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Ⅰ. 서론 9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9
2. 연구 내용 및 범위 11
가.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분석 11
나. 교권 4법 이후, 교원의 교권 상황과 학부모와의 관계 변화에 대한 현장 상황 분석 12
다. 외국 사례 조사 분석 13
라. 국내 학부모 학교 참가 사례 조사 13
마. 교사와 학부모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14
3. 연구 수행 방법 14
가. 연구방향 및 범위 14
나. 연구방법 15
Ⅱ. 선행연구 분석 16
1. 학부모의 학교 참여 의의 16
가. 학부모 학교 참여 수준과 유형 16
나. 학부모 학교 참여 실태 18
다. 학부모 학교 참여 효과 23
라. 학부모 학교 참여 영향 요인과 활성화 방안 24
2. 교사와 학부모 관계와 대응 29
가. 교사와 학부모 관계와 갈등 인식 및 대처 29
나. 학부모 민원 유형과 대응 32
다. 교사-학부모 갈등 해결 방안 34
3. 요약 및 소결 36
Ⅲ. 서이초 1년 교사 학부모 관계 변화 양상 39
1. 변화 개관 39
2. 학교와 교육청의 대응 사례 43
가. 학교 민원 대응 체계 구축 관련 우수학교 사례 43
나. 교육지원청 민원대응체계 구축 사례 46
3. 요약 및 소결 55
Ⅳ. 국내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 사례 분석 57
1. 학교별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동 사례 57
가. '초등학교 1'의 사례 세부사항 59
나. '초등학교 2'의 사례 세부사항 60
다. 학교별 갈등 해결 사례와 특별한 협력활동 61
2. 서울시교육청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 63
가. 서울교육백서 중 학부모 관련 정책 63
나. 참여협력담당관 학부모 사업 66
다. 시울시교육청 참여협력담당관 서울학부모지원센터 운영 71
라. 서울시교육청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 사례 75
3. 요약 및 소결 81
Ⅴ. 일본의 교원-학부모 관계와 정책 85
1. 실태 85
2. 원인 추론 89
3. 문제점 94
4. 대책 95
5. 요약 및 소결: 일본 학부모 관련 정책 특이점 101
Ⅵ. 교원-학부모 관계 개선 프로그램 개발 103
1. 미국 가정-학교 파트너십을 위한 이중역량강화 프레임워크(Dual Capacity-Building Framework for Family-School Partnerships) 103
2. 일본 오사카대학 오노다 마사토시 교수의 프로그램 108
가. 가정과 양호한 관계 형성을 위한 교직원 연수 프로그램 108
나. 에코로지컬 맵을 활용한 학부모 대응 프로그램 연수 112
3. 본 연구진 프로그램의 실행 116
가. 기존 교사-학부모 관계 개선 프로그램 검토 116
나. 교사-학부모 관계 개선 프로그램 제안 122
다. 학교의 행사와 일상규범 제정을 통한 관계 회복 126
4. 요약 및 소결 127
Ⅶ. 교원-학부모 관계 개선과 학부모 학교 참여 제도화 방안 129
1. 교원-학부모 관계의 현황과 과제 129
2. 교원- 학부모 관계 개선의 방향 133
가.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 역할에 대한 인식 격차 해소 133
나. 교사-학부모 갈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대책 마련 136
3.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가 제도 141
4. 학부모 학교 참가 제도화 방안 143
가. 제도 현황 143
나. 제도화 방안 145
Ⅷ. 결론 151
참고문헌 153
[그림 Ⅱ-1] The Social Context of Parental Involvement(Hoover-Dempsey et al., 2005) 16
[그림 Ⅲ-1] 서울 A초등학교 민원응대체계 43
[그림 Ⅲ-2] 서울 A초등학교 민원대응팀 민원처리 절차 44
[그림 Ⅲ-3] 서울 B초등학교 민원상담실 운영 모습 44
[그림 Ⅲ-4] 교육활동보호지원단 연계 「서부 SEM119」 운영 46
[그림 Ⅳ-1] 학부모회 학교참여 공모사업 추진 경과 64
[그림 Ⅳ-2] 학부모 교육 참여자수 65
[그림 Ⅳ-3] 학부모·시민협력 과제별 세부 추진 계획 66
[그림 Ⅳ-4] 공동체형 학교문화 조성 67
[그림 Ⅳ-5] 서울 학부모 배움과정 68
[그림 Ⅳ-6] 학부모 마음 상담 프로그램 69
[그림 Ⅳ-7] 찾아가는 온라인 양육자 집단상담 운영 4단계 69
[그림 Ⅳ-8] 서울교육 소통광장 추진단운영 방안 70
[그림 Ⅳ-9] 서울 학부모 배움과정 72
[그림 Ⅳ-10] 서울학부모배움과정 전문과정 - 학부모리더교육 개요 73
[그림 Ⅳ-11] 연도별 학부모리더교육 및 학부모 상담 수료자 수, 만족도 결과 74
[그림 Ⅳ-12] 「찾아가는 이야기 카페」 업무절차도 78
[그림 Ⅴ-1] 2010년-2022년 센터 상담 건수 92
[그림 Ⅴ-2] 상담 내역 93
[그림 Ⅴ-3] 학교문제 해결을 위한 상담의 흐름 97
[그림 Ⅵ-1] The Dual Capacity-Building Framework for Family-School Partnerships 1 104
[그림 Ⅵ-2] The Dual Capacity-Building Framework for Family-School Partnerships 2 106
[그림 Ⅵ-3] T시 교육센터 연수회 110
[그림 Ⅵ-4] 에콜로지컬 맵 워크숍 사례 114
[그림 Ⅵ-5] U프로세스 118
[그림 Ⅶ-1] 교사-학부모 관계의 어려움 인식 133
[그림 Ⅶ-2] 진상부모 단골멘트와 체크리스트 135
[그림 Ⅶ-3] 독일 학부모회의 조직 14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