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서문 17
1부 보안사령부의 조직과 역사 20
Ⅰ. 이승만 정권 시기의 특무부대 21
1. CIC의 창설과정과 조직 21
1) CIC의 창설과정과 대한관찰부 21
2) CIC의 창설과정과 특별정보대ㆍ방첩과ㆍ특무부대와 군검경합동수사본부 23
3) 특별정보대ㆍ방첩과ㆍ특무부대의 조직 24
2. 숙군과 군검경합동수사대 - 김창룡과 이승만 독대 25
1) 숙군 배경과 1연대 김창룡 25
2) 1차 숙군과 특별정보대 26
3) 군검경합동수사대의 3, 4차 숙군과 대통령 독대 27
3. 한국전쟁시기 육군정보국 방첩과ㆍ특무부대ㆍ군검경합동수사본부 28
1) 개전초기 육군정보국 방첩과와 군검경합동수사본부 28
2) 육군정보국 방첩과와 대구경북 CIC 파견대의 활동 29
3) 경남지구 CIC 파견대와 군검경합동수사본부 30
4) 수복 이후 특무부대와 군검경합동수사본부 30
4. 김창룡 부임 이후 특무부대 32
1) 1951년 김창룡의 업무 평가와 특무부대의 민간인 통제 32
2) 정치 개입 33
3) 국군 통제와 김창룡의 사망 34
5. 1956년 이후 특무부대 35
Ⅱ. 박정희 정권 시기의 방첩부대 37
1) 4월혁명과 방첩부대: 박창록 부대장 시절('60.6.1.~'61.4.1.) 37
2) 이철희 부대장 시기의 방첩부대('61.4.1.~'61.6.10.) 37
3) 김재춘 부대장 시기의 방첩부대('61.6.10.~'62.7.12.) 40
4) 정승화 부대장 시기의 방첩부대('62.7.12.~'64.1.8.) 42
5) 박영석 부대장 시기의 방첩부대('64.1.8.~'65.3.6.) 43
6) 윤필용 부대장 시기의 방첩부대('65.3.6.~'68.2.17.) 43
Ⅲ. 박정희 정권 시기의 육군보안사령부 46
1) 김재규 시절의 육군보안사령부('68.2.17.~'71.9.23.) 47
2) 강창성 시절의 육군보안사령부('71.9.23.~'73.8.14.) 48
3) 김종환 시절의 육군보안사령부('73.8.14.~'75.2.28.) 55
4) 진종채 시절의 육군보안사령부('75.2.28.~'77.9.26.) 59
Ⅳ. 박정희 정권 시기의 국군보안사령부 60
1) 진종채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77.9.26.~'79.3.5.) 60
2) 전두환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79.3.5.~'80.8.21.) 62
Ⅴ. 전두환ㆍ노태우 정권 시기의 국군보안사령부 66
1) 노태우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0.8.21.~'81.7.14.) 66
2) 박준병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1.7.14.~'84.7.6.) 70
3) 안필준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4.7.6.~'85.6.1.) 74
4) 이종구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5.6.1.~'86.7.4.) 79
5) 고명승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6.7.4.~'87.12.29.) 85
6) 최평욱 시절의 국군보안사령부('87.12.29.~'88.12.7.) 86
2부 권력기구로서의 보안사령부 - 다른 권력기관과의 관계 87
1. 대통령과의 관계 88
1) 민간인 출신 대통령과 보안사 88
(1) 이승만과 특무대 88
(2) 김영삼ㆍ김대중과 기무사 89
2) 군인 출신 대통령과 보안사 90
(1) 박정희와 보안사 90
(2) 전두환과 보안사 91
(3) 노태우와 보안사ㆍ기무사 92
2. 중앙정보부-안기부와의 관계 93
1) 1967년 나일론빽 위장수출 사건 93
2) 보안사의 휘발유 부정처리 사건 95
3) 보안사령부와 중앙정보부의 법적ㆍ제도적 관계와 서열 95
4) 중앙정보부의 보안사 대수술과 1ㆍ19 대학살 96
5) 10ㆍ26 사건과 보안사의 중앙정보부 접수 98
6) 전두환의 중앙정보부장 서리 취임과 국가안전기획부로의 개편 98
7) 제5공화국 시절의 보안사와 안기부 99
3. 수경사와의 관계 99
4. 청와대 경호실과의 관계 100
5. 경찰과의 관계 103
6. 검찰과의 관계 104
3부 보안사의 대공수사 편제와 연혁 105
1. 보안사령부의 법률상 지위와 임무 106
1) 법령상 보안사령부의 설치근거와 임무 106
2) 보안사의 소속과 위상 106
2. 보안사령부의 조직과 편제 107
1) 특무대의 조직과 편제 107
2) 방첩대의 조직과 편제 108
3) 육군보안사령부의 조직과 편제 109
4) 국군보안사령부의 조직과 편제 111
5) 국군기무사령부의 조직과 편제 117
3. 보안사의 대공수사 기구 118
1) 보안사 대공처의 구성과 역할 118
(1) 수사과 120
(2) 공작과 122
(3) 심사과 123
4. 보안사 주요 대공사건 목록 - 사령관별 124
4부 보안사에 의한 국가폭력 주요 사건 조사 129
1. 보안사가 행한 국가폭력 주요 사건 조사 130
1) 1960〜70년대 주요 사건 130
(1) 김호섭 등 간첩단 사건(1969.2.12.) 130
(2) 납북귀환어부 김익순 간첩조작 사건(1970.6.20.) 130
(3) 강창구(강장운) 간첩 사건(1970.9.20.) 131
(4) 일본관련 최복남ㆍ최복재 간첩조작 사건(1971.2.22.) 132
(5) 서승ㆍ서준식 형제 간첩단 사건(1971.3.6.) 134
(6) 재일한국인 구말모 간첩조작 사건(1971.11.9.) 136
(7) 일본관련 김용담 간첩조작 사건(1971.11.) 137
(8) 납북귀환어부 박월림 간첩조작 사건(1973.3.27.) 137
(9) 재일한국인 김철우(金鐵佑) 간첩조작 사건(1973.4.10.) 138
(10) 재일한국인 최창일 간첩사건(1973.6.2.) 139
(11) 재일한국인 박선정 간첩조작 사건(1973.6.5.) 139
(12) 일본관련 강태중 간첩조작 사건(1973.6.5.) 140
(13) 재일한국인 김철우(金喆佑) 간첩조작 사건(1973.6.29.) 140
(14) 남산부활절연합예배 '내란예비음모' 조작사건(1973.7.6.) 141
(15) 문인간첩단 조작 사건(1974.2.5.) 143
(16) 김영작ㆍ김주태 간첩사건(1974.4.21.) 146
(17) 재일한국인 최철교 등 3형제 간첩단 조작 사건(1974.4.) 146
(18) 강갑영 등 무전간첩단 사건(1974.7.21.) 147
(19) 진두현, 김태열, 박기래, 강을성 등 간첩단 사건(1974.10.3.) 148
(20) 재일한국인 유학생 이동석 등 간첩조작 사건(1975.11.28.) 149
(21) 재일한국인 유학생 강종헌 등 서울의대생 간첩조작 사건(1975.11.28.) 150
(22) 재일한국인 유학생 조득훈 간첩조작 사건(1975.12.11.) 151
(23) 이수희 간첩 사건(1975.12.11.) 152
(24) 김정사ㆍ유영수ㆍ유성삼 등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조작 사건(1977.4.21.) 152
2) 1979〜1980년 합동수사본부 조사 사건 154
3) 1980년대 5공 시기 주요 사건 171
(1) 여석조 간첩사건(1981.4.9.) 171
(2) 재일한국인 유학생 김태홍 간첩조작 사건(1981.9.30.) 172
(3) 재일한국인 이헌치 간첩조작 사건(1981.10.10.) 173
(4) 재일한국인 이주광 간첩조작 사건(1981.10.7.) 174
(5) 납북귀환어부 김영일 간첩조작 사건(1982.4.22.) 175
(6) 재일한국인 박영식 간첩조작 사건(1982.5.19.) 176
(7) 재일한국인 유학생 이종수 간첩조작 사건(1982.11.6.) 177
(8) 일본관련 최양준 간첩조작 사건(1982.11.17.) 177
(9) 일본관련 하원차랑ㆍ곽종대ㆍ김해봉 간첩조작 사건(1983.7.4.) 178
(10) 일본관련 김상순 간첩조작 사건(1983.7.20.) 179
(11) 재일한국인 박박 등 간첩조작 사건(1983.8.10.) 180
(12) 재일한국인 김병진, 서성수 등 간첩조작 사건(1983.8.15.) 181
(13) 납북귀환어부 이상철 간첩조작 사건(1983.11.15.) 181
(14) 납북귀환어부 김진용 간첩조작 사건(1984.1.1.) 183
(15) 재일한국인 유학생 허철중 간첩조작 사건(1984.3.6.) 183
(16) 납북귀환어부 김용태 간첩조작 사건(1984.4.12.) 184
(17) 납북귀환어부 서창덕 간첩조작 사건(1984.5.26.) 185
(18) 서경윤ㆍ서병윤 간첩조작 사건(1984.7.1.) 186
(19) 재일한국인 유학생 윤정헌 간첩조작 사건(1984.8.27.) 188
(20) 납북귀환어부 이민호 간첩 사건(1984.8.30.) 189
(21) 재일한국인 유학생 조일지 간첩조작 사건(1984.9.1.) 189
(22) 재일한국인 유학생 조신치 간첩 사건(1984.9.3.) 190
(23) 제일교회 폭력 사건(1984.9.) 191
(24) 나종인ㆍ나종갑 간첩조작 사건(1984.10.5.) 194
(25) 이곤 간첩조작 사건(1984.10.8.) 194
(26) 일본관련 김계수 간첩 사건(1985.4.22.) 195
(27) 납북귀환어부 이병규 간첩조작 사건(1985.5.17.) 195
(28) 납북귀환어부 정삼근 간첩조작 사건(1985.5.20.) 196
(29) 미국, 유럽 등 해외유학생 간첩단 조작 사건(1985.6.2.) 197
(30) 재일한국인 유지길 간첩 조작기도 사건(1985.6.8.) 198
(31) 김윤수ㆍ이영자 간첩 사건(1985.6.10.) 200
(32) 일본관련 구명서 간첩조작 사건(1985.10.11.) 200
(33) 일본관련 강광보 간첩조작 사건(1985.12.) 202
(34) 일본관련 김양기 간첩조작 사건(1986.2.21) 203
(35) 일본관련 구명우 간첩조작 사건(1986.3.18.) 204
(36) 서노련(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1986.5.) 205
(37) 일본관련 김순일 간첩조작 사건(1986.6.) 206
(38) 재일한국인 이동기 간첩사건(1986.8.16.) 207
(39) 남노련(서울남부지역노동자연합) 사건(1987.5.) 207
(40) 일본관련 장의균 간첩사건(1987.9.4.) 210
(41) 김정환 생매장 협박 사건(1989.8.) 211
4) 1988년 이후 민간인 사찰 관련 주요 내용 211
5) 민간인 사찰 사건과 '청명(비상시 예비검속)계획' 214
6) 녹화사업 217
5부 보안사의 고문 224
1. 보안사 고문의 특징 225
2. 보안사 고문의 공간 228
1) 서빙고분실 228
2) 장지동분실(송파분실) 234
3) 갈월동분실ㆍ진양분실ㆍ과천분실 236
4) 지방 보안대 237
(1) 506서울보안부대(범진사) 237
(2) 501부산보안부대(삼일공사) 239
(3) 광주 505보안부대(무등공사) 242
(4) 제주 508보안부대(한라공사) 249
(5) 납북어부 사건과 보안부대 250
(6) 기타 지역 보안부대의 간첩사건 253
3. 보안사 고문수사에 의한 사망 의혹사건 253
1) 고희두 사망사건 255
2) 강갑영ㆍ김욱동 사망사건 255
3) 김태열ㆍ강을성 사형사건 256
4) 임기윤 의문사 사건 257
5) 권영백 의문사 사건 259
6) 신원 미상 피의자 자살사건 259
7) 납북어부 임성국 고문후유증 사망사건 261
8) 시인 박정만 고문후유증 사망사건 262
9) 녹화사업 과정 중에 발생한 사망의혹 사건 262
4. 정신적 후유장애로 인한 피해 263
6부 보안사 국가폭력 고문 가해자 271
1. 주요 사건별 지휘체계 및 수사관 명단 272
1) 납북어부 김익순 간첩조작 사건(1970.6.20.) - 강릉308보안대 272
2) 최복남ㆍ최복재 간첩조작 사건(1971.2.22.) - 광주(505)보안대 272
3) 서승ㆍ서준식 형제 간첩단 사건(1971.3.6./4.20.) 272
4) 납북귀환어부 박월림 간첩조작 사건(1973.3.27.) - 목포해군보안대 272
5) 문인간첩단 사건(1974.2.5) 273
6) 이동석 간첩조작 사건(1975.11.28.) 273
7) 강종헌 간첩조작 사건(1975.11.28.) 274
8) 조득훈 간첩조작 사건(1975.12.11.) 274
9) 이수희 간첩조작 사건(1975.12.) 274
10) 김정사ㆍ유영수 간첩조작 사건(1977.4.21.) 274
11) 재일한국인 유학생 김태홍 간첩조작 사건(1981.9.30.) 275
12) 재일한국인 유학생 이헌치 간첩조작 사건(1981.10.10.) 275
13) 납북귀환어부 김영일 간첩조작 사건(1982.4.) - 광주505보안부대 275
14) 재일한국인 유학생 박영식 간첩조작 사건(1982.5.19.) 276
15) 재일한국인 유학생 이종수 간첩조작 사건(1982.11.6.) 276
16) 일본관련 최양준 간첩조작 사건(1982.11.17.) - 부산501보안부대 및 서빙고분실 277
17) 일본관련 하원차랑ㆍ곽종대ㆍ김해봉 등 간첩사건(1983.7.4.) - 부산501보안부대 277
18) 김상순 간첩조작 사건(1983.7.20.) - 대구보안부대(일명 '태백공사') 278
19) 재일한국인 유학생 김병진 사건(1983.7.) 278
20) 재일한국인 박박 간첩조작 사건(1983.8.10.) 279
21) 재일한국인 서성수 간첩조작 사건(1983.8.15.) 279
22) 납북귀환어부 이상철ㆍ김진용 등 간첩조작 사건(1983.11.15.) - 창원502보안부대 280
23) 재일한국인 유학생 허철중 간첩조작 사건(1984.3.6.) 280
24) 납북귀환어부 김용태 간첩조작 사건(1984.4.12.) - 강릉107보안부대 280
25) 납북귀환어부 서창덕 간첩조작 사건(1984.5.26.) - 전주510보안부대 281
26) 서경윤ㆍ서병윤 간첩조작 사건(1984.7.1.) - 제주508보안부대 281
27) 재일한국인 유학생 윤정헌 간첩조작 사건(1984.8.27.) 281
28) 재일한국인 유학생 조일지 간첩 사건(1984.9.1.) 282
29) 나종인ㆍ나종갑 간첩조작 사건(1984.10.5.) 282
30) 납북귀환어부 이병규 간첩조작 사건(1985.5.17.) - 강릉107보안부대 282
31) 납북귀환어부 정삼근 간첩조작 사건(1985.5.20.) - 전주510보안부대 283
32) 재일한국인 유지길 간첩 조작기도 사건(1985.6.8.) 283
33) 일본관련 구명서 간첩조작 사건(1985.10.11.) 284
34) 일본관련 강광보 간첩사건(1986.1.) - 제주508보안부대 284
35) 일본관련 김양기 간첩조작 사건(1986.2.21.) - 광주505보안부대 285
36) 일본관련 구명우 간첩조작 사건(1986.3.18.) 285
37) 녹화사업 286
2. 서훈 명단 287
7부 보안사 관련 사건 피조사자 명단 294
1. 보안사 피해자 사건별 목록 295
2. 녹화사업 피해자 310
3. 현역군인 342
4. 민간인 사찰 피해자 349
5. 재일한국인 보안사 조작간첩 재심 무죄 확정자 명단 369
8부 보안사 고문피해자 심층인터뷰 370
9부 문헌 자료를 통한 고문 등 인권 피해자 증언 요약 372
1.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 사건 373
1) 서승ㆍ서준식 형제 간첩단 사건: 서승(1971.3.6.) 373
2) 강종헌 등 재일한국인 모국유학생 간첩조작사건: 강종헌(1975.12.2.) 376
3) 강종헌 등 재일한국인 모국유학생 간첩조작사건: 서광태(1975.12.2.) 377
4) 강종헌 등 재일한국인 모국유학생 간첩조작사건: 황혜헌 등(1975.12.2.) 378
5) 재일한국인 유학생 등 간첩조작 사건: 김정사(1977.4.21.) 380
6) 재일한국인 유학생 김정사 등 간첩조작 사건: 유영수ㆍ유성삼ㆍ원영삼(1977.4.21.) 384
7)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조작사건: 이종수(1982.11.6.) 386
8)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조작 사건: 김병진(1983.8.15.) 393
9)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조작 사건: 허철중(1984.3.6.) 399
10)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조작 사건: 윤정헌(1984.8.27.) 400
11) 재일한국인 유학생 간첩 사건: 조일지(1984.9.1.) 409
12) 보안사의 재일한국인 유학생 고순자 간첩조작 미수사건(1984.9.21.) 412
2.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415
1)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구말모(1971.11.9.) 415
2)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정승연(1972.4.) 416
3)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김철우(1973.4.10.) 418
4) 재일한국인 간첩조작사건: 최철교(1974.4.25.) 419
5)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진두현 사건: 박석주(1974.10.2.) 422
6)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진두현 사건: 이동현(1974.10.2.) 424
7)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이헌치(1981.10.10.) 425
8) 재일한국인 통혁당위원회 간첩조작사건: 박영식(1982.5.19.) 427
9)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박박(1983.8.10.) 428
10) 재일한국인 유지길 간첩조작 사건(1985.6.8.) 431
11) 재일한국인 간첩조작 사건: 김순일(1986.6.28.) 435
3. 일본관련 간첩조작 사건 437
1) 일본관련 최복남ㆍ김복재 간첩조작 사건: 최복남(광주505보안부대, 1971.2.22.) 437
2) 일본관련 최복남ㆍ김복재 간첩조작 사건: 김복재(광주505보안부대, 1971.2.22.) 439
3) 재일조총련 관련 간첩 사건: 김용담(1971.11.5.) 441
4) 일본관련 간첩조작 사건: 최양준(1982.11.17.) 443
5) 일본취업 관련 간첩조작 사건: 하원차랑ㆍ곽종대ㆍ김해봉(1983.7.4.) 449
6) 일본취업 관련 간첩조작 사건: 김상순(1983.7.20.) 454
7) 일본 관련 간첩조작 사건: 서경윤ㆍ서병윤(1984.7.1.) 458
8) 일본관련 구명서 간첩사건(1985.10.11.) 460
9) 일본관련 김양기 간첩조작 사건(1986.2.21.) 462
10) 일본관련 구명우 간첩조작 사건(1986.3.18.) 469
11) 김영옥 불법구금 및 고문치상 의혹 사건(1986.6.23.) 471
12) 일본관련 장의균 간첩사건(1987.9.4.) 472
4.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473
1) 납북귀환어부 김익순 간첩조작사건(1970.6.20.) 473
2)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박월림(1972.12.30.) 475
3)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김영일(1982.4.22.) 476
4)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이상철(1983.11.15.) 479
5)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김용태(1984.4.12.) 485
6) 납북귀환어부 간첩조작 사건: 서창덕(1984.5.26.) 487
7) 납북귀환어부 이병규 간첩조작 사건(1985.5.17.) 491
8) 납북귀환어부 정삼근 간첩조작 사건(1985.5.20.) 496
9) 보안대의 가혹행위로 인한 납북어부 임성국 사망 사건(1985.7.26.) 498
5. 기타 간첩조작 사건 501
1) 베트남전 실종자 가족 고문사건: 안용수(1966 이후) 501
2) 최건석 사건: 간첩 정체 모르고 안내한 사람을 간첩으로 조작한 사건(1969년) 504
3) 나종인ㆍ나종갑 간첩조작 사건(1984.10.5.) 506
4) 이곤 간첩 조작 사건(1984.10.8.) 508
5) 녹화사업 / 구미유학생 조작간첩단 사건: 김준(1985.6.) 509
6. 민중항쟁: 5ㆍ18 / 부마항쟁 512
1) 부마항쟁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건: 노승일, 김경찬, 황성권, 주대환, 최갑순(1979.10.) 512
2) 부마항쟁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건: 유덕열(1979.10.) 515
3) 5ㆍ18항쟁 관련자 고문조작 사건: 홍남순(1980.5.17.) 521
4) 5ㆍ18항쟁 관련자 고문조작 사건: 홍남순 변호사 사무장, 정광진 사건(1980.5.28.) 528
5) 5ㆍ18 직후 광주505보안대의 여성들에 대한 성고문: 전춘심(1980.5.) 531
6) 5ㆍ18 직후 광주505보안대의 여성들에 대한 성고문: 김선옥(1980.5.) 532
7) 전남도경국장 안병하 고문수사 사건: 안병하(1980.5.) 534
8) 광주미문화원 방화사건 수배자 도피 방조혐의 정종열에 대한 인권침해 사건(1982.3.22.) 537
7. 정치 관련 사건 538
1)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강근호(1972.10.17.) 538
2)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김경인(1972.10.17.) 539
3)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김녹영(1972.10.17.) 540
4)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김상현(1972.10.17.) 542
5)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박종률(1972.10.17.) 543
6)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이세규(1972.10.17.) 544
7)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이종남(1972.10.17.) 545
8)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조연하(1972.10.17.) 546
9)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조윤형(1972.10.17.) 547
10)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최형우(1972.10.17.) 548
11) 유신 반대 야당의원 고문 사건: 홍영기(1972.10.17.) 550
12) 유신 직후 야당 간부 부인 성고문 사건: 이○자(1972.10.17.) 551
13) 10ㆍ26 사건: 김재규(1979.10.) 553
14) YWCA 위장결혼식 사건: 권진관(1979.11.24.) 554
15) YWCA 위장결혼식 사건: 금영균(1979.11.24.) 555
16) YWCA 위장결혼식 사건: 김병걸(1979.11.24.) 557
17) YWCA 위장결혼식 사건: 김상현(1979.11.24.) 564
18) YWCA 위장결혼식 사건: 김주언(1979.11.24.) 567
19) YWCA 위장결혼식 사건: 박철수(1979.11.24.) 569
20) YWCA 위장결혼식 사건: 백기완(1979.11.24.) 571
21)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대수(1979.11.24.) 579
22)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병백(1979.11.24.) 580
23)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신범(1979.11.24.) 581
24)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철용(1979.11.24.) 582
25)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우회(1979.11.24.) 583
26) YWCA 위장결혼식 사건: 이상익(1979.11.24.) 584
8. 신군부 집권과정의 사건 586
1) 12ㆍ12사건: 정승화(1979.12.) 586
2) 12ㆍ12사건: 정승화 동생(1979.12.) 588
3) 1980년 합수부의 국선도인 임상수 등에 대한 인권침해 사건: 임상수, 윤인백, 김영배, 최영식, 박문옹, 김제왕(1980.4.) 589
4) 5.17 후 예비검속 사건: 최형우 591
5) 5.17 후 예비검속 사건: 한승헌(1980.5.) 592
6) 통일사회당 정치위원 김종대의 일본대사관 점거농성 준비 사건: 김종대(1980.7.) 594
7) 신군부의 양병호 대법원판사 연행사건(1980.8.3.) 595
8) 대전고등학교생 유인물 배포사건: 이인범, 이대형(1980) 597
9. 녹화사업 / 학생운동 관련 598
1)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 윤재걸(1971.11.) 598
2) 민청학련 사건: 김학민(1974.4.) 599
3) 민청학련 사건: 김형기(1974.4.) 600
4) 민청학련 사건: 나상기(1974.4.) 603
5) 민청학련 사건: 정상복(1974.4.) 605
6) 무림사건: 이원주(1980.12) 607
7) 녹화사업 중 변대근에 대한 인권침해 사건: 변대근(1983.2.) 609
8) 현역병 우편검열 국가보안법 사건: 김성진(1982.7.) 610
9) 강제징집 녹화사업 병사 사망 사건: 최온순(1983.8.) 611
10) 학생운동 입대자 고문조사 사건: 조정식(1987.2.) 613
11) 보안사에 의한 김정환 생매장 협박 사건(1989.8.9.) 615
10. 언론ㆍ지식인 관련 사건 620
1) 동아일보 유신헌법 국민투표 찬반운동 금지 기사 필화사건: 최재욱(1972.11.) 620
2) 문인간첩단사건: 임헌영(1974.1.) 621
3) 보안사의 언론인 서중석 불법연행ㆍ고문 사건: 서중석(1980년) 623
4) 1980년 언론사 통폐합 및 언론인 강제해직 사건: 경남매일 공봉식ㆍ이생세ㆍ남부희(1980.8.) 624
5) 신동아 광주항쟁 기사 필화사건: 윤재걸(1985.6.25.) 625
6) 신동아 광주항쟁 기사 필화사건: 황호택(1985.6.25.) 627
7) 다산보임 사건: 오명록(1987.9) 629
11. 종교인에 대한 탄압 630
1) 남산부활절연합예배 '내란예비음모' 조작 사건: 김동완(1973.7.6.) 630
2) 남산부활절연합예배 '내란예비음모' 조작 사건: 박형규(1973.7.6.) 634
3) 남산부활절연합예배 '내란예비음모' 조작 사건: 황인성(1973.7.6.) 636
4) 10.27법난 사건: 법달 스님(1980.10.) 643
5) 10.27법난 사건: 혜성 스님(1980.10.) 645
6) 10.27법난 사건: 한영수(1980.10.) 646
7) 제일교회 예배방해 사건: 박형규(1983.8.) 648
12. 노동운동 관련 사건 651
1) 사북항쟁 사건: 김영복(1980.4.) 651
2) 사북항쟁 사건: 이원갑(1980.4.) 653
3) 사북항쟁 사건: 신경(1980.4.) 656
4) 사북항쟁 사건: 최정섭(1980.4.) 657
5) 사북항쟁 사건: 탁경명 등(1980.4.) 659
6) 사북항쟁 사건: 여성피해자들(1980.4.) 664
7) 진주 보안대의 대동중공업노조위원장 이석행 탄압사건(1983) 668
8) 충남보안대의 노동자조직 한마음회 강제해산과 노동자 강제해직 사건: 김태평(1986.3.) 669
9) 인천 5ㆍ3사태 관련 노동자 불법연행조사 사건: 이승숙(1986.5.) 670
10) 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 김문수(1986.5.) 672
11) 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 서혜경(1986.5.) 679
12) 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 김순전, 노정래, 유시주, 윤현숙, 이은홍(1986.5.) 681
13) 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 최한배(1986.5.) 686
14) 서울노동운동연합 사건: 이은홍(1986.5.) 688
15) 남노련 사건: 김영진, 이재권, 유용화, 최동규, 서원기(1987.4.) 689
13. 현역병 관련 사건 691
1) 박상은 사건: 단순탈영을 월북기도로 조작(1969년) 691
2) 청주보안부대 운전병 불법구금 및 고문 사건: 권영길(1979.1.) 693
3) 김세태 등에 대한 보안대의 불법구금 등 인권침해 고문 사건: 김세태(1980.2.14.) 695
4) 군용물 횡령의혹 해병대 주임상사에 대한 고문 사건: 정명룡(1983.3.15.) 696
5) 군복무 중 가혹행위 의혹 사건: 김용기(1983.9.) 699
부록 Ⅰ: 법령 701
1. 육군특무부대령(1957) 702
2. 육군방첩부대령(1960) 703
3. 육군보안부대령(1968) 704
4. 국군보안부대령(1977) 706
5. 국군기무사령부령(1994) 708
6. 군사안보지원사령부령(2018) 709
7. 해군보안부대령(1968) 714
8. 공군첩보대령(1960) 716
9. 해병보안부대령(1968) 718
10. 보안사령부 업무분장 및 운영규정(1960) 720
부록 Ⅱ: 합동수사본부 합수단 취급사건 (〈대공활동사〉 수록) 722
참고문헌 734
[그림 1] 유지길이 작성한 보안사 수사분실의 "엘리베이터식 의자 고문기구" 228
[그림 2]/〈그림 3〉 505보안부대 옛터의 기존 건축물 주요건물 현황 24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