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Ⅰ. 서론 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

2. 연구의 의의 8

Ⅱ. 배출권거래제와 지역경제 9

1. 대전ㆍ세종ㆍ충남 온실가스 배출현황 9

2. 지역의 탄소중립 대응 동향 12

Ⅲ. 기존문헌 검토 15

Ⅳ. 배출권거래제 영향 분석 개요 18

1. 표본의 구성 18

2. 변수의 정의 18

3. 분석 모형 20

Ⅴ. 실증분석 결과 21

1. 기초통계량 21

2. 단변량 분석 22

3. 배출권거래제에 따른 영향 분석 25

4.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 기업 규모, 대상부문별 분석 27

5. 매개효과 분석 32

6. 성향점수매칭(PSM)을 이용한 분석 34

Ⅵ. 결론 38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38

2. 정책적 제언 39

3. 연구의 한계 42

참고문헌 43

[부록 1] 배출권거래제 대상 부문별 업종 현황 47

[부록 2] 지역별ㆍ업종별 분석기업 분포 현황 48

[부록 3] 성향점수매칭(PSM) 기법을 이용한 대응표본 선정 단계 49

표목차 6

〈표 Ⅰ-1〉 탄소중립 관련 국내 주요제도 변천 현황 6

〈표 Ⅱ-1〉 2022년 대전ㆍ세종ㆍ충남 지역의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10

〈표 Ⅱ-2〉 충남 지역의 주요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11

〈표 Ⅱ-3〉 충청남도 탄소중립 2045 전략 12

〈표 Ⅱ-4〉 정부의 배출권거래제 대상기업 주요 지원 프로그램 13

〈표 Ⅳ-1〉 변수의 조작적 정의 19

〈표 Ⅴ-1〉 기초통계량 21

〈표 Ⅴ-2〉 배출권거래제 대상기업 여부에 따른 재무성과 및 타인자본비용 비교 23

〈표 Ⅴ-3〉 상관관계 분석 24

〈표 Ⅴ-4〉 배출권거래제가 재무성과 및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26

〈표 Ⅴ-5〉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별 회귀분석 결과 28

〈표 Ⅴ-6〉 기업규모별 회귀분석 결과 29

〈표 Ⅴ-7〉 배출권거래제 대상 부문별 회귀분석 결과 31

〈표 Ⅴ-8〉 재무성과에 대한 부채조달비용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33

〈표 Ⅴ-9〉 매칭의 질 평가 35

〈표 Ⅴ-10〉 배출권거래제 대상기업과 비대상기업 간 평균차이 검정 35

〈표 Ⅴ-11〉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1:2 매칭) 36

〈표 Ⅴ-12〉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 기업 특성 고려) 37

〈표 Ⅵ-1〉 경기도 기후대응기금 개요 39

〈표 Ⅵ-2〉 대전ㆍ세종ㆍ충남 기후대응 주요 활동 39

〈표 Ⅵ-3〉 대전ㆍ세종ㆍ충남 지역의 금융 지원 방안 41

〈표 Ⅵ-4〉/〈표 Ⅵ-3〉 충청남도 탄소중립 주요 특화단지 조성 계획 현황 41

그림목차 9

〈그림 Ⅱ-1〉 2022년 기준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총배출량 기준) 9

〈그림 Ⅱ-2〉 대전ㆍ세종ㆍ충남 온실가스 총배출량 추이 11

〈그림 Ⅱ-3〉 충남의 지자체 관리권한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추이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