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10

Ⅱ.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 AI와 '우리들의 AI' 13

1.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 임무지향적 AI와 '우리들의 AI' 13

2. 참여형 혁신프로그램으로서의 '우리들의 AI' 사례 분석 16

Ⅲ. '우리들의 AI'의 특성과 의의 22

1. '우리들의 AI'의 특성 22

2. '우리들의 AI'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27

Ⅳ. '우리들의 AI'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32

1. 「우리들의 AI 연구사업」 설치ㆍ운영 32

2. 「우리들의 AI 연구센터」 설립 운영 33

3. 우리들의 AI를 위한 공동자원화 인프라 구축 34

4. 우리들의 AI를 위한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운영 35

5. 사회혁신조직들의 우리들의 AI 기반 혁신 활동 지원 35

6. 우리들의 AI를 활용한 사회혁신 활동의 통합성 강화 37

참고문헌 38

Summary 40

판권기 43

표목차

〈표 1〉 Google AI Impact Challenge 주요 지원 사례 14

〈표 2〉 Dark Matter Lab의 Civic AI 프로젝트들 16

〈표 3〉 WeBuidAI 프레임워크에 입각한 참여적 알고리즘 개발 활동의 내용 20

〈표 4〉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핵심 요소 27

〈표 5〉 시민참여를 통한 우리들의 AI 구현 과정 27

〈표 6〉 사회적 도전과제 대응 AI 시스템 개발에서 우리들의 AI가 갖는 의의 29

〈표 7〉 참여적 AI 프로그램 설계시 고려해야할 이슈들 31

그림목차

[그림 1] 유엔 ITU의 AI for Good의 활동 13

[그림 2]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AI 프로그램의 유형 14

[그림 3] Conneted Urban Forest 프로젝트에서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 가로수ㆍ숲 관리 및 소셜임팩트 측정 17

[그림 4] 412 Food Rescue의 활동과 알고리즘 개발 19

[그림 5] 알고리즘 개발 프레임워크 WebuildAI 20

[그림 6] 인공지능을 통한 인간능력의 대체와 강화 25

[그림 7] 우리들의 AI와 비즈니스 기반 AI의 관계 26

[그림 8] 참여적 AI 프로그램 과정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