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서론 4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4

1. 연구 배경 4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향 5

1. 연구 범위 5

2. 연구 추진 방향 5

제2장 국내ㆍ외 UAM 동향 파악 6

제1절 국내ㆍ외 정책 동향 6

1. 국내 정책 동향 6

2. 국외 정책 동향 17

제2절 국내ㆍ외 기술 동향 21

1. 국내 기술 동향 21

2. 국외 기술 동향 24

제3장 치안형 UAM 운용개념 32

제1절 치안형 UAM 도입 필요성 및 타당성 32

1. UAM 도입 필요성 32

2. UAM 도입 타당성 34

제2절 치안형 UAM 운용개념 35

1. 검토방향 35

2. 기본개념 36

3. 치안형 UAM 발전방향 38

4. 치안형 UAM 운용개념 41

5. 치안형 UAM 운항시나리오 44

제4장 치안형 UAM 도입방안 48

제1절 치안형 UAM 시범사업 48

1. 대구ㆍ경북 시범사업 연계방안 48

제5장 경찰청 R&D 요소 발굴 67

제1절 국내 UAM R&D 정책 67

1. 한국형 UAM 기술구성도(Tech Tree) 68

2. 미래시나리오 70

3. K-UAM 중점추진기술 71

제2절 경찰청 R&D 요소 검토 73

1. 경찰형 UAM 기술구성도 73

2. 경찰형 UAM 미래시나리오 검토 75

3. 경찰의 R&D 요소 검토 76

[부록] 「치안형 UAM 운용개념서」 작성 예시 78

PART Ⅰ. 개요 81

1. 기본방향 81

2. 배경 83

3. 적용범위 88

PART Ⅱ. 치안형 UAM 운용 발전방향 89

1. 전제조건 89

2. 단계별 치안형 UAM 운용 시나리오 89

2.1. 초기 단계('25~) 치안형 UAM 운용 형태 91

2.2. 성장 단계('30~) 치안형 UAM 운용 형태 91

2.3. 성숙 단계('35~) 치안형 UAM 운용 형태 92

2.4. 고려사항 및 향후 방향 93

PART Ⅲ. 치안형 UAM 운용개념 94

1. 기본조건 94

2. 이해관계자 역할 및 책임 95

3. 경찰청 조직ㆍ임무 97

PART Ⅳ. 치안형 UAM 운용환경 운항 시나리오 100

1. 순찰 분야 100

2. 교통 분야 101

3. 대테러 분야 102

4. 수색구조 분야 103

5. 과학수사 분야 104

PART Ⅴ. [부록] 약어 105

표목차 5

〈표 1-1〉 과업의 내용적 범위 5

〈표 2-1〉 사업여건에 따흔 환경ㆍ방식 고려요소 다각화 11

〈표 2-2〉 사업여건에 따라 요구항목(장비, 사업자)별 요구수준 차등화 11

〈표 2-3〉 사업여건과 요구항목(요구수준)을 연계하는 작업을 순환ㆍ검토 12

〈표 2-4〉 동력식-양력기의 통합 관련 기타 개정사항 개요 18

〈표 2-5〉 현행 연료 예비 요구도 19

〈표 2-6〉 FAA 버티포트 규제 경과 30

〈표 3-1〉 UAM VS 헬기, 드론, 순찰차 비교 34

〈표 3-2〉 과업의 내용적 범위 39

〈표 4-1〉 시범사업 준비 필요서류 48

〈표 4-2〉 치안형 교통분야 서비스 모델 60

〈표 4-3〉 치안형 수색구조 서비스 모델 60

〈표 4-4〉 버티포트 비용 산출 (서식) 62

〈표 4-5〉 공사비 산출방안 63

〈표 4-6〉 시설부대경비 산출방안 63

〈표 4-7〉 장비ㆍ차량 구입비 64

〈표 4-8〉 버티포트 비용 산출 결과(경상북도 경찰청 임시 이ㆍ착륙장_육상형 준중형) 64

〈표 4-9〉 버티포트 비용 산출 결과(고속도로 순찰대 제3지구대_옥상형 소형) 65

〈표 4-10〉 기체구입비 산출 결과(2대) 65

〈표 4-11〉 기체구입비 산출 결과(2대) 66

〈표 5-1〉 K-UAM 단계별 발전에 따른 주요 지표 70

〈표 5-2〉 경찰형 UAM 기술구성도 74

〈표 5-3〉 경찰의 미래시나리오 검토자료 75

그림목차 10

〈그림 2-1〉 G.C 2-1단계 아라뱃길 실증노선(안) 10

〈그림 2-2〉 고흥 K-UAM 실증단지 내 비행 시연 12

〈그림 2-3〉 서울특별시 UAM 상용화 계획 13

〈그림 2-4〉 부산광역시 신공항 연결 UAM 버티포트 구상(안) 14

〈그림 2-5〉 대구광역시 UAM 노선도 14

〈그림 2-6〉 경북 공항일체형 모빌리티 허브 특화도시('23.11) / 경북도-도로공사 MOU('23.7) 15

〈그림 2-7〉 현대자동차 S-A1(좌), S-A2(우) 기체 22

〈그림 2-8〉 현대건설 제시 버티포트 유형 23

〈그림 2-9〉 GS건설 제시 버티포트 유형 24

〈그림 2-10〉 Joby 'S4' 25

〈그림 2-11〉 Acher Aviation 'Midnight' 26

〈그림 2-12〉 Beta Technologies 'ALIA 250' 26

〈그림 2-13〉 Wisk Aero 'Generation 6' 27

〈그림 2-14〉 Volocopter Volocity(좌), Lilium Jet(우) 28

〈그림 2-15〉 CityAirbus NextGen(좌), Vertical Aerospace VX4(우) 28

〈그림 2-16〉 Eve Air Mobility EVE-100(좌), Crisalion Mobility Integrity(우) 30

〈그림 2-17〉 Lilium 社가 구상하는 올랜도 국제공항 내 버티포트 31

〈그림 3-1〉 「2023 UAM 등 신비행체 대국민 인식도 설문조사 및 분석」 32

〈그림 3-2〉 UAM 도입을 통한 As-IsㆍTo-Be 33

〈그림 4-1〉 초기 지역시범사업 준비를 위한 향후 절차(안) 49

〈그림 4-2〉 경찰의 운용개념 방향검토(경북도) 49

〈그림 4-3〉 경찰의 운용개념 방향검토(대구시) 50

〈그림 4-4〉 우선검토 대상지(경상북도 경찰청) 50

〈그림 4-5〉 장애물제한표면 검토(경상북도 경찰청) 51

〈그림 4-6〉 법제도 검토(경상북도 경찰청) 51

〈그림 4-7〉 우선검토 대상지(고속도로순찰대 제3지구대) 52

〈그림 4-8〉 장애물제한표면 검토(경상북도 경찰청) 52

〈그림 4-9〉 법제도 검토(고속도로 순찰대 제3지구대) 53

〈그림 4-10〉 우선검토 대상지(안동경찰서) 53

〈그림 4-11〉 장애물제한표면 검토(안동경찰서) 54

〈그림 4-12〉 법제도 검토(안동경찰서) 54

〈그림 4-13〉 우선검토 대상지(의성경찰서) 55

〈그림 4-14〉 장애물제한표면 검토(의성경찰서) 55

〈그림 4-15〉 법제도 검토(의성경찰서) 56

〈그림 4-16〉 우선검토 대상지(서대구역 SITE A, B) 56

〈그림 4-17〉 우선검토 대상지(서대구역 SITE C) 57

〈그림 4-18〉 장애물제한표면 검토(서대구역 SITE A, B) 57

〈그림 4-19〉 법제도 검토(서대구역 SITE A, B) 58

〈그림 4-20〉 장애물제한표면 및 법제도 검토(서대구역 SITE C) 58

〈그림 4-21〉 우선검토 대상지(대구경북과학기술원) 59

〈그림 4-22〉 장애물제한표면 및 법제도 검토(대구경북과학기술원) 59

〈그림 4-23〉 경상북도 버티포트 대상지(노선) 61

〈그림 4-24〉 대구시 버티포트 대상지(노선) 61

〈그림 5-1〉 K-UAM 기술로드맵 수립을 위한 추진체계 67

〈그림 5-2〉 NASA의 UAM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 프레임 68

〈그림 5-3〉 한국형 UAM 기술구성도 69

〈그림 5-4〉 K-UAM 중점추진기술 및 추진전략 연계도 71

부록표목차 82

〈표 1〉 경찰헬기 보유현황 82

〈표 2〉 경찰차 보유현황 83

〈표 3〉 영국 운용개념서에서 제시한 단계별 정의 85

〈표 4〉 K-UAM 단계별 발전에 따른 주요 지표 89

〈표 5〉 K-UAM 단계별 발전에 따른 경찰청 UAM 구상안 90

부록그림목차 84

〈그림 1〉 NASA에서 제시한 UAM 성숙도 6단계 84

〈그림 2〉 「경찰 미래비전 2050」 종합계획 87

〈그림 3〉 경찰 임무 수행 기동장비(왼쪽부터 헬기, 이륜차, 승합차, 순찰차)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