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0

요약문 4

SUMMARY 7

Ⅰ. 서론 1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의 내용 20

3. 연구의 방법 21

Ⅱ. 과거 재정지원사업 현황 및 제도 분석 24

1. CK 사업의 특성 및 성과 24

가. CK 사업의 도입 배경 및 특성 24

나. CK 사업의 성과 및 한계점 30

2. PRIME 사업의 특성 및 성과 33

가. PRIME 사업 도입 배경 및 특성 33

나. PRIME 사업의 성과 및 한계점 38

3. WE-UP 사업의 특성 및 성과 41

가. WE-UP 사업의 도입 배경 및 특성 41

나. WE-UP 사업의 성과 및 한계 44

4. CORE 사업의 특성 및 성과 45

가. CORE 사업의 도입 배경 및 특성 45

나. CORE 사업의 성과 및 한계점 50

5. ACE 사업의 특성 및 성과 51

가. ACE 사업의 도입 배경 및 특성 51

나. ACE 사업의 성과 및 한계점 55

6. 요약 및 시사점 60

Ⅲ. 대학혁신지원사업 현황 및 제도 분석 72

1.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특성 72

가.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도입 배경 72

나.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특성 74

2.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 및 한계점 82

가.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 성과 82

나.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한계점 85

3.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특징 87

가.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도입 배경 87

나.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내용 89

Ⅳ. 사업 주체별 심층 면담 내용 분석 96

1. 면담 조사 개요 96

가. 면담 대상 및 방법 96

나. 면담 참여자 특성 97

다. 면담 내용 100

라. 자료의 처리 102

2. 면담 조사 결과 102

가. 교직원 면담 내용 분석 104

나. 학생 면담 내용 분석 131

다. 지역사회 구성원 면 담 내용 분석 161

3. 요약 및 시사점 170

Ⅴ. 사업 주체별 설문조사 결과 분석 184

1. 조사 개요 184

가. 조사 대상 및 방법 184

나. 조사 참여자 특성 184

다. 조사 내용 186

라. 자료의 처리 188

2. 설문조사 결과 189

가. 교직원 설문 분석 189

나. 학생 조사 결과 211

3. 요약 및 시사점 233

Ⅵ. 요약 및 결론 240

1. 요약 240

2. 결론 247

참고문헌 254

[부록] 질문지 259

표목차 12

〈표 1〉 CK 사업 지원 유형 및 규모 27

〈표 2〉 CK 사업 평가 세부지표(대학 자율 기준) 28

〈표 3〉 PRIME 사업 지원 유형 및 규모 35

〈표 4〉 PRIME 사업 기본계획 주요 내용 요약 36

〈표 5〉 PRIME 사업 세부 평가 지표 37

〈표 6〉 WE-UP 사업의 선정 대학 및 사업명 44

〈표 7〉 CORE 사업 기본계획 주요 내용 요약 48

〈표 8〉 CORE 사업 공통선정평가 지표 49

〈표 9〉 ACE 사업 선정 평가 지표(1, 2, 3단계 공통) 54

〈표 10〉 선정 대학, 예산 등에 따른 ACE 사업 운영 결과 56

〈표 11〉 전체 사업의 주요 특징 68

〈표 12〉 유형별 대학혁신지원사업 76

〈표 13〉 대학혁신지원사업 개요 77

〈표 14〉 대학혁신지원사업 유형별 내용 81

〈표 15〉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 대상 및 규모 93

〈표 16〉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 권역별 표집 대상 대학(교직원) 97

〈표 17〉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 권역별 표집 대상 대학(학생-졸업생 포함) 98

〈표 18〉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 권역별 표집 대상 대학(지자체) 99

〈표 19〉 면담 내용(교직원) 100

〈표 20〉 면담 내용(학생) 101

〈표 21〉 면담 내용(지자체 업무 담당자) 101

〈표 22〉 면담 조사 결과 102

〈표 23〉 교직원 응답자 배경 특성 185

〈표 24〉 학생 응답자 배경 특성 185

〈표 25〉 교직원용 조사 도구 186

〈표 26〉 학생용 조사 도구 187

〈표 27〉 대학의 변화 동력 제공 189

〈표 28〉 대학의 교육혁신 견인 190

〈표 29〉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영역별 성과 190

〈표 30〉 대학혁신사업 성과 만족도 193

〈표 31〉 사업 수행 전ㆍ후 가장 큰 변화/성과 영역 193

〈표 32〉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 체계ㆍ조직 194

〈표 33〉 사업비 운영ㆍ관리 개선 필요성 196

〈표 34〉 재정 관리 방법 개선/신설 효과성 197

〈표 35〉 재정 관리 방법의 적절성 198

〈표 36〉 성과 평가의 적절성 199

〈표 37〉 사업비 및 인센티브 배분ㆍ교부ㆍ집행의 적절성 200

〈표 38〉 학생 참여 201

〈표 39〉 교수 참여 202

〈표 40〉 학생 참여 확대를 위한 개선 사항 203

〈표 41〉 교수 참여 확대를 위한 개선 사항 204

〈표 42〉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효과 205

〈표 43〉 사업 프로그램 중 가장 높은 성과 영역 206

〈표 44〉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개선 영역 206

〈표 45〉 정책 방향 및 운영 지침으로 인한 사업 추진 곤란 경험 208

〈표 46〉 지역사회협력 부분의 RISE 사업 이관 필요성 208

〈표 47〉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 209

〈표 48〉 포럼ㆍ성과공유 통한 정보 습득 및 소통ㆍ정보 교환 기회 마련 필요성 210

〈표 49〉 대학혁신지원사업에 대한 인지 211

〈표 50〉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 212

〈표 51〉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하며 가장 좋았던 점 214

〈표 52〉 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 및 참여 적극성 215

〈표 53〉 사업 프로그램 참여 경험 216

〈표 54〉 사업 프로그램 정보 획득 경로 218

〈표 55〉 프로그램 참여 어려움 이유 219

〈표 56〉 프로그램 참여 지원 220

〈표 57〉 성과에 대한 학생 공유 및 지속적 개선 221

〈표 58〉 대학혁신지원사업 기여도 및 만족도 222

〈표 59〉 프로그램 참여 결정 영향 요인 223

〈표 60〉 프로그램 개설 요구 224

〈표 61〉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얻은 혜택 225

〈표 62〉 사업 프로그램 참여 혜택 227

〈표 63〉 자발적 프로그램 참여 228

〈표 64〉 프로그램 참여 이유 228

〈표 65〉 지속적 참여 의사 229

〈표 66〉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인지 230

〈표 67〉 전공자율선택제 도입 찬성 231

〈표 68〉 전공자율선택제의 긍정적 영향 232

〈표 69〉 면담 조사 결과 요약 240

〈표 70〉 교직원 설문조사 결과 요약 243

〈표 71〉 학생 설문조사 결과 요약 245

〈표 72〉 대학혁신지원사업 수요자 체감형 제도 개선 방안 요약 251

그림목차 15

[그림 1] 기존 재정지원사업과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차이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