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서론 6
1. 배경 및 목적 7
1.1. 배경 7
1.2. 목적 7
2. 용어의 정의 8
제2장. 정밀조사 개요 10
1. 정밀조사 대상 11
1.1. 하수관로 11
1.2. 맨홀 13
2. 정밀조사 방법 13
3. 정밀조사 업무절차 15
제3장. 장비 및 조사자 자격 기준 16
1. 조사장비 구성 및 운행 방법 17
1.1. 조사장비 구성 17
1.2. 조사장비 운행 방법 21
2. 조사 자격 및 장비 최소 기준 23
2.1. 조사자 및 판독자 자격 24
2.2. 카메라 시스템 최소 기준 24
2.3. 주행 시스템 최소 기준 28
제4장. 내부조사 29
1. 내부조사 준비 단계 30
1.1. 조사대상지역 이동 및 시설물 현황 확인 32
1.2. 조사지점 인근 알림판 및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 32
1.3. 조사자 안전 확인 34
1.4. 시설물 세척 34
1.5. 조사대상 제원 작성 및 맨홀 외부 상태 평가 35
2. 내부조사 단계 36
2.1. 조사자 안전 수칙 및 조사장비 성능 재확인 38
2.2. 인입지역 촬영 38
2.3. 조사자 혹은 촬영장비 진입 39
2.4. 이상항목 촬영 40
2.5. 주행 완료 40
2.6. 재촬영 결정 40
2.7. 알림판 및 교통안전 표지판 회수 40
제5장. 결함판독 41
1. 결함판독 방법 42
1.1. 결함판독 기준 42
1.2. 결함 표기 방법 45
1.3. 침입수 추가 배점 방법 48
2. 결함항목(코드) 49
2.1. 하수관로 결함항목 50
2.2. 맨홀 결함항목 63
3. 상태항목(코드) 74
제6장. 상태등급 76
1. 상태등급 판정 방법 77
1.1. 하수관로 상태등급 판정 방법 77
1.2. 맨홀 상태등급 판정 방법 78
2. 상태등급에 따른 시설물 상태 79
2.1. 구조적 상태등급 79
2.2. 운영적 상태등급 80
3. 상태등급 판정 예시 80
3.1. 하수관로 상태등급 판정 예시 80
3.2. 맨홀 상태등급 판정 예시 82
제7장. 보고서 작성 85
1. 데이터베이스(DB) 구성 86
1.1. 하수관로(Pipe) 정보 86
1.2. 맨홀(Manhole) 정보 87
1.3. 조사 수행(Operation) 정보 87
1.4. 조사 결과(Report) 및 결함(Defect) 정보 87
2. 보고서 작성 87
3. 집계표 작성 90
3.1. 단위 구간(단위 길이) 및 조사 단위 상태등급 집계표 90
3.2. 종합 집계표 91
제8장. 품질관리 92
1. 품질관리 및 품질 보증 93
2. 품질관리 주요 요소 94
3. 조사자의 의무 94
4. 발주자의 의무 95
5. 단계 검수 95
5.1. 초기단계 검수 95
5.2. 조사 중 수시검수 96
5.3. 조사 결과 검증 시의 정확성 측정 96
6. 품질검증(준공검수) 96
6.1. 품질검증 항목 및 내용 96
6.2. 품질검증 절차 98
6.3. 품질검증 기준 및 방법 100
참고문헌 104
[별첨 1] 비시각 조사(보조 조사, Supplementary Inspection) 106
[별첨 2] 조사자 안전 확인 세부사항 112
[별첨 3] 데이터베이스 구성 예시 119
[별첨 4] 하수관로 갱생 공법 선정 예시 130
1. 개요 131
1.1. 서문 131
1.2. 용어정의 132
2. 하수관로 갱생 공법 분류체계 134
2.1. 하수관로 갱생 공법 분류체계 134
2.2. 하수관로 갱생 공법별 정의 135
2.2.1. 보수(Repair, 補修) 135
2.2.2. 갱신(Renovation/Renewal, 更新) 135
2.2.3. 교체(Replacement, 交替) 136
3. 하수관로 갱생 공법 선정 예시 137
3.1. 하수관로 갱생 공법 선정 절차 137
3.2. 하수관로 갱생 공법 선정 기준 138
[참조] 하수관로 갱생 공법별 정의 144
〈그림 2.1〉 정밀조사 대상 시설물 11
〈그림 2.2〉 하수관로 시설물 정밀조사 업무절차 15
〈그림 3.1〉 시각조사에 사용되는 조사장비의 구성(카메라 시스템, 주행 시스템) 예시(M社) 17
〈그림 3.2〉 하수관로의 단면 형상에 따른 중앙점(M) 위치 21
〈그림 3.3〉 관경에 따른 카메라 초점거리 측정 방법 22
〈그림 3.4〉 출력화면에 자막으로 제공되는 조사정보 표기 방법 및 예시 27
〈그림 4.1〉 하수관로 시설물 내부조사 준비 단계 절차도 30
〈그림 4.2〉 하수관로 시설물 내부조사 단계 절차도 36
〈그림 5.1〉 연결관 접합부 영역(Lateral Connection Zone) 모식도 및 조사 전경 예시 43
〈그림 5.2〉 이음부 영역(Joint Zone) 모식도 및 조사 전경 예시 43
〈그림 5.3〉 결함별 관경 변화(감소)량 측정 예시 44
〈그림 5.4〉 결함별 관둘레 손실량 측정 예시 45
〈그림 5.5〉 시설물의 형상에 따른 시계방향 참조 예시 46
〈그림 5.6〉 시계방향 참조를 이용한 결함 위치 표기 방법 예시 46
〈그림 6.1〉 하수관로 상태등급 판정 단계 77
〈그림 8.1〉 품질관리 주요 요소 94
〈그림 8.2〉 품질검증(준공검수) 절차 99
별첨표목차 138
〈표 1〉 하수관로 갱생 목적 및 갱생 방식 의사결정 기준 예시 138
〈표 2〉 하수관로 결함 종류 및 등급별 갱생 목적 선정 조견표 예시 139
〈표 3〉 하수관로 갱생 공법별 제한조건 및 요구사항 예시 141
〈표 4〉 하수관로 갱생 공법별 적용 효과 예시 142
〈표 5〉 파관(Pipe Bursting) 공법의 세부 공법(공압식/수압식)에 따른 차이 163
별첨그림목차 134
〈그림 1〉 하수관로 갱생 공법 분류체계 134
〈그림 2〉 하수관로 갱생 공법 선정 절차 예시 137
〈그림 3〉 패커(Packer)를 활용한 부분충진공법(Joint Grouting)의 시공 예시 145
〈그림 4〉 화학적 안정화(Chemical Stabilisation)를 활용한 전체충진공법(Flood Grouting) 모식도 146
〈그림 5〉 실링 삽입 공법 관련 제품 예시 147
〈그림 6〉 현장 경화 패치(CIPR)에 사용되는 패커 조립 및 연결관 라이닝 시공 예시 148
〈그림 7〉 로봇 보수(Robotic Repair)를 활용한 시공 예시 148
〈그림 8〉 연속관(Continous Pipe) 삽입 공법 모식도 및 시공 예시 150
〈그림 9〉 부분관(Pipe Segments) 삽입 공법 모식도 151
〈그림 10〉 패널(Panel) 라이너가 적용된 부분관 삽입 공법 관내 시공 전경 151
〈그림 11〉 CIPP 공법에 사용되는 라이너의 내부 상세 구조 예시 152
〈그림 12〉 CIPP 라이닝 공법을 활용한 시공 모식도 153
〈그림 13〉 접기 및 성형을 활용한 변형관삽입 시공 모식도 154
〈그림 14〉 접기-성형(Fold and Form) 방식의 타이트-핏(Tight-fit) 라이닝 공법 155
〈그림 15〉 축소/확장(Concentric Reduction/Expansion) 방식이 적용된 Swagelining 공법 모식도 156
〈그림 16〉 나선형 와인딩(Spiral Winding)을 활용한 제관공법의 시공 모식도 156
〈그림 17〉 특수 기계를 활용한 나선형 와인딩(Spiral Winding) 시공 현장 157
〈그림 18〉 3S 라이너가 적용된 부분관 삽입 공법 관내 모식도 157
〈그림 19〉 합성수지 라이닝(Polymeric Materials Lining) 시공 예시 158
〈그림 20〉 합성수지 라이닝 계열 중 에폭시(Epoxy) 라이닝을 활용한 시공 모식도 159
〈그림 21〉 모르타르 라이닝 계열 중 시멘트(Cement) 라이닝을 활용한 시공 모식도 159
〈그림 22〉 내부성형 시공 예시 160
〈그림 23〉 관로 분할(Pipe Splitting) 공법의 시공 모식도 162
〈그림 24〉 관로 분할(Pipe Splitting) 공법의 시공 현장 162
〈그림 25〉 파관(Pipe Bursting) 공법의 시공 모식도 163
〈그림 26〉 공압식 파관(Pipe Bursting) 공법의 시공 현장 164
〈그림 27〉 수압식 파관(Pipe Bursting) 공법의 시공 현장 164
〈그림 28〉 관로 리밍(Pipe Reaming) 공법의 시공 모식도 165
〈그림 29〉 마이크로터널링을 활용한 관로 이식(Pipe Eating) 공법의 시공 모식도 166
〈그림 30〉 관로 추출(Pipe Extraction) 공법을 활용한 시공 모식도 16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