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요약문 8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14

제2절 연구의 절차 및 방법 15

제2장 SW 융합의 개념적 모형 18

제1절 국가 경쟁력과 SW 융합의 관계 18

제2절 SW 융합의 편익 25

1. 제품ㆍ서비스의 구조 고도화 25

2. 조직 구조 및 운영 방식의 효율화 27

3. 비즈니스 모델 혁신 28

제3장 금융 산업의 SW 융합 혁신 30

제1절 금융 산업의 개요 30

1. 금융기관 개요 30

2. 금융 산업에서의 SW 시장 현황 32

제2절 금융 산업의 SW 융합 특성 35

1. 신속한 혁신(Speed) 35

2. 협력적 혁신 생태계 조성(Cooperation) 39

3. 환경변화에 유연한 적응(Adaptation) 40

4. 경쟁을 통한 지속적 혁신(Longevity) 42

5. 혁신의 확장성(Expansion) 45

제3절 금융 산업의 SW 기반 제품ㆍ서비스 혁신 46

1. 제품ㆍ서비스의 설계 및 구조 혁신 46

2. 제품ㆍ서비스의 구성 및 배치 50

3. 제품ㆍ서비스의 기능 간 상호작용 및 결합 54

제4절 금융 산업의 SW 기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56

1. 조직 구조 혁신 56

2. 운영 혁신 60

3. 보유 자원 및 역량 혁신 65

제5절 금융 산업의 SW 기반 비즈니스 모델 혁신 68

1. 고객 접점의 확대 68

2. 계약 및 가격 책정 72

제4장 헬스케어 산업의 SW 융합 혁신 77

제1절 헬스케어 산업의 개요 77

1. 헬스케어 산업 및 시장 개요 77

2. 헬스케어 산업에서의 SW 시장 현황 82

제2절 헬스케어 산업의 SW융합 특성 85

1. 신속한 혁신(Speed) 85

2. 협력적 혁신 생태계 조성(Cooperation) 87

3. 환경변화에 유연한 적응(Adaptation) 88

4. 경쟁을 통한 지속적 혁신(Longevity) 90

5. 혁신의 확장성(Expansion) 93

제3절 헬스케어 산업의 SW 기반 제품ㆍ서비스 혁신 96

1.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의 제품ㆍ서비스 혁신 96

2. 루닛(Lunit)의 제품ㆍ서비스 혁신 98

3.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의 제품ㆍ서비스 혁신 100

4. 웰트(WELT)의 제품ㆍ서비스 혁신 103

5. 글로벌 제약사의 제품ㆍ서비스 혁신 105

제4절 헬스케어 산업의 SW 기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107

1.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107

2. 루닛(Lunit)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108

3. 디지털 치료제 기업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109

4. 의료기관의 조직 구조 및 운영 혁신 110

제5절 헬스케어 산업의 SW 기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2

1. 텔라닥 헬스(Teladoc Health)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2

2. 루닛(Lunit)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4

3.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4

4. 웰트(WELT)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5

5. 보험사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117

제5장 결론 119

제1절 SW 융합 정책의 방향 119

제2절 금융 산업의 SW 융합을 위한 정책 제언 121

1. 개인화된 맞춤형 통합 서비스 확대 122

2. SW 기반 업무효율화 가속화 123

3. 금융-비금융 빅블러 생태계 확장 125

4. 금융 자산 및 거래 방식의 디지털화 126

5.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강화 128

6. 금융분야 SW 전문가 양성 확대 129

제3절 헬스케어 산업의 SW 융합을 위한 정책 제언 130

1.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한 SW 품질 및 안전성 확보 방안 마련 133

2. SW 혁신을 촉진하는 제도 설계와 수가 조정 체계 수립 필요 134

3. 헬스케어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유연한 분석 인프라 환경 구축 135

4. 데이터 전송 요구권을 지원하는 SW 기반 구축 136

5. 의료데이터의 안전하고 투명한 활용을 위한 동적 동의 관리 시스템 구축 136

6. 헬스케어 SW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제도 및 규제 컨설팅 136

7. 헬스케어 분야 SW 개발자 교육 프로그램 제공 137

참고문헌 138

표목차 5

〈표 2-1〉 신기술의 사업화 및 확산 속도 20

〈표 2-2〉 타산업의 주요 깃허브 기여 기업 22

〈표 3-1〉 금융기관의 종류 및 주요 금융서비스 31

〈표 3-2〉 핀테크의 종류 및 주요 금융서비스 33

〈표 3-3〉 산업별 전세계 AI SW 시장 규모 전망 38

〈표 3-4〉 국내외 주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비교 49

〈표 3-5〉 데이터 메시 구성요소 60

〈표 3-6〉 인터넷 전문 은행 도입 목적 61

〈표 3-7〉 임베디드 금융 형태 70

〈표 4-1〉 헬스케어 SW 분야 및 주요 사례 84

〈표 4-2〉 AI 기술의 헬스케어 적용 분야 91

〈표 4-3〉 국내외 AI 헬스케어 기업 현황 92

〈표 4-4〉 텔라닥 헬스의 기업인수 목록 97

〈표 4-5〉 루닛 인사이트(Lunit INSIGHT)의 제품 개요 98

〈표 4-6〉 루닛 스코프(Lunit SCOPE)의 제품 개요 99

〈표 4-7〉 페어 테라퓨틱스의 FDA 승인 제품 목록 102

〈표 5-1〉 디지털치료기기 관련 수가(안) 135

그림목차 6

[그림 1-1] SW 진흥 전략의 3대 전략 7대 과제 내용 13

[그림 1-2] SW정책연구소(좌) 및 SW정책포털(우) 사이트 14

[그림 1-3] SW 최신 동향 주제별 분류 결과 및 SW 융합 분야 자료 예시 15

[그림 1-4] 산업별 IT 지출액 및 SW 지출액 (전세계, 2023년) 16

[그림 1-5] 산업별 산업특화 SW 지출액 및 SW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전세계, 2023년) 17

[그림 1-6] 연구의 절차 및 방법 17

[그림 2-1] 마이클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18

[그림 2-2] SW의 지능화를 통한 지속 혁신 과정 24

[그림 2-3] SW 융합 전(좌측)과 후(우측)의 제품ㆍ서비스 구조 변화 26

[그림 2-4] SW(통합 OS) 중심의 자동차 구조 변화 27

[그림 2-5] SW 융합 전(좌측)과 후(우측)의 조직 구조 및 운영 방식 변화 28

[그림 3-1] 금융기관의 가치사슬 32

[그림 3-2] 금융 산업의 디지털 혁신과 핀테크의 등장 33

[그림 3-3] RPA 개념도 36

[그림 3-4] 금융 산업에서의 RPA 도입 분야 37

[그림 3-5] MLOps 개념도 37

[그림 3-6] 토스의 마이크로피처스 아키텍처 모듈 기반 송금 기능 41

[그림 3-7] BaaS 서비스 흐름도 42

[그림 3-8] 금융기관의 가치사슬별 AI 적용 43

[그림 3-9] 세대별 신규 금융 서비스 이용 의향 및 선호도 45

[그림 3-10] 증권형 토큰 기반 조각투자 사례 47

[그림 3-11] 국내 간편결제 이용현황 추이 50

[그림 3-12] 네이버앱의 네이버페이 기능 통합 52

[그림 3-13] 오픈뱅킹의 개념(좌) 및 개방성 정도에 따른 API 유형(우) 55

[그림 3-14] ING의 애자일 조직 구조 57

[그림 3-15] 제품 성장 단계에 따른 토스의 조직 구조 변화 58

[그림 3-16] 블록체인 기반 증권담보대출 64

[그림 3-17] BaaS 비즈니스 모델 유형 71

[그림 3-18] BNPL과 SNBL 거래 방식 비교 74

[그림 4-1] 헬스케어 산업의 구성 79

[그림 4-2] 헬스케어 산업의 가치사슬에 따른 주요 제품 및 서비스 80

[그림 4-3] 아마존 웹서비스의 대표 XaaS 서비스, 헬스케이크(HealthLake) 89

[그림 4-4] 미국의 처방용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현황(2023년 기준) 101

[그림 4-5] 웰트의 WELT-I 디지털 치료제 주요 화면 104

[그림 4-6] 글로벌 제약사의 AI 분야 기술 파트너십 107

[그림 4-7] 텔라닥의 수익 모델 113

[그림 5-1] SW융합에 의한 금융 산업 주요 혁신 트렌드 도출 122

[그림 5-2]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SW 기반 성장 전략 132

[그림 5-3] SW융합에 의한 헬스케어 산업 주요 혁신 트렌드 도출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