 97

[그림 1-13] 코난의 집 베이커 상점가 98

[그림 1-14] 이시노모리 만화관 102

[그림 1-15] 이시노모리 쇼타로 후루사토 기념관 102

[그림 1-16] 데즈카 오사무 기념관 103

[그림 1-17] 이가라시 유미코 미술관 104

[그림 1-18] 애니메이션 〈엄마 까투리〉 105

[그림 1-19] 〈엄마 까투리〉 캐릭터 활용 상품 및 뮤지컬 106

[그림 1-20] '권정생 동화나라' 전경 및 전시장 107

[그림 1-21] 안동 지역의 스토리텔링 웹툰 〈궁 외전: 별신의 밤〉과 〈안동 간고디〉 109

[그림 1-22] 장성군의 홍길동 캐릭터 1차 이미지(왼)와 최종 4차 이미지(우) 111

[그림 1-23] 장선군의 캐릭터 '홍길동'을 활용한 애니메이션과 학습만화 113

[그림 1-24] '삼탄아트마인' 위치 및 전경 115

[그림 1-25] 삼탄아트마인 내에 유지되어 있는 정암광업소의 흔적들 116

[그림 1-26] 탄광의 모습이 남아있는 내부 모습 (위) 레일바일뮤지엄과 세화장의 모습 (아래) 안전모 충전소 117

[그림 1-27] 삼탄아트마인의 지역 연계 사업 118

[그림 1-28] 쿠마모토현 지도상 위치 119

[그림 1-29] 구마몬 캐릭터를 활용한 상품들과 구마몬 스퀘어의 모습 122

[그림 1-30] 부천 '둘리의 거리' 지도상 위치 123

[그림 1-31] 부천의 '둘리의 거리' 124

[그림 1-32] 도봉구 '둘리마을' 지도상 위치(왼), '둘리 마을' 현장 사진(오른) 126

[그림 1-33]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개발 모델링 130

[그림 2-1] 중원유교문화 행정지도 136

[그림 2-2] 충북 유교문화관련 이야기 분류 137

[그림 2-3] SBS TV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 139

[그림 2-4] 웹판소리 〈달문, 한없이 좋은 사람〉 프레스 시연회 140

[그림 2-5]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대표이미지 143

[그림 2-6] 온달 장군 추모 제향 143

[그림 2-7]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실학강의, 현장답사, 안산시 소재 성호기념관, 6.25 용문산 전투에서 한글을 배우는 군인들 144

[그림 2-8] 충북지역 콘텐츠관련기관 분포도 146

[그림 2-9] 충북지역 독립운동가 및 문학가 분포도 147

[그림 2-10] 좌로부터 〈거인의 꿈 이상설〉, 〈to be 이상설〉 보재 이상설 관련 연극공연 포스터 147

[그림 2-11] 좌로부터 〈아나키스트 단재〉, 〈선택〉 단재 신채호 선생의 연극공연 포스터 148

[그림 2-12] 옥소종합예술제 포스터 149

[그림 2-13] 충북지역 역사적 사실이나 설화 콘텐츠 분포도 149

[그림 2-14] 청주아리랑은 소재로 한 연극 〈회연〉 공연사진 150

[그림 2-15] (좌) 〈직지, 그끝없는 인연〉연극, 중앙 〈직지 코리아 국제페스티벌〉 (우) 〈직지를 찾아 떠난 청주할아버지〉 연극 152

[그림 2-16] 온달문화축제 포스터 154

[그림 2-17] 온달동굴 155

[그림 2-18] 온달산성길 155

[그림 2-19] 충북지역 장소 중심 콘텐츠 분포도 156

[그림 2-20] 청주 수암골 '제빵왕 김탁구', '카인과 아벨' 촬영지 및 벽화마을 157

[그림 2-21] 청주시 운보의 집 159

[그림 2-22] 영동군 국악체험촌 160

[그림 2-23] 음성군 품바ㆍ재생예술체험촌 전시사진 161

[그림 2-24] 음성군 큰바위 얼굴조각 공원 161

[그림 2-25] 음성동요학교 162

[그림 2-26] 단양군 새한서점 163

[그림 2-27] 단양 온달 오픈셋트장 164

[그림 2-28] 영화 '박하사탕' 촬영지 제천 진소마을 165

[그림 2-29] 제전 박달재 마을 165

[그림 2-30] 관광개발 필요성 174

[그림 2-31] 관광개발 방식 175

[그림 2-32]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 175

[그림 2-33]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176

[그림 2-34] 충청유교문화권 여행지역 177

[그림 2-35] 충청북도 내 역사문화를 대표하는 시.군 177

[그림 2-36] 유교문화관광 개발사항 필요성 178

[그림 2-37] 향후 방문 의향 178

[그림 2-38] 유교문화의 선각자 권근 선생 180

[그림 2-39] 권근, 권제, 권람선생 3대 묘소 180

[그림 3-1] 전주 어진 박물관 182

[그림 3-2] 지기펀 페이퍼 토이 조선왕 인형집 183

[그림 3-3] 성수동 플레이스비브 184

[그림 3-4] 독립운동가 피규어 185

[그림 3-5] 천안 독립기념관 186

[그림 3-6] 콜라보 전시회 포스터(오), 만세소녀 산군이 캐릭터 디자인(왼) 187

[그림 3-7] 만세 소녀 굿즈 및 캠페인 187

[그림 3-8] 여행37.5 189

[그림 3-9] 꾸무와 또또 191

[그림 3-10] 체코 프라하국립인형극장 ' 제주 신화 신돌이야기 마리오네트 인형극 192

[그림 3-11] 강원랜드 희망재단 창업,성장 지원 사업 모습 193

[그림 3-12] 태백국악원-황지연못 수호신 탈마당극 194

[그림 3-13] 무등산 브루어리 195

[그림 3-14] 컬쳐네트워크에서 최근 출시한 의류 브랜드 '아일랜드 리서치'화보 196

[그림 3-15] 유기코리아 197

[그림 3-16] 모바일ㆍ노트북 액세서리 대학생 창업 스타트업 '아타쉐어' 198

[그림 3-17] 아트쉐어 콜라보레이션 근황 199

[그림 3-18] 예밝공작소 200

[그림 3-19] 꽃물 브랜드 201

[그림 3-20] 예술 창업 인큐베이팅 '누에살롱' 203

[그림 3-21] 예술 창업 인큐베이팅 '누에살롱' 교육프로그램 204

[그림 3-22] 종로구 청년창업지원 사업-종로청년 창업베이스타운 204

[그림 3-23] 신라문화콘텐츠디자인사업단 205

[그림 3-24]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제주다움 206

[그림 3-25] 모바일ㆍ노트북 액세서리 대학생 창업 스타트업 '아타쉐어'(왼) 현재 아트쉐어 해외 시장 콜라보(오) 207

[그림 3-26] 르호봇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208

[그림 3-27] 차키 페스티벌 티셔츠 협찬 출연 209

[그림 3-28] 어반플레이-로컬콘텐츠 209

[그림 3-29] 아는 동네 210

[그림 3-30] 아는 동네-데어더하우스'덕화명란' 창업아이템 210

[그림 3-31] 아는 동네-'청춘애한방' 창업아이템 211

[그림 3-32] 지역특산물이 청년창업가와 만나면? 뉴스 2019.03.22 212

[그림 3-33] 지역특산물이 청년창업가와 만나면? 뉴스 2019.03.22 213

[그림 4-1] 자린고비 조륵선생 유래비 219

[그림 4-2] 조륵 설화 키워드 221

[그림 4-3] 충북의 도기와 마스코트 223

[그림 4-4] 충북의 꽃, 새, 나무 224

[그림 4-5] '2019 음성이야기 마을탐방' 프로그램 체험 현장 227

[그림 4-6] 음성 품바축제 품바움막 체험 사진 228

[그림 4-7] 음성품바축제 로고 228

[그림 4-8] 음성품바축제 대표 캐릭터 229

[그림 4-9] 우당기념관에 전시된 이회영의 영정 231

[그림 4-10] 우당 이회영 선생 탄생 150주년 기념우표 232

[그림 4-11] 2019 겜춘문예 대상 이채연의 〈우당 이회영〉 232

[그림 4-12] 우당 이회영을 포함한 베이징 독립운동 3人 〈베이징 독립운동의 세 불꽃〉 특별전 포스터 233

[그림 4-13] KBS1 드라마 〈거상 김만덕〉 234

[그림 4-14] 뮤지컬 〈만덕〉의 한 장면 235

[그림 4-15] 2019 김만덕기념관 나눔 작은 그림전 '우리 집에 그림 하나' 포스터 236

[그림 4-16] 최부자집의 육훈 및 육연 237

[그림 4-17] 드라마 〈명가〉 238

[그림 4-18] 연극 〈명가915 경주 세금마차사건〉 포스터 239

[그림 4-19] '나라가 없으면 부자도 없다' 기획전시 포스터 240

[그림 4-20] 도서 『베니스의 개성상인』 표지 244

[그림 4-21] 도서 『나의 아버지 최재형』 표지 246

[그림 4-22] 도서 『나의 아버지 최재형』 표지 247

[그림 4-23] 예능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최재형 선생님 에피소드 중 한 장면 247

[그림 4-24] 레이티 고다이바를 그린 회화 작품 248

[그림 4-25] 고디바 로고 248

[그림 4-26] 코벤트리 마을중앙 광장에 있는 고다이바 동상 249

[그림 4-27] 로댕의 '칼레의 시민' 250

[그림 4-28] 드라마 〈메디치: 마스터즈 오브 플로렌스〉 251

[그림 4-29] 마법천자문 온라인 게임 화면 253

[그림 4-30] 〈Why? Kids 곤충〉 어플리케이션 화면 254

[그림 4-31] 〈Why? 인체탐험〉 슈팅게임 255

[그림 4-32] 〈살아남기〉 시리즈 255

[그림 4-33]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 256

[그림 4-34] 교육용 로봇완구 〈아이꼼빠 뽀로로〉 258

[그림 4-35] 교육용 앱 〈뽀로로 미술놀이〉 259

[그림 4-36] AR앱 〈뽀로로 프랜즈〉 259

[그림 4-37] 서울시에서 시연한 〈꼬마버스 타요〉 버스 260

[그림 4-38] 〈꼬마버스 타요〉 유아 놀이 어플리케이션 260

[그림 4-39] 천안 동남보건소가 유치원어린이 대상 금연예방교육 프로그램 현장 261

[그림 4-40] 〈로보카폴리〉 교통안전 프로젝트 262

[그림 4-41] 〈로보카폴리〉 어린이교통공원 262

[그림 4-42] 대구 〈로보카폴리〉 도시철도 3호선 263

[그림 4-43] 교보문고 유ㆍ아동 도서 구매 시 증정되는 〈로보카 폴리〉 캐릭터 가방 263

[그림 4-44] 〈로보카폴리 월드 AR〉 교육용 게임 화면 264

[그림 4-45] 〈우당탕탕 아이쿠〉 캐릭터 이미지 265

[그림 4-46] 〈한글왕 아이쿠와 동물친구들〉 게임 화면 266

[그림 4-47] 애니메이션 〈숲속친구 스토니즈〉 266

[그림 4-48] 애니메이션 〈호보트〉 267

[그림 5-1] 부천만화영상진흥원 285

[그림 5-2]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지원사업 생태계 287

[그림 5-3] 부산문화콘텐츠 콤플렉스 입주현황 288

[그림 5-4] 부산브랜드웹툰 선정작 291

[그림 5-5] 다음에 연재중인 부산 신인작가 단편선 291

[그림 5-6] 부산정보문화산업진흥원 콘텐츠지원사업 생태계 292

[그림 5-7] 강원정보문화진흥원 293

[그림 5-8] 윗줄 부터 애니메이션박물관, 가운데 토이로봇관, 마지막 강원음악창작소 293

[그림 5-9]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콘텐츠지원사업 생태계 295

[그림 5-10] 경북콘텐츠진흥원 296

[그림 5-11] 웹툰콘텐츠제작지원사업에 선정된 작품 297

[그림 5-12]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생태계 300

[그림 5-13] 음성의 계획목표 및 표어 302

[그림 5-14] '조륵' 콘텐츠 자원의 가능성 315

[그림 5-15] '조륵'스토리텔링 개발 가치 도표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