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지역건강 최고 책임자의 한마디 / 김성수 2
리더에게 듣는다 / 오상우 3
이달의 건강 이슈: 팬데믹 비만 4
건강 논단 6
Ⅰ. ICT를 이용한 지역사회 기반의 만성질환 관리의 현실과 향후 방향 / 이중정 6
Ⅱ.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성과와 향후 과제 / 이원영 8
지상강좌: 체중조절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 윤영숙 10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활용 우수 기관 12
Ⅰ. 전라남도 영암군: '건강생활실천율' 지표 개선사례 / 김주연;조진경;이영숙;최문형 12
Ⅱ. 경상남도 양산시: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지표 개선사례 / 정혜민 14
근거기반 지역보건 활동 18
Ⅰ.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동비만예방사업: '움직이는 교실, 건강한 아동' / 정춘선;박수경;나성혜;최정수 18
Ⅱ. 경기도 과천시 신체활동 증진사업 / 허빈;서보영;Bai Haibin 20
Ⅲ.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정신건강사업 / 손은교;조희숙;남궁정희 22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 24
Ⅰ. 한국 성인에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따른 건강행태 / 한미아 24
Ⅱ.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주지역 성인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과 관련 요인 / 황문경 26
지역사회건강조사 현장이야기 28
Ⅰ. 인천: 조사 질관리 및 지역사회건강조사 홍보 / 노량금;정수경;김혜미 28
Ⅱ. 충북: 힘들더라도 꼼꼼하게_표본지점 사전조사 / 김복순 30
우리의 지역보건인 32
Ⅰ. 강원도 정선군 걷기활성화 사업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결정요인 조사 / 심효준 32
Ⅱ. 담배 종류에 따른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금연시도 및 금연성공 방안 마련 / 김수진 34
Ⅲ.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 도출과 개선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 김선경 36
지역사회건강조사 발자취와 이달의 주요 일정 38
주요 행사 및 인물동정 39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아시아-태평양 보건안보액션 프레임워크(APHSAF) 회의 참석(필리핀 마닐라) 39
최종균 질병관리차장 이임 39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책임대학교위원회 회의 개최 39
판권기 40
Ⅱ.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의 성과와 향후 과제 / 이원영 8
그림 1. 고당등록관리사업의 주요내용 모식도 8
그림 2. 고당등록관리사업 개입 전후 개입군(등록군)과 대조군(비등록군) 의료기관 연평균 방문횟수 및 연중 총투약일수 시계열 추이 9
그림 3. 지역사회 당뇨병환자 관리형태와 일차의료기관만성질환관리사업 대상자와 고당등록관리사업 대상자 관계 9
Ⅰ. 전라남도 영암군: '건강생활실천율' 지표 개선사례 / 김주연;조진경;이영숙;최문형 12
그림 1. 영암군 건강생활실천율 변화 12
그림 2. 영암군 건강행태 세부지표 변화 12
Ⅱ. 경상남도 양산시: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지표 개선사례 / 정혜민 14
그림 1. 경상남도 양산시 연령별 인구수 14
그림 2.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양산시)_지역사회건강조사(2022) 14
Ⅰ.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동비만예방사업: '움직이는 교실, 건강한 아동' / 정춘선;박수경;나성혜;최정수 18
그림 1. 2017년 강동구 초등19개교 학생 체질량지수 기준 비만도 분포 18
그림 2. 강동구 아동비만예방을 위한 통합접근 프로그램 18
그림 3. 비만예방을 위한 공간 리모델링 및 환경조성 19
그림 4. 온택트 비만관리(영양, 운동교육) 19
그림 5. 초등학교 건강행태 비교(2021년 교육부 학생 건강검사 vs 강동구) 19
그림 6. 시범사업 후 정상체중군의 BMI 변화율 비교(성별, 사업군/대조군) 19
그림 7. 3년 연속 참여 3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평균 비만율 변화 19
Ⅱ. 경기도 과천시 신체활동 증진사업 / 허빈;서보영;Bai Haibin 21
그림 1.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21
그림 2. 신체활동 친화적 환경조성 21
그림 3. 2013-2023 지역사회건강통계 신체활동 지표(표준화율) 21
Ⅲ.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정신건강사업 / 손은교;조희숙;남궁정희 23
그림 1.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정신건강복지센터-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진행시 배포되는 팜플렛 23
Ⅰ. 인천: 조사 질관리 및 지역사회건강조사 홍보 / 노량금;정수경;김혜미 28
그림 1. CAPI 실습 사례 안 28
그림 2. CAPI실습 오답결과 전달 및 주의 조치 28
그림 3. 지역사회건강조사 홍보 현장 29
Ⅱ. 충북: 힘들더라도 꼼꼼하게_표본지점 사전조사 / 김복순 30
그림 1. 사전조사표 30
그림 2. 조사가구 정보 31
Ⅰ. 강원도 정선군 걷기활성화 사업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결정요인 조사 / 심효준 32
그림 1. 정선군 범주화 도식 32
그림 2. 도보 공간에 대한 만족도 32
그림 3. 도보 공간에 대한 불만족 사유 32
그림 4. 길건너기 환경에 대한 만족도 33
그림 5. 길건너기 환경에 대한 불만족 사유 33
그림 6. 운전자의 보행자 배려 만족도 33
그림 7. 운전자의 보행자 배려에 대한 불만족 사유 33
그림 8. 걷기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 33
그림 9. 걷기 쾌적성 방해 요소 33
Ⅲ.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 도출과 개선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 김선경 37
그림 1. 낙상 경험 유무 37
그림 2. 낙상 경험 횟수 37
그림 3. 낙상 경험 원인 3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