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제1장. 연구의 목적과 배경 8
제1절 연구의 개요 및 배경 8
1. 연구의 개요 8
2. 연구의 배경 8
제2절 연구의 범위 9
1. 공간적 범위 9
2. 시간적 범위 9
3. 내용적 범위 9
제3절 연구 수행 계획 10
1. 기초 자료 조사 및 분석 10
2. 공릉동 골목상권 로컬 브랜딩에 대한 전략 수립 10
제2장. 선행 연구와 로컬 브랜딩 방법론 12
제1절 선행 연구 동향 12
1. 로컬 브랜딩 관련 연구 12
2. 공릉동 관련 연구 13
3. 선행 연구 시사점 15
제2절 본 연구 차별성 15
제3절 로컬 브랜딩 방법론(모종린, 2024) 16
1. 로컬 브랜딩과 도시 브랜딩 16
2. 로컬 브랜딩의 3대 요소 17
3. 로컬 브랜딩 사례 17
제3장. 문제 제기 20
제1절 대상지 현황 20
1. 노원구 현황 20
2. 공릉동 현황 21
제2절 공릉동 상권 현황 26
1. 주요 상권 현황 26
2. 상권별 연관어와 해시태그 현황 27
3. 상권별 매출 현황 30
4. 상권별 동선 분석 32
제3절 공릉동 로컬 브랜드 분석 35
1. 로컬 브랜드 현황 35
2. 로컬 브랜드 유형별 분석 37
3. 벤치마킹 사례 49
4. 결론 52
제4절 대상지 비교 분석 54
1. 연구의 필요성 54
2. 공릉동과 연남동 비교 분석 56
3. 상권 분포 비교 61
4. 결론 66
제4장. FGI 분석 결과 67
제1절 FGI 개요 67
제2절 FGI별 주요 내용 70
1. 1차 FGI: 공릉동 주민 대상 로컬 브랜딩 전략 70
2. 2차 FGI: 공릉동 상인 대상 로컬 브랜딩 전략 81
3. 3차 FGI: 지역 전문가 대상 로컬 브랜딩 전략 90
4. 4차 FGI: 갤러리 유치 및 문화공간 활성화 방안 100
5. 5차 FGI: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방안 107
6. 6차 FGI: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113
7. 7차 FGI: 공릉동 상인 대상 로컬 브랜드 상권 활성화 전략 118
8. 8차 FGI: 공동체 지원과 로컬 브랜드 생태계 구축 127
제3절 종합분석 139
제4절 결론 및 제언 142
제5장. 로컬 브랜딩 전략 144
제1절 공릉동과 소지역 마케팅 144
1. 개요 144
2. 공릉동 통합 마케팅 147
3. 공릉동 소지역 마케팅 154
4. 결론 166
제2절 건축디자인 지원 168
1. 동선 제안 168
2. 거점 제안 171
3. 공공영역 하드웨어 개선 172
4. 민간영역 하드웨어 개선 174
5. 건축 기획ㆍ디자인 지원 방안 179
제3절 갤러리와 문화공간 유치 181
1. 현황 및 잠재력 분석 181
2. 서울 미술시장 현황과 공릉동 발전 방향 185
3. 국내 문화예술 생태계 성공 사례 186
4. 공릉동 문화예술 활성화 전략 189
5. 결론 191
제4절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193
1. 개요 193
2.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유형 195
3.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사례 202
4. 공릉동 로컬메이커스페이스 '크래프트 타운' 운영 208
제5절 공릉 유니버시티 조성 212
1. 개요 212
2. 공릉 유니버시티 213
3. 실행 전략 222
4. 결론 225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안 227
제1절 공릉동 비전 및 발전 전략 227
제2절 주요 정책 제안 228
제3절 단계별 추진전략 230
제4절 결론 및 제언 230
참고문헌 232
표 2-1. 공릉동 관련 연구 현황 15
표 2-2. 로컬 브랜딩과 도시 브랜딩 비교 분석(모종린, 2024) 16
표 3-1. 노원구 행정동별 인구, 면적 및 인구밀도 현황(인구 2024년 8월 기준, 면적 2022년 기준) 21
표 3-2. 좌: 노원구 전출입 현황, 우: 공릉동 전출입현황(2022년 기준) 22
표 3-3. 공릉동 주요 축제 23
표 3-4. 공릉동 상인 조직, 주민 조직 23
표 3-5. 공릉동 거점시설: 공원 대학교(건축, 디자인관련 전공), 성당, 교회 등 24
표 3-6. 공릉동 거점시설: 박물관, 미술관 24
표 3-7. 공릉동 거점시설: 주민센터, 도서관, 학교 25
표 3-8. 공릉동 로컬플레이어 현황 :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거, 잡지, 매거진, 마을신문 25
표 3-9. 주요 상권 현황(골목상권 데이터 분석, 2024년 기준) 27
표 3-10.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블랙키위 자료 참고(2024) 28
표 3-11. 공릉동 로컬 브랜드 선정 기준 35
표 3-12. 공릉동 주요 로컬 브랜드 현황(2024) 36
표 3-13. 공릉동 로컬 브랜드: 카페 평가 결과 37
표 3-14. 공릉동 주요 로컬 브랜드 카페 리스트 38
표 3-15. 공릉동 전체 로컬 브랜드 카페 리스트 39
표 3-16. 공릉동 로컬 브랜드 - 푸드 평가 결과 40
표 3-17. 공릉동 주요 로컬 브랜드 푸드 리스트 41
표 3-18. 공릉동 전체 로컬 브랜드 푸드 리스트 42
표 3-19. 공릉동 로컬 브랜드 베이커리 리스트 44
표 3-20. 공릉동 로컬 브랜드 - 독립서점, 복합문화공간 45
표 3-21. 공릉동 로컬 브랜드 노포 리스트 46
표 3-22. 공릉동 로컬 브랜드 공방 리스트 47
표 3-23/표 4-23. 공릉동 로컬 브랜드 꽃집 리스트 48
표 3-24/표 3-23. 벤치마킹 사례 - 연남동 로컬 브랜드 51
표 3-25. 네이버 월평균 검색량 비교 54
표 3-26. 연남동과 공릉동의 건축환경 차이 57
표 3-27. 공릉동과 연남동의 네이버 키워드 분석(2024) 57
표 3-28. 공릉동과 연남동의 로컬 기획자 비교(2024년) 60
표 3-29. 카카오 로컬 API 활용 공릉동과 연남동 상권 분포 비교(2024) 63
표 3-30. Heatmap 활용 공릉동과 연남동 상권 분포 비교(2024) 65
표 4-1. FGI 실시 현황 69
표 4-2. 1차 FGI 참가자 정보 70
표 4-3. 1차 FGI 주요 내용 요약 72
표 4-4. 2차 FGI 참가자 정보 81
표 4-5. 2차 FGI 주요 내용 요약 83
표 4-6. 3차 FGI 참가자정보 90
표 4-7. 3차 FGI 주요 내용 요약 92
표 4-8. 4차 FGI 참가자 정보 100
표 4-9. 4차 FGI 주요 내용 요약 101
표 4-10. 5차 FGI 참가자 정보 107
표 4-11. 5차 FGI 주요 내용 요약 108
표 4-12. 6차 FGI 참가자 정보 113
표 4-13. 6차 FGI 주요 내용 요약 114
표 4-14. 7차 FGI 참가자 정보 118
표 4-15. 7차 FGI 주요 내용 요약 120
표 4-16. 8차 FGI 참가자정보 127
표 4-17. 8차 FGI 주요 내용 요약 128
표 4-18. fgi 회차별 쟁점 사항 도출 139
표 4-19. fgi 주제별 쟁점 사항 도출 140
표 5-1. 1-8차 FGI에서 나온 공릉동의 키워드 정리 146
표 5-2. 공릉동 통합 마케팅 벤치마킹 사례 150
표 5-3. 공릉동 소지역 마케팅 전략 요약 155
표 5-4. 브랜드숍 예시 165
표 5-5. 지역 화폐 예시 165
표 5-6. 크리에이터 타운과 지역 기반 마을 호텔 비교 178
표 5-7. 건축 기획과 건축 디자인 비교 179
표 5-8. 서울 자치구별 박물관, 미술관 현황 (2020년~2023년), 비등록 박물관ㆍ미술관 제외 182
표 5-9. 공릉동 내 갤러리 연관 공간 183
표 5-10. 공릉동 내 문화예술 공간 183
표 5-11. 노원구 인근지역 주요 미술관 183
표 5-12.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소상공인 장인학교, 중기부 메이커스페이스, 농업 기술지원센터 비교 194
표 5-13. 독립형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활용 계획 196
표 5-14. 독립형 메이커 스페이스 장비구축 계획 197
표 5-15. 독립형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 프로그램 198
표 5-16. 독립형 메이커 스페이스 수익 창출 방안 198
표 5-17. 독립형 메이커 스페이스 인력 계획 199
표 5-18. 연계형 메이커스페이스 공간 활용 계획 201
표 5-19. 연계형 메이커스페이스 추가 운영 프로그램 201
표 5-20. 연계형 메이커스페이스 추익 창출 방안 201
표 5-21. 연계형 메이커스페이스 인력 계획 202
표 5-22. 재작소 활동 소개 204
표 5-23. 코랩 활동 소개 206
그림 1-1. 연구의 공간적 범위 9
그림 2-1. 로컬 브랜딩의 3대 요소(모종린, 2024) 17
그림 3-1. 공릉동 상권 세분화 이미지(2024) 27
그림 3-2. 인스타그램 상권별 해시태그언급량(2024) 29
그림 3-3. 공릉동 상권 고객매출 분석(2024) 30
그림 3-4/그림 5-4. 공릉동 상권 고객매출 분석정리(2024), 오픈 허브 30
그림 3-5/그림 5-5. 공릉동 상권 고객매출 분석정리(2024), 오픈 허브 31
그림 3-6/그림 5-6. 공릉동 상권 카테고리별 매출 비율(2024) 31
그림 3-7. 공릉동 상권 카테고리별 매출 비율(2024) 32
그림 3-8. 좌: 로컬 브랜드 현황표시(2024), 우: 로컬 브랜드 현황과 동선 동시표시(2024) 33
그림 3-9. 이동 동선의 개선안 제안(2024) 34
그림 3-10/그림 3-16. 공릉동 로컬 브랜드 카페 분포 39
그림 3-11/그림 3-10. 공릉동 로컬 브랜드 푸드 분포 43
그림 3-12. 공릉동 로컬 브랜드 베이커리 분포 현황 44
그림 3-13. 공릉동 로컬 브랜드 45
그림 3-14. 공릉동 로컬 브랜드 공방 분포 현황 47
그림 3-15. 공릉동 로컬 브랜드 꽃집 분포 현황 48
그림 3-16/그림 3-15. 공릉동 관련 네이버 검색량 비교 55
그림 3-17/그림 3-16. 연남동과 공릉동 소지역 비교 지도 55
그림 3-18/그림 3-19. 공릉동과 연남동의 인스타그램 키워드 분석(2024년 11월 기준) 58
그림 3-19/그림 3-20. 공릉동과 연남동의 골목상권 분류 비교(2024), 기재된 업체는 민간업체를 기준으로 작성 59
그림 3-20/그림 3-21. 공릉동과 상권 카카오 로컬 API 활용 분야별 비교 61
그림 3-21/그림 3-22. 공릉동과 상권 Heatmap 활용 분야별 비교 64
그림 5-1. 공릉동과 소지역 마케팅 제안 144
그림 5-2. 공릉동 5개 소지역 지도 145
그림 5-3. 공릉101앱 이미지, 공릉숲길/공릉101 인스타그램 계정, 공릉숲길인스타그램 포스팅 이미지 147
그림 5-4. 추추마켓 포스터, 안마을신문, 공릉동 제품개발 148
그림 5-5. 웰컴센터 전경, 오프라인 축제 포스터 148
그림 5-6. 노원그린캠퍼스사업 축제포스터, 공존멤버쉽 할인행사 포스터 149
그림 5-7. 공릉동 통합 마케팅 전략 150
그림 5-8. 공릉역에 설치 되어 있는 주변 공원안내지도 154
그림 5-9. 같은 건물에서도 다르게 적인 상권명(좌), 경춘선 숲길을 중심으로 모두 다른 상권명을 표시한 지도(우) 154
그림 5-10. 1구역 지도 156
그림 5-11. 2024년 커피축제(좌)/카페와 이국적음식거리(우) 156
그림 5-12. 경춘선 숲길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공릉역 안내도 157
그림 5-13. 2구역 지도 158
그림 5-14. 도깨비시장 마케팅 현황 158
그림 5-15. 도깨비시장과 인근지역 159
그림 5-16. 3구역 지도 159
그림 5-17. 라스트오더앱 160
그림 5-18. 4구역 지도 161
그림 5-19. 화랑대역 소지역 골목 이미지 161
그림 5-20. 반려동물 환영 안내표시(좌)/반려동물과 추천 산책동선(우) 162
그림 5-21. 5구역 지도 162
그림 5-22. 사잇길 골목의 로컬 브랜드 163
그림 5-23. 적벽돌 소재 활용 사례, 우: 그림 4-15 남문 지역 동선 제안 레드브릭로드 168
그림 5-24. 좌: 그림 4-16 차없는 거리 제안 사례, 우: 그림 4-17 차없는 거리 제안 대상지 169
그림 5-25. 생활사박물관 - 통과 동선 확보 예시 169
그림 5-26. 생활사박물관 배면 - 입면 변경을 통한 골목길 환경 개선 예시 170
그림 5-27. 개미어린이공원 - 통과 동선 개선 및 위성녹지화 예시 170
그림 5-28. 하드웨어 활용 모델 레퍼런스 1. 파크먼트 연희, 2. 사운즈 한남 171
그림 5-29. 광장 확보 예시 172
그림 5-30. 수변 공간 개선 예시 173
그림 5-31. 공원 동선 개선 예시 173
그림 5-32. 도로 자재 교체 예시 174
그림 5-33. 좌 : 사업 시행 전 사례 건축물 사이 담장으로 인해 건물 사이로 접근이 불가하며, 건축물의 사용 가능 입면이 정면 하나로 제한됨, 우 : 사업 시행 후 사례 담장 삭제를 통해... 174
그림 5-34. 연남동 세모길 예시 175
그림 5-35. 연남동 세모길 예시2 175
그림 5-36. 경춘선 숲길 세모길 상권 개발 영역 제안 176
그림 5-37. 경춘선 숲길 세모길 상권 개발 3단계 범위 설정 제안 177
그림 5-38. 메이커스스페이스/마을호텔 레퍼런스 이미지 178
그림 5-39. 건축디자인 지원사업 사례 179
그림 5-40. 건축 기획ㆍ디자인 지원 사업 : 사업 Workflow 180
그림 5-41/그림 5-48. 공릉 유니버시티 콘텐츠 타운 기대효과 211
그림 5-42/그림 5-49. KT&G상상마당 홍대 212
그림 5-43/그림 5-50. KT&G 운영 summary 213
그림 5-44/그림 5-51. 명지월드 SNS계정 대표이미지 214
그림 5-45/그림 4-52. 공릉 유니버시티컨셉제안 이미지1(2024) 214
그림 5-46/그림 5-53. 공릉 유니버시티컨셉제안 이미지2(2024) 215
그림 5-47/그림 5-54. 공릉 유니버시티 컨셉 구성표(2024) 215
그림 5-48/그림 5-55. 공릉 유니버시티 지역 연합 캠퍼스 스토어 운영 제안표(2024) 216
그림 5-49/그림 5-56. 공릉 유니버시티 커뮤니티 기반 비즈니스 제안표(2024) 219
그림 5-50/그림 4-57. 공릉 유니버시티 로고 컬러 예시 이미지(2024) 221
그림 5-51/그림 5-58. 한양대학교 로고티셔츠(2024), 카이스트 캐릭터 넙죽이 인형(2024), 해리포터 교복 및 굿즈(2024), 와플대학 과잠 굿즈(2024) 221
그림 5-52/그림 5-59. 공릉 유니버시티 컨셉 제안 이미지3(2024) 2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