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Ⅰ. 서론 7

Ⅱ. 임팩트 투자의 특성과 현황 9

1. 임팩트 투자의 정의와 특성 9

2. 국내 임팩트 투자의 현황 12

Ⅲ. 지속가능한 사회ㆍ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임팩트 투자: 시스템 투자, 전환적 투자 15

1. 시스템 투자론, 전환적 투자론의 등장 15

2. 시스템 투자의 구성요소 18

3. 시스템 투자 활동 사례: TransCap Initiative 20

Ⅳ. 종합 및 정책 과제 23

1. 종합 23

2. (정책방향) 시스템 투자 모델 도입을 통한 임팩트 투자의 규모와 영향력 확대 25

3. (정책방향) 시스템 투자의 기술기반 강화 27

4. (정책방향) 시스템 투자와 지역문제 해결 활동과의 연계 강화 29

[부록] 국내 임팩트 투자 활동 사례 분석 32

참고문헌 42

Summary 45

판권기 48

표목차 10

〈표 1〉 임팩트 투자와 SRI투자의 비교 10

〈표 2〉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기업 비교 13

〈표 3〉 국내 임팩트 투자사의 활동 14

〈표 4〉 전통적 임팩트 투자와 시스템 투자 17

〈표 5〉 시스템 투자의 유형과 주요 수단 18

〈표 6〉 시스템 전환 혁신활동과 시스템 투자 20

〈표 7〉 TransCap Initiative의 연구 프로젝트 정보 요약 21

〈표 8〉 TransCap Initiative의 프로토타입 프로젝트 정보 요약(일부) 22

〈표 9〉 임팩트 투자의 시스템 투자로의 진화 24

그림목차 15

[그림 1] 임팩트 투자와 시스템 투자의 차이 15

[그림 2] 시스템 전환 투자의 주요 요소 19

[그림 3] TransCap의 탄소제로 모빌리티 전환 프로젝트 투자 개요 26

부록표목차 41

〈부록 표 1〉 MYSC 성과 41

부록그림목차 34

[부록 그림 1] 루트임팩트 성과 34

[부록 그림 2] 소풍벤처스 성과 36

[부록 그림 3] 임팩트스퀘어의 임팩트 투자를 통한 통합성장지원 프로세스 38

[부록 그림 4] 임팩트스퀘어 성과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