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한일외교는 여론을 반영한 결과인가? 2

Ⅱ. 분석 대상 문항 5

Ⅲ. 한국 여론의 대일 인식과 정부 대응 평가 7

1. 상대국 인식: 정치(국가)-사회(국민)의 구별 7

2. 정부 대응 평가: 역사-경제 양축 지향성 12

Ⅳ. 일본 여론의 대한(對韓) 인식과 정부 대응 평가 18

1. 상대국 인식: 무관심, 동조화, 그리고 민족주의 위화감 18

2. 정부 대응 평가: 안보 지향의 판단 유보 23

Ⅴ. 정치적 효능감: 정부 정책과의 간극 25

Ⅵ. 결론 및 함의: 한일외교의 원셋과 여론 28

참고문헌 33

판권기 34

표목차

〈표 1〉 선택 문항 및 대체 문항 6

〈표 2〉 일본과의 관계에서 취해야 할 입장(단수 응답) 11

〈표 3〉 2013년도 한일 간 상호신뢰 관계 수립에 가장 도움을 줄 수 있는 것(1+2순위) 15

〈표 4〉 한국 정부의 대응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2021년) 17

〈표 5〉 한국 정부의 대응과 태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2021년) 17

〈표 6〉 한국과의 관계에서 취해야 할 입장(단수 응답) 23

그림목차

〈그림 1〉 분석 틀 4

〈그림 2〉 일본에 대한 인상 8

〈그림 3〉 일본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上)과 좋은 인상(下)을 가지는 이유(2014~2023년 평균) 9

〈그림 4〉 일본 정치-사회 운영방식에 대한 이미지(2013~2023년 평균) 10

〈그림 5〉 한국 여론의 한일관계 인식 10

〈그림 6〉 한국 정부의 일본에 대한 대응 평가(2019~2023년) 13

〈그림 7〉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양국이 해야 할 일(2020~2023년 평균) 14

〈그림 8〉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중 대일정책 우선 사항(단수 선택) 16

〈그림 9〉 한국에 대한 인상 19

〈그림 10〉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上)과 좋은 인상(下)을 가지는 이유(2013~2023년 평균) 20

〈그림 11〉 한국 정치-사회 운영방식에 대한 이미지(2013~2023년 평균) 21

〈그림 12〉 일본 여론의 한일관계 인식 22

〈그림 13〉 일본 정부의 한국에 대한 대응 평가(2019~2023년) 24

〈그림 14〉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양국이 해야 할 일(1~3순위) 24

〈그림 15〉 정부의 대일정책에 대한 한국 국민의 정치적 효능감(2021년) 26

〈그림 16〉 정치과정을 통해 본 한일관계 교착 메커니즘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