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PART 01. 계획개요 5
1.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의 개념 및 의미 7
2. 계획의 배경 및 목적 9
3. 계획의 성격 및 범위 11
4. 계획수립 과정 및 추진경과 15
PART 02. 도시여건 기초조사 및 분석 19
1. 부산진구ㆍ동구의 위상과 역할 21
2. 일반현황 23
3. 공공자원 현황 37
4. 관련 계획 및 사업 41
5. 중점권역 및 중점추진권역 설정 49
PART 03. 중점추진권역 여건 분석 55
1. 지역의 형성과 변화 57
2. 일반현황 64
3. 주제별 생활여건 현황 75
4. 중점추진권역 현황 종합 87
PART 04. 중점추진권역 공간구상 및 계획 89
1. 기본구상 91
2. 과제별 실천전략 1 : 걸어서 즐기는 도심 94
3. 과제별 실천전략 2 : 언제나 푸른 도심 108
4. 과제별 실천전략 3 : 품격 있는 도심 118
5. 범내ㆍ범일 도심 혁신사업 129
PART 05. 중점추진권역 관리전략 140
1. 구역별 관리지침 마련 142
2. 원도심 통합관리체계 도입 158
PART 06. 실행계획 162
1. 단계별 추진계획 164
2. 정책연계방안 168
3. 조직체계개편 및 운영방안 171
PART 01. 계획개요 8
그림 1. 광역시 특성을 반영한 공간환경전략계획 성격 및 역할 8
그림 2.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배경 및 목적 10
그림 3.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계획항목별 공간적 범위 12
그림 4.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추진체계 15
그림 5. 주요보고 추진 및 연구진 현장답사 모습 16
PART 02. 도시여건 기초조사 및 분석 21
그림 1. 18세기 중반 부산포 모습 21
그림 2. 1950년대 초량 인근 판자촌과 부산항에서 바라본 산복도로 모습 22
그림 3. 1970년대 하늘에서 바라본 서면과 부전역 일대 모습 22
그림 4. 부산진구와 동구의 입지 현황 23
그림 5. 지형 및 생태 현황 24
그림 6. 부산진구ㆍ동구 용도지역 현황 25
그림 7. 부산진구ㆍ동구 도시계획시설 현황 26
그림 8. 부산시 구ㆍ군별 총인구 현황 29
그림 9. 부산시 구ㆍ군별 고령인구 현황 30
그림 10. 부산진구ㆍ동구 토지지목 현황 31
그림 11. 부산진구ㆍ동구 토지소유 현황 32
그림 12. 부산진구ㆍ동구 건축연도 현황 33
그림 13. 부산진구ㆍ동구 건축물 층수 현황 34
그림 14. 부산진구ㆍ동구 건축물 주용도 현황 35
그림 15. 생활기반시설 충족 현황 37
그림 16. 공공건축물 및 공공공간 현황 38
그림 17. 공공건축물 및 공공공간 조성 계획 39
그림 18. 역사문화자원 현황 40
그림 19. 2040 부산도시기본계획 도시공간구조 구상도 41
그림 20. 동천, 부산항 도심 일원 중점경관관리구역 관리방향 43
그림 21. 부산진구 비전 2030 장기발전계획 마스터플랜 44
그림 22. 비전 2030 동구 장기발전계획 마스터플랜 45
그림 23. 북항재개발사업 조감도 46
그림 24. 경부선철도 지하화 상부 공원 조성계획(안) 46
그림 25. 15분 도시 부산 추진 관련 연구 및 가이드라인 47
그림 26. 15분 도시 부산 기본구상 실현가치 기본지향점 및 목표 47
그림 27. 당감개금생활권 15분 도시 마스터플랜 예시(안) 48
그림 28. 도시여건 분석의 종합 49
그림 29. 중점권역 설정 및 관리방향 50
그림 30. 계획구역의 중점권역 설정 51
그림 31. 시민공원 배후권역(주거지 권역) 52
그림 32. 서면전포 권역(상업지 권역) 52
그림 33. 범내범일 권역(상업지 권역) 52
그림 34. 중점추진권역 설정 54
PART 03. 중점추진권역 여건 분석 57
그림 1. 원형기(1904년 이전) 상황 57
그림 2. 태동기(1905~1935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조선방직) 58
그림 3. 성장기(1936년~1949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동명목재) 59
그림 4. 활성기(1950년~1968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광무교 일대) 60
그림 5. 조정기(1969년~1980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부산시민회관과 자성고가교 일대) 61
그림 6. 토건개발기(1981년~2012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부산 1호선 개통 및 부산교통공사 개관) 62
그림 7. 변화모색기(2013년 이후) 시대적 변천 및 주요 현황(동천 보행전용교 및 버스중앙차로 조성) 63
그림 8. 중점추진권역 입지현황 64
그림 9. 중점추진권역 내 상반된 건축물 층수 현황 71
그림 10. 개발사업에 따른 중점추진권역 노후건축물 철거 현황 73
그림 11. 간선도로변 보도 내 즐비하고 있는 가로시설물 및 노상적치물 75
그림 12. 중앙대로ㆍ범일로변에 조성된 차량진출입로 76
그림 13. 중앙대로변 가로활성화 저해 용도 입지 현황 77
그림 14. 남북방향 경부선철도로 단절된 동서지역 77
그림 15. 보행 부문 중점추진권역 현황 78
그림 16. 범내ㆍ범일 중점추진권역 생활SOC 충족현황 79
그림 17. 범내ㆍ범일 중점추진권역 내 유일 공공문화시설(부산시민회관)(좌-부산시민회관 대극장, 우-부산시민회관 소극장) 80
그림 18. 후면부 자투리조경, 개방의무 불이행, 주차장 등 실효성이 낮은 공개공지(좌-대동레미안센트럴시티5차아파트, 우-이샘병원, 아래-ABL생명빌딩) 80
그림 19. 동천변 전면가로와 단절된 화단형 공개공지 조성(전문건설공제조합 부산지점) 81
그림 20. 하늘에서 바라본 부산진성공원 및 저이용 되고 있는 영가대광장 81
그림 21. 여가 부문 중점추진권역 현황 82
그림 22. 주거 부문 중점추진권역 현황 84
그림 23. 섬유, 의류, 직물 등 도매상업 기능을 전담하고 있는 건물형 시장(좌-자유도매시장, 중간-평화도매시장, 우-부산진시장, 아래-범일로일대 도매시장 밀집지역) 85
그림 24. 산업 부문 중점추진권역 현황 86
그림 25. 중점추진권역 현황 종합 87
그림 26. 중점추진권역 현황 종합 도면 88
PART 04. 중점추진권역 공간구상 및 계획 92
그림 1. 범내범일 중점추진권역 공간관리구상 92
그림 2. 과제 설정 및 과제별 주안점 93
그림 3. 범일로 일대 전경 94
그림 4. 도시 비우기 시행 전후 사례 97
그림 5. 도시 비우기 가로시설물 대상 예시 97
그림 6. 서울시 거리가게 허가제 시행 전후 사례 97
그림 7. 미국 뉴욕 플라자 프로그램을 통한 교통섬 재구조화 98
그림 8. 미국 뉴욕 Putnam Triangle Plaza 교통섬 보행광장 조성 98
그림 9. 학교시설 복합화 사례(광명시 광명동초등학교 복합화) 100
그림 10. 미국 노상주차장 파클렛 조성 사례(좌-Stockton Street, 우-Eugene Street) 100
그림 11. 시장 진입로 환경정비 사례(전라남도 광주시 송정역시장) 101
그림 12. 기존 차량혼용교를 입체보행로 정비 사례(미국 Providence Pedestrian Bridge) 103
그림 13. 다리, 교량 활용 야간 무지개 분수 조성 사례(서울시 반포대교) 103
그림 14. 고가 하부공간 수변광장 조성 사례(영국 folly fo a flyover) 103
그림 15. 기존 도로공간 재편 보행자공간 확충 사례(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일대) 104
그림 16. 간선도로변 차량출입체계 정비 계획지침 예시(안) 105
그림 17. 지하철 출입구 대지 내 수용 및 지하부 입체 보행 조성 사례(서울시 아모레퍼시픽 본사) 106
그림 18. 열린 공동주택 단지 조성을 건축물 저층부 가로 활성화 용도 도입 사례(수원시 광교신도시 엘리웨이) 106
그림 19. 공공공간과 사적공간의 경계없는 공공보행통로 조성 사례(미국 Holly Whyte Way) 107
그림 20. 입체적 보행을 위한 공공보행통로 조성 사례(일본 마루노이치 OAZO) 107
그림 21. 부산자유도매시장 일대 전경 108
그림 22. 공공공간 열린광장 조성 전후 예시(안) 111
그림 23. 건물형시장 옥상정원 조성 예시(안) 111
그림 24. 지하차도 상부 덮개공원 조성 사례(미국 보스턴 North End Parks) 112
그림 25. 좌-생활가로 가로녹지대 조성 사례(서울시 강동구 성내로 일대), 우-빈집 활용 소규모 거점녹지 조성 사례(부산시 영도구 봉산마을 일대) 113
그림 26. 고가도로 등 구조물 벽면녹화 예시 113
그림 27. 공개공지 활용 도심 속 도시정원 조성 사례(서울시 종로구 kt 디지코가든) 114
그림 28. 여가공간 통합운영관리 지원 사례(좌-서울형 타운매니지먼트 무교동 일대, 우-무교동 일대) 115
그림 29. 외부공간이 아닌 실내형 공개공지 조성(미국 뉴욕 180 Maiden Lane) 116
그림 30. 도심 전망이 가능한 고층부 개방 및 카페 운영 사례(서울시 중구 씨티스퀘어) 117
그림 31. 개방형 녹지 개념 및 조성 사례(서울시 여의도 일대) 117
그림 32. 부산진성공원 일대 전경 118
그림 33. 도심 문화광장 조성 사례(터키 이스탄불 시샨공원) 121
그림 34. 철길 문화가로 조성 사례(멕시코 쿠에르나바카 선형공원) 121
그림 35. 도심 시장혁신 마스터플랜 수립 사례(서울시 남대문시장 및 마장 축산물시장 일대) 123
그림 36. 건축혁신을 통한 도심 전통시장 활성화 사례(스페인 산타 카라리나, 네덜란드 마크트할) 123
그림 37. 범천1도시환경정비예정(해제) 구역 구역별 유도지침 마련 예시(안) 125
그림 38. 공간기반 계획 유도지침 제도 의무화 및 대상 확대 예시(안) 126
그림 39. 부산형 도심주거 정비모델 계획유도 인센티브 항목 예시(안) 126
그림 40. 도심정비사업 기획ㆍ지원 추진 사례(서울시 신림1구역 신속통합기획) 127
그림 41. 걷고 싶은 메인스트리트 조성 구간 및 구상(안) 130
그림 42. 도심 수변 그린인프라 확충 구상(안) 132
그림 43. 옛 철길(문현선) 입체공원화 개념도 134
그림 44. 부산포 광장 대상부지 현황도 136
그림 45. 부산형 ESG 도시건축 가이드라인 적용 단면도 예시(안) 138
PART 05. 중점추진권역 관리전략 142
그림 1. 도심 내 무분별한 개발단위 설정과 건축행위 모습 142
그림 2. 공공성 확보가 미비한 공공공간 사유화 및 도심경관을 훼손하는 과도한 옥외광고물 모습 143
그림 3. 개별 건축여건이 열악한 토지 현황 및 노후주거지 모습(좌-맹지, 과소필지 등 건축행위가 불가한 토지, 우-건축 한계로 건축물과 기반시설이 노후된 저층주거지) 143
그림 4. 도심 지역자원으로서 정체성 강화가 필요한 주요 도시 축 144
그림 5. 범내ㆍ범일 중점추진권역 세부구역 구분 145
그림 6. 민간건축물 연계 사람 중심 상징거리 조성 전후 사례(서울시 세종대로 사람숲길 조성) 146
그림 7. 역사문화자원 보호를 위한 민간관리방안 예시(서울시 피맛길 일대) 147
그림 8. 도심 특화 주거모델 예시(안) 및 공익시설 확보 사례(우-서울역 센트럴자이 우리동네키움센터) 147
그림 9. 수변과 조화로운 저층부 용도 및 시각차폐물 설치 사례(일본 나고야 히사야 오도리 공원 일대) 149
그림 10. 동천과 조화되지 못한 1층부 필로티 주차장 및 건축물 배치 현황 150
그림 11. 민간 건축물 연계 도심 내 하천 친수활동 향유 유도 예시(서울형 수변감성도시 도림천 일대) 150
그림 12. 건축 여건 완화를 위한 선제적 기반시설 설치 예시 152
그림 13. 주변 지역 연계 샌드위치 블록 조성 예시 153
그림 14. 공원 연접지 건축물 관리 부재로 인한 경관차폐 및 공원 사유화 사례(서울시 경의선 숲길 일대) 153
그림 15. 관리지침 실효성 확보방안 155
그림 16. 부산진구 지구단위계획 대상구역 156
그림 17. 동구 지구단위계획 대상구역 157
그림 18. 타 도심보다 부산의 다층적 생활상과 정체성을 담고 있는 원도심권 158
그림 19. 도심부 관리범위 설정(안) 159
그림 20. 도심부 관리계획 체계 및 구성 예시 160
그림 21. 도심부 통합관리체계 실효성 확보방안 161
PART 06. 실행계획 164
그림 1.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단기(2024-2028) 추진사항 164
그림 2.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중기(2029-2033) 추진사항 165
그림 3.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장기(2034-2038) 추진사항 166
그림 4.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과 부산시 주요 정책과의 연계방안 169
그림 5. 부산 공간환경전략계획 위상 및 역할 확보를 위한 법정계획과의 연계방안 170
그림 6. 부산시 조직체계 및 구성(안) 17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