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요약 1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자국의 무역적자를 무역 흑자국의 '관세장벽'으로 간주 2

수출 확대에 힘입어 최근 4년간 대미 무역수지가 큰 폭으로 확대 2

2020년 이후 자동차(소비재)를 선두로 중간재ㆍ자본재 품목의 수출이 빠르게 확대 3

최근 미국 제조업의 한국산 제품, 특히 중간재와 자본재에 대한 의존도가 빠르게 증가 4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 확대로 미국의 한국산 수입 의존도 확대 5

대미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중간재ㆍ자본재 수출 증가세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 6

미국 진출 기업들의 현지 매입 확대에 따라, 대미 투자와 미국 산업 간의 연계가 심화되는 양상 6

한국의 대미 수출 확대는 미국 제조업과의 연계 속에서 그 실질적 역할이 재조명되어야 7

[부록] 8

판권기 8

표목차 3

〈표 1〉 주요 품목별 대미 수출 추이 3

〈표 2〉 미국 진출 주요 제조 기업 7

그림목차 2

〈그림 1〉 대미 수출입 및 무역수지 2

〈그림 2〉 대미 재별 수출 추이 2

〈그림 3〉 시간변동 생산(소비재는 소득)탄력성 추정치 4

〈그림 4〉 한국의 대미 그린필드 해외직접투자 금액 추이 5

〈그림 5〉 미국 진출 한국 기업 수 추이 5

〈그림 6〉 미국 진출 기업들의 미 현지 매입 비중 7

부표목차 8

〈부표 1〉 사용자료 8

〈부표 2〉 모형 추정 결과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