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Ⅰ. 거시경제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 5

1. 서론 5

2. 동향 10

3. 전망 23

4. 위험 29

5. 정책 38

Ⅱ. 노동력 부족 문제의 이해: 구조적 요인 분석 53

1. 서론 53

2. 팬데믹 회복기 이후 안정세로 전환된 OECD 국가의 노동시장 55

3. 기업 단위에서의 증거: 고용주 설문조사를 통한 주요 시사점 63

4.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개혁의 필요성 78

5. 결론 95

Ⅲ/Ⅱ. 주요국의 경제 및 재정전망 97

1. 호주 97

2. 캐나다 100

3. 중국 105

4. 유로지역 110

5. 프랑스 114

6. 독일 118

7. 일본 122

8. 한국 126

9. 네덜란드 129

10. 스웨덴 132

11. 영국 135

12. 미국 139

표목차 9

〈표 Ⅰ-1〉 향후 2년간 세계 GDP 성장률은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9

〈표 Ⅱ-1〉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 완화를 위한 정책 선택 79

〈표 Ⅲ-1〉 호주 경제 및 재정전망 99

〈표 Ⅲ-2〉 캐나다 경제 및 재정전망 104

〈표 Ⅲ-3〉 중국 경제 및 재정전망 109

〈표 Ⅲ-4〉 유로지역 경제 및 재정전망 113

〈표 Ⅲ-5〉 프랑스 경제 및 재정전망 117

〈표 Ⅲ-6〉 독일 경제 및 재정전망 121

〈표 Ⅲ-7〉 일본 경제 및 재정전망 125

〈표 Ⅲ-8〉 한국 경제 및 재정전망 128

〈표 Ⅲ-9〉 네덜란드 경제 및 재정전망 131

〈표 Ⅲ-10〉 스웨덴 경제 및 재정전망 134

〈표 Ⅲ-11〉 영국 경제 및 재정전망 138

〈표 Ⅲ-12〉 미국 경제 및 재정전망 142

그림목차 10

[그림 Ⅰ-1] 세계 성장은 안정적이고, 서비스업 활동은 제조업 활동을 능가 10

[그림 Ⅰ-2] 물가상승률은 계속 하락해 중앙은행 목표와 점차 일치 17

[그림 Ⅰ-3] 무역은 2023년 약세로부터 점차 회복 19

[그림 Ⅰ-4] 금융 여건은 완화를 유지 21

[그림 Ⅰ-5] 세계 성장은 계속 안정적일 전망 23

[그림 Ⅰ-6] 세계 무역 비중은 계속 안정적일 전망 27

[그림 Ⅰ-7] 경제활동인구 증가세 약화에 따라 고용 성장은 완화될 전망 28

[그림 Ⅰ-8] 물가상승률은 목표로 복귀할 전망 29

[그림 Ⅰ-9] 정책금리는 점차 인하될 전망 39

[그림 Ⅰ-10] 정책금리 인하가 공공 채무 상환 비용을 낮추는 데에는 시간이 소요 44

[그림 Ⅰ-11] 통화정책 경로는 신흥국별로 다변화 47

[그림 Ⅰ-12] 재정 동향은 신흥국별로 다변화 48

[그림 Ⅰ-13] 노동력 부족을 줄이기 위해 광범위한 정책 개혁이 필요 52

[그림 Ⅱ-1] 체계화된 개념 구조도 55

[그림 Ⅱ-2] 주기적 노동력 부족 현상 완화 56

[그림 Ⅱ-3] 세계 금융위기 이후 베버리지 곡선의 변화 57

[그림 Ⅱ-4] OECD 국가들의 노동시장 타이트함의 주요 요인: 구인율 증가 59

[그림 Ⅱ-5] 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한 노동력 참여율 60

[그림 Ⅱ-6] 고숙련 부문에서 더 심화된 노동시장 타이트함 61

[그림 Ⅱ-7] 지난 10년 간 노동시장 타이트함과 실질 임금의 연관성 62

[그림 Ⅱ-8] 많은 국가의 저조한 실질 임금 상승률 63

[그림 Ⅱ-9] 2022~2023년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비율 64

[그림 Ⅱ-10] 2022~2023년 산업별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비율 65

[그림 Ⅱ-11] 고임금과 저임금 산업 간 노동력 부족의 차이 66

[그림 Ⅱ-12] 노동력 부족과 기술 수요 변화의 연관성 67

[그림 Ⅱ-13] 기술 수요 변화 기업의 구조적 기술 요구 68

[그림 Ⅱ-14]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 기업의 노동력 부족 심화 71

[그림 Ⅱ-15] 신생 기업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노동력 부족 73

[그림 Ⅱ-16] 노동력 부족이 생산성이 낮은 기업에 미치는 영향 74

[그림 Ⅱ-17] 기업의 생산성 차이에 따른 노동력 부족의 원인과 결과 75

[그림 Ⅱ-18] 열악한 근로조건은 특정 산업에서 노동력 부족을 유발 75

[그림 Ⅱ-19]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는 기업들은 임금 및 보너스 인상, 근무 유연성 확대, 훈련 제공을 통해 인재를 유치하려고 노력 82

[그림 Ⅱ-20] 2019년, 절반 이상의 산업이 공석 충원을 위해 산업 간 재배치 필요 84

[그림 Ⅱ-21] OECD 고용 상위 수준(employment frontier)으로 전환 시 기대되는 고용 효과 91

[그림 Ⅱ-22] 대부분의 OECD 국가는 이민을 통해 인구가 증가함 92

[그림 Ⅱ-23] 외국 출생 여성의 고용률이 자국민 여성보다 낮음 94

참고그림목차 58

[참고 그림 Ⅱ-1-1] 지난 10년간 타이트한 노동시장 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구조적 요인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