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국문) 3
SUMMMAY(영문 요약문) 8
1. 서론 19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1.2. 연구 내용 및 추진방법 23
2. 해외 주요국 과학기술 자문기구 현황 26
2.1. 미국 자문기구 26
2.2. 일본 자문기구 40
2.3. 영국 자문기구 46
2.4. 독일 자문기구 50
2.5. 호주 자문기구 60
3. 해외 주요국 과학기술 자문기구 주요 의제 분석 64
3.1. 미국 자문기구 주요 의제 64
3.2. 일본 자문기구 주요 의제 72
3.3. 영국 자문기구 주요 의제 87
3.4. 독일 자문기구 주요 의제 93
3.5. 호주 자문기구 주요 의제 112
4. 해외 주요국 과학기술 자문기구와 협력 의제 도출 117
4.1. 우리나라 과학기술 자문회의 주요 의제 117
4.2. 해외 자문기구와의 협력 의제 125
4.3. 해외 자문기구와의 협력 방안 138
5. 결론 155
5.1. 주요 연구결과 155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59
참고문헌 160
[부록 1] 미국 PCAST의 주요 자문의제 내역 164
[부록 2]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주요 내용 182
[부록 3] 일본의 ASPIRE 사업 개요 184
[부록 4] 한영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주요 내용 185
[부록 5] 한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주요 내용 187
〈그림 1〉 미국 과학기술 행정체계 20
〈그림 2〉 일본의 과학기술정책 추진체계 20
〈그림 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조직도 21
〈그림 4〉 미국 대통령 자문기구 체계 27
〈그림 4〉 미국 대통령 자문기구 체계 27
〈그림 5〉 바이든 정부의 OSTP 조직도 28
〈그림 6〉 OSTP 예산 규모(FY1993~FY2023) 32
〈그림 7〉 OSTP 정규직 규모(Full-Time Equivalent)(FY1993~FY2023) 33
〈그림 8〉 NSTC 조직도 35
〈그림 9〉 일본 기시다 정부의 과학기술 관련 조직도 40
〈그림 10〉 영국 과학기술 거버넌스 체계 46
〈그림 11〉 영국 과학혁신기술부(DSIT) 조직 개편 내용 47
〈그림 12〉 독일 과학기술 세부 거버넌스 체계 50
〈그림 14〉 과학위원회 총회 조직도 57
〈그림 15〉 호주 과학기술 거버넌스 체계 60
〈그림 16〉 일본 과학기술 자문의제 발굴 프로세스 72
〈그림 17〉 글로벌 학술출판사에 의한 시장지배 구조 현황 78
〈그림 18〉 오픈 액세스 논문 구독료 및 게재료 추이 79
〈그림 19〉 연구 프로세스 적용되는 툴 소속 현황 79
〈그림 20〉 JST와 NII에서 운영하는 플랫폼 80
〈그림 2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조직 118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 조직 118
〈그림 23〉 INGSA 리더십 15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