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SSUE NOW: 국제해운 탈탄소화 이니셔티브 현황 및 전망 / 안삼엘 3

MARITIME FOCUS: 선상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동향과 전망 / 임영섭 13

01. 정책동향 25

제81차 MEPC 온실가스 이슈 관련 주요 논의결과 26

일본의 탈탄소화 정책 동향 33

중국의 탈탄소화 정책 동향 43

[DNV] 국제 환경규제와 바이오연료 사용 규정의 명확화 46

[Poseidon Principles] 2023년 포세이돈 원칙 연차보고서 50

02. 기술동향 54

[IEA] 넷제로 로드맵(1.5℃ 목표 달성 경로) 55

[ZESTAs] 완전한 제로 온실가스 기술의 상용화 준비 65

[GMF] 선박 운항효율 향상을 위한 중점 협력사항 76

[EMSA] 선박연료로서 수소의 잠재력 84

판권기 95

표목차

ISSUE NOW: 국제해운 탈탄소화 이니셔티브 현황 및 전망 / 안삼엘 4

표 1. 2022년도 ITCP 주요 활동 및 지원 분야 4

표 2. IMO의 온실가스 이니셔티브(파트너십 프로젝트) 5

표 3. 민간부분 탈탄소화 이니셔티브 6

표 4. 탄소배출제로연합 회원기업의 역할 7

표 5. Ship It Zero가 화주에게 요구하는 조치 및 이행방안 9

표 6. 공공부문 이니셔티브의 국제해운 탈탄소화 감축목표 및 이행 로드맵 9

표 7. 민간부문 이니셔티브의 국제해운 탈탄소화 감축목표 및 이행 로드맵 10

MARITIME FOCUS: 선상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동향과 전망 / 임영섭 21

표 1. 실증 프로젝트에서 발주한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 사양 21

일본의 탈탄소화 정책 동향 33

표 1. 일본의 탈탄소화 정책 요약 33

표 2. 분야별 주요 내용 34

표 3. 주요 내용별 목표 36

표 4. 에너지 기원의 이산화탄소에 대해 부문별 정책 39

표 5. 재생에너지 주력 전원화 목표 40

표 6. 에너지 정책 목표 40

표 7. Green Growth Strategy 부문별 목표 41

표 8. 정책수단 활용 계획 42

중국의 탈탄소화 정책 동향 43

표 1. FYP 녹색 성장 주요 지표 43

표 2/표 1. 중국의 NDC 목표(2021년 10월 기준) 44

[Poseidon Principles] 2023년 포세이돈 원칙 연차보고서 50

표 1. 해상보험에 대한 포세이돈 원칙의 구성 및 특징 50

[IEA] 넷제로 로드맵(1.5℃ 목표 달성 경로) 62

표 1. 해운 및 항공의 연도별 마일스톤 62

[ZESTAs] 완전한 제로 온실가스 기술의 상용화 준비 70

표 1. 수소 시스템의 기술ㆍ상업적 성숙도 요약 70

표 2. 수소 시스템의 기술ㆍ상업적 성숙도 요약 73

표 3. 글로벌 대형 액화수소 탱크 74

[EMSA] 선박연료로서 수소의 잠재력 84

표 1. 보고서 목차 및 주요 내용 84

표 2. 수소 생산경로별 기술, 에너지 효율 및 기술성숙도 85

표 3. 수소 생산 관련 프로젝트 86

표 4. 연료별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수준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수준 87

표 5.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전 세계 재생가능 전력 생산량 전망 88

표 6. 2040년 글로벌 해운을 위한 친환경 수소, 재생가능한 전기 및 전해조 용량 가용성 추정치 89

표 7. 대체연료 추진 선박엔진 개발동향 90

그림목차

ISSUE NOW: 국제해운 탈탄소화 이니셔티브 현황 및 전망 / 안삼엘 8

그림 1. 퍼스트무버연합 참여 기업 8

MARITIME FOCUS: 선상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동향과 전망 / 임영섭 13

그림 1. CCUS 기술의 개요(임영섭, 2023) 13

그림 2. 전 세계 CCS 프로젝트 사례(IEA, 2022; 임영섭, 2023) 13

그림 3. 염대수층 CO₂ 지중 저장 개념도(Bentham & Kirby, 2005) 14

그림 4. CO₂ 포집 방법론의 분류(임영섭, 2023) 14

그림 5. CO₂ 포집 및 저장용량 예측(IEA, 2022) 15

그림 6. 대표적인 알카놀 아민 분자구조(임영섭, 2023) 16

그림 7. 아민 분자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작 예시(임영섭, 2023) 16

그림 8. 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의 일반 개념도(Jung et al., 2015) 17

그림 9. 이산화탄소 액화공정의 일반 개념도(임영섭, 2023) 17

그림 10. 순수한 이산화탄소의 PT 상평형도 18

그림 11. 이산화탄소 저장 및 주입 터미널을 포함한 노던 라이트 프로젝트의 개요도(Northern Lights, 2023) 19

그림 12. 액화 이산화탄소 수송선과 해저 주입정의 직접 연결 하역의 개념(Chiyoda, 2011) 19

그림 13. 노르웨이 노던 라이트 프로젝트 개요(Northern light, 2023) 21

그림 14. (a) IEA 추산 포집원별 CO₂ 포집비용, (b) 선상 CO₂ 포집 비용 연구사례(IEA, 2021; Oh et al., 2024) 22

제81차 MEPC 온실가스 이슈 관련 주요 논의결과 28

그림 1. 채택된 연료사용량 수집데이터 서식 28

그림 2. 비상 상황에서 제한장치 해제에 관한 보고 서식 29

일본의 탈탄소화 정책 동향 35

그림 1. 분야별 GX 투자 금액 35

[Poseidon Principles] 2023년 포세이돈 원칙 연차보고서 51

그림 1. 선박 단위의 기후적합성 평가 51

그림 2. CO₂ 50% 감축 경로 및 100% 감축 경로 52

그림 3. CO₂ 50% 감축 경로, CO₂ 100% 감축 경로에 관한 포트폴리오 기후적합성 점수 53

[IEA] 넷제로 로드맵(1.5℃ 목표 달성 경로) 56

그림 1. 세계 에너지부문 CO₂ 배출량 변화 추이(2000년~2022년) 56

그림 2. 주요 청정에너지 기술 성숙도 변화 추이(1920년~2020년) 58

그림 3. NZE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별 석유ㆍ천연가스ㆍ석탄 공급(2010년~2020년) 60

그림 4. 운송 형태 및 연료별 최종 운송 에너지 소비(2022년-2050년) 61

그림 5. 해운 및 항공 에너지 소비 추이 62

그림 6. (좌)저배출 연료 기술개발 추이, (우)시장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추이 63

[ZESTAs] 완전한 제로 온실가스 기술의 상용화 준비 66

그림 1. 선상 배터리 적용 예시 66

그림 2. 선박 유형에 따른 배터리 추진선박 척수 67

그림 3. 2010년부터의 배터리 추진 유형 비율 68

그림 4. 지역별 배터리 추진선박 운영현황(2022년) 69

그림 5. IMO 등록 기준 배터리 추진선박 현황(2023년 1월) 69

그림 6. 지역별 배터리 추진선박 신조 비율(2022년) 69

그림 7. 저온 LT-PEM 반응 다이어그램 71

그림 8. 기존 및 계획 중인 선박에 설치된 연료전지 시스템 공칭전력 출력(nominal power outputs) 72

[GMF] 선박 운항효율 향상을 위한 중점 협력사항 77

그림 1. 글로벌 해양 포럼(Global Maritime Forum) 회의(그리스, 2023.10) 77

그림 2. 운항효율 향상을 위해 제안된 협력조치의 분류 77

그림 3. 운항효율 개선에 관한 협력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78

그림 4. 'Data and transparency' 관련 협력 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78

그림 5. 'Opt-E-Arrive' 프로그램을 활용한 운항효율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 협력 79

그림 6. 'Contractual changes' 관련 협력 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80

그림 7. 선박 정시 운항(Just In Time) 개념 80

그림 8. 'Pilot projects' 관련 협력 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81

그림 9. 'Ports, terminals and value chains' 관련 협력 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81

그림 10. 'Culture and leadership' 관련 협력 조치의 키워드별 분류 82

그림 11. 개선된 운항 관리와 선박ㆍ항만 간 데이터 공유의 중요성 83

[EMSA] 선박연료로서 수소의 잠재력 90

그림 1. 기존연료 내연기관, 수소연료 내연기관의 kW당 비용(좌), 연료전지 스택/전기모터의 kW당 비용 변화 90

그림 2. 수소 추진 Ro-Pax 선박(2,000~4,999GT)의 연간 추가 TCO(VLSFO 대비 증가율) 91

그림 3. 수소 추진 Ro-Ro 화물선(5,000~9,999DWT)의 연간 추가 TCO(VLSFO 대비 증가율)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