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8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8

2. 연구내용 11

3. 연구방법 12

Ⅱ.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현황 분석 14

1.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14

가. 사업운영 현황 14

나. 사업 추진체계 16

2.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사용기관 현황 18

가. 사용기관의 정의와 역할 18

나. 사용기관 현황 20

3.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사용기관 관리 33

가. 사용기관 관리 체계 33

나. 사용기관 관리 및 모니터링 활동 36

다. 사용기관 관리 및 모니터링 활동 현황 38

4. 소결 43

Ⅲ. 국내ㆍ외 사례 분석 46

1. 국내 사례 46

가. 국민내일배움카드 46

나. 문화누리카드 72

다. 사회서비스 바우처 -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91

2. 해외 사례 113

가. 스코틀랜드 Individual Training Accounts(ITA) 113

나. 싱가포르 SkillsFuture Credit 120

3. 국내 유관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128

가. 사용기관 관리 및 부정행위의 개념 128

나. 사용기관 관리 및 부정행위 관련 문제와 개선방안 134

다. 소결 142

4. 국내ㆍ외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에의 시사점 143

가. 국내 사례를 통한 시사점 143

나. 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149

다. 국내ㆍ외 사례를 통한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에의 시사점 152

Ⅳ. 평생교육바우처 관계자 요구분석 154

1. FGI 조사 개요 154

가. 조사 목적과 의의 154

나. FGI 참여자 특성 155

다. FGI 방법 및 결과 분석 157

2. 사용기관 관리 및 모니터링 의미 157

가. 사용기관 관리 및 모니터링 의미와 개념에 관한 인식 158

나. 사용기관 모니터링에서의 확인 사항 160

다. 사용기관 역할 수행 문제점과 지원 방안 162

3. 부정행위 처리 165

가. 부정사용 의미와 행위의 적절성 165

나. 부정사용 방지 방안 166

다. 부정사용 행위 관리 방향성 167

라. 사용기관 및 부정사용 관리 법적 근거 적절성 169

4. 사용기관 관리체계와 주체별 역할 171

가. 향후 사용기관 관리 담당 주체 172

나. 시도평생교육진흥원의 역할 규명 175

5. 소결 177

Ⅴ.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관리 개선방안 180

1.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관리의 개념과 목표 180

가. 사용기관 관리의 개념과 역할 180

나. 사용기관 관리의 체계 184

2. 평생교육바우처 부정사용 처분 방법 186

가. 부정사용 행위의 개념과 유형 186

나. 부정사용 행위 유형별 조치사항 188

다. 부정사용 행위에 대한 처분 조치 절차 191

라. 부정사용 행위 관리 관련 추가 과제 194

3. 사용기관 모니터링 방법 195

가. 모니터링의 개념 195

나. 모니터링의 대상 및 유형 196

다. 모니터링 방법 197

라. 자율관리 방법 202

마. 모니터링 개선을 위한 추가 과제 205

4. 법ㆍ제도 정비 206

가. 평생교육법 및 시행령 개정 사항 206

나. 평생교육이용권 운영규정 개정에 관한 사항 208

5. 사용기관 관리를 위한 정책 과제 209

가. 평생교육바우처 우수 사용기관 지정 사업 실시 209

나. 사용기관 역량을 위한 컨설팅 사업 운영 210

다. 평생교육바우처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정비 211

참고문헌 214

표목차

〈표 Ⅱ-1〉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준수사항 19

〈표 Ⅱ-2〉 지역별 사용기관 수와 비율 21

〈표 Ⅱ-3〉 사용기관 유형별 결제 건수 분포 현황 28

〈표 Ⅱ-4〉 사용기관 유형별 결제승인금액 분포 현황 31

〈표 Ⅱ-5〉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관리 관련 평생교육법 주요 내용 33

〈표 Ⅱ-6〉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추진 체계 내 역할 분담 35

〈표 Ⅱ-7〉 평생교육바우처 모니터링 운영 내용 38

〈표 Ⅱ-8〉 사용기관 유형별 1차 모니터링 위반 내용 분포 현황 40

〈표 Ⅱ-9〉 사용기관 유형별 재모니터링 위반 내용 분포 현황 43

〈표 Ⅲ-1〉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업개요 47

〈표 Ⅲ-2〉 국민평생직업능력개발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훈련기관 요건 48

〈표 Ⅲ-3〉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 운영 관련 사항 49

〈표 Ⅲ-4〉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의 요건 50

〈표 Ⅲ-5〉 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의 요건 국민내일배움카드 운영규정 52

〈표 Ⅲ-6〉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관리 관련 규정 54

〈표 Ⅲ-7〉 BHA 심사 기준(요약) 58

〈표 Ⅲ-8〉 BHA 지위 유지 모니터링 세부 요건 59

〈표 Ⅲ-9〉 BHA 선정기관의 우대 혜택 59

〈표 Ⅲ-10〉 훈련단계별 품질 관리 사항 60

〈표 Ⅲ-11〉 직업능력개발훈련 모니터링의 주요 사항 63

〈표 Ⅲ-12〉 직업능력개발훈련 모니터링 추진체계 및 주체별 역할 64

〈표 Ⅲ-13〉 주요 부정훈련 유형 66

〈표 Ⅲ-14〉 직업능력개발훈련 부정훈련관리 체계 67

〈표 Ⅲ-15〉 부실ㆍ부정훈련 우려기관 대상 지도ㆍ감독 관련 역할 69

〈표 Ⅲ-16〉 「국민평생직업능력개발법」의 부정훈련기관에 대한 제재처분 사항 71

〈표 Ⅲ-17〉 문화누리카드 사업 개요 73

〈표 Ⅲ-18〉 문화누리카드 사업 관리 규정 75

〈표 Ⅲ-19〉 문화누리카드 운영기관별 역할 77

〈표 Ⅲ-20〉 문화누리카드 가맹점 대상 교육 79

〈표 Ⅲ-21〉 문화누리카드 가맹점 점검 내용 80

〈표 Ⅲ-22〉 문화누리카드 위반행위 처리기준 81

〈표 Ⅲ-23〉 문화누리카드 모니터링 대상별 점검 방법 83

〈표 Ⅲ-24〉 문화누리카드 모니터링 관련 역할 84

〈표 Ⅲ-25〉 문화누리카드 부정행위 유형 85

〈표 Ⅲ-26〉 문화누리카드 부정행위 점검체계 86

〈표 Ⅲ-27〉 문화누리카드 부정행위 유형별 처분 내용 89

〈표 Ⅲ-28〉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개요 91

〈표 Ⅲ-29〉 사회서비스 제공 기관의 의무 93

〈표 Ⅲ-30〉 서비스 제공 범위에 따른 관리 체계 95

〈표 Ⅲ-31〉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의 주요 사항 96

〈표 Ⅲ-32〉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주체별 역할 98

〈표 Ⅲ-33〉 정기점검 및 수시점검 대상 기관 100

〈표 Ⅲ-34〉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품질평가 지표 102

〈표 Ⅲ-35〉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교육체계 104

〈표 Ⅲ-36〉 제공 기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04

〈표 Ⅲ-37〉 이상결제 내용 107

〈표 Ⅲ-38〉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의 불법, 부당행위에 대한 행정처분 내용 111

〈표 Ⅲ-39〉 학자별 부정행위의 개념과 유형 130

〈표 Ⅲ-40〉 제도별 부정행위의 개념과 유형 130

〈표 Ⅲ-41〉 업무단계별 부정행위의 유형 133

〈표 Ⅲ-42〉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에서의 모니터링 개선 제안 137

〈표 Ⅲ-43〉 국내 유사 사업 사례 비교 146

〈표 Ⅲ-44〉 해외 유사사례 사용기관 관리 비교 150

〈표 Ⅳ-1〉 FGI 대상 구성 및 인원 156

〈표 Ⅴ-1〉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의 역할 181

〈표 Ⅴ-2〉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의 준수사항(안) 182

〈표 Ⅴ-3〉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협조사항(안) 183

〈표 Ⅴ-4〉 부정사용 행위 구분(안) 187

〈표 Ⅴ-5〉 부정사용 유형 및 처리기준 188

〈표 Ⅴ-6〉 부정사용 행위에 땨른 처분(안) 189

〈표 Ⅴ-7〉 제재부가금 산정기준 191

〈표 Ⅴ-8〉 사용기관 모니터링 유형 197

〈표 Ⅴ-9〉 이상결제 내용(안) 199

〈표 Ⅴ-10〉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 중 현장점검 대상 기관 자체점검표(안) 200

〈표 Ⅴ-11〉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현장점검표(안) 201

〈표 Ⅴ-12〉 평생교육바우처 사용기관의 자체 모니터링표(안) 204

〈표 Ⅴ-13〉 과태료 부과기준 개정 필요 사항 207

그림목차

[그림 Ⅱ-1] 2021~2022년의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운영 제도 변화 15

[그림 Ⅱ-2]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추진절차 16

[그림 Ⅱ-3]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 추진체계 17

[그림 Ⅱ-4] 지역별 사용기관 현황 21

[그림 Ⅱ-5] 설립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2

[그림 Ⅱ-6] 온ㆍ오프라인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2

[그림 Ⅱ-7] 평생교육법 근거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3

[그림 Ⅱ-8] 기타 법령 근거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4

[그림 Ⅱ-9]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여부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5

[그림 Ⅱ-10] 평생학습계좌제 평가인정 여부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5

[그림 Ⅱ-11]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유형별 사용기관 현황 26

[그림 Ⅱ-12] 결제 건수별 사용기관 현황 27

[그림 Ⅱ-13] 결제승인금액별 사용기관 현황 30

[그림 Ⅱ-1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바우처 모니터링 운영체계 37

[그림 Ⅱ-15] 모니터링 위반 내용 현황 39

[그림 Ⅱ-16] 재모니터링 위반 내용 현황 42

[그림 Ⅲ-1]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업 추진체계 55

[그림 Ⅲ-2]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의 기능 및 역할 56

[그림 Ⅲ-3] 부정수급 관리 체계 68

[그림 Ⅲ-4] 직업훈련 품질관리 빅데이터 DB 구축 및 관리 프로세스 68

[그림 Ⅲ-5] 부정훈련기관 명단공표 및 사후관리 절차도 70

[그림 Ⅲ-6] 연도별 합동 지도ㆍ감독 행정처분 변화 72

[그림 Ⅲ-7] 문화누리카드 가맹점 승인절차 74

[그림 Ⅲ-8] 문화누리카드 사업 추진체계 77

[그림 Ⅲ-9] 부정행위 처리 흐름도 88

[그림 Ⅲ-10] 현장점검의 절차 및 주요 내용 101

[그림 Ⅲ-11] 이상결제 업무처리 절차 108

[그림 Ⅲ-12] 전자바우처 클린센터 업무처리 절차 109

[그림 Ⅲ-13] 사회서비스 이용자 준수사항 안내확인 동의서 110

[그림 Ⅲ-14] 훈련 제공 기관 적격 여부 확인 순서도 116

[그림 Ⅲ-15] SkillsFuture 훈련 제공 기관 등록 절차 123

[그림 Ⅲ-16] 부정행위의 유형 132

[그림 Ⅲ-17] 바우처 프로그램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 136

[그림 Ⅲ-18] 통합적 접근방벙 관점에서 부정수급 관리방안 체계도 141

[그림 Ⅳ-1] FGI 절차 및 참여자 구성 155

[그림 Ⅴ-1] 평생교육바우처 관리체계(안) 185

[그림 Ⅴ-2] 평생교육기관 대상 행정처분 절차 191

[그림 Ⅴ-3] 과태료의 부과ㆍ징수 절차 192

[그림 Ⅴ-4] 고발의 처리 절차 193

[그림 Ⅴ-5] 사용기관 역할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 구분 196

[그림 Ⅴ-6] 정기 모니터링 대상 선정 기준 198

[그림 Ⅴ-7] 모니터링 추진 단계 202

[그림 Ⅴ-8] 평생교육이용권 회수ㆍ환수 통지서 개선(안)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