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Ⅰ. 서론 11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12
1) 연구의 목적 12
2) 연구의 범위 12
2. 연구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13
1) 문헌 검토 13
2) 전문가 자문 및 사례분석 13
3) 보고서의 구성 13
Ⅱ. '한복생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검토를 위한 환경 분석 15
1.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보호협약 16
1)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의 목적(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제1조) 16
2)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에서 규정하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범위(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제2조) 16
(1)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정의(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제2조 1항) 16
(2)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범위(무형유산 보호협약 제2조 2항) 17
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에 나타난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범주와 특성: 대표목록과 긴급보호목록 17
2.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정책 19
1)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정책 19
(1) 정부간 위원회 19
(2) 평가기구(Evolution Body) 19
(3) 자문기구 20
(4) 처리 방식 21
2) NGO, 전문가 및 전문 연구기관의 역할 22
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기준 23
4)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효과 24
5)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절차 25
(1) 1단계 (국내신청과정) 25
(2) 2단계 (유네스코 등재신청 준비과정) 26
(3) 3단계 (유네스코 등재신청 과정) 26
(4) 4단계 (유네스코 등재심사 및 결정 과정) 27
(5) 위원회의 평가와 결정 27
(6) 공표 27
(7) 일정표 28
6)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심사의 최근 경향 28
7) 등재신청서 작성 시 주의사항 30
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사례 및 분석 31
1)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2016년부터 2024년까지) 31
2) 국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의생활 관련 참고 등재사례 36
(1) 블라우드루크/모드로티스크/켁페슈테시/모드로틀라치, 유럽의 블록 방염날염과 쪽빛 염색공예(Blaudruck/Modrotisk/Kékfestés/Modrotlač, resist block printing...) 36
(2) 라이호신 : 가면을 쓰고 가장을 한 신의 내방의식(來訪儀式) 38
(3) 북한 '조선옷차림풍습 : 조선옷과 관련한 전통적인 지식과 기술, 사회적 관습' 39
3) 국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참고사례 42
(1) 한국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42
(2) 한국 '장담그기 문화' 44
(3) '한지, 전통지식과 기술' 46
Ⅲ. '한복생활'의 정의와 핵심가치 48
1. 한복생활의 정의 49
1) 한복생활의 정의와 특징 49
2) 한복생활의 범주 50
(1) 사회적 관습ㆍ의식 및 제전(Social Practices, Rituals and Festive Events)으로서의 한복생활 51
(2) 전통 공예기술(traditional craftsmanship)로서의 한복생활 52
2. 한복생활의 핵심 가치 53
1) 세계 문화 다양성, 문화간 대화 53
(1) 다문화가정, 장수프로젝트, 문화콘텐츠 등 문화적 소통을 담고 있는 한복생활 53
(2) 화합, 평등과 융합의 산물 56
(3) 가족애 함양 57
(4) 한복생활을 통한 국내ㆍ외 소통, 상호 존중과 이해 촉진 59
2) 지속 가능한 발전 요소로서의 창의성 59
(1) 전통과 창의성의 관계 59
(2) 창의성의 역할, 소통과 향유 60
(3)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결속 61
(4)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확장성 62
3) 무형유산의 보호조치 63
(1) 국가무형유산 목록 지정 63
(2)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법제적 조치 64
(3) 국가, 시ㆍ도 무형유산으로서의 전승과 보존을 위한 보호조치 69
(4) 한복생활의 핵심인 한복 무형유산 원형 보존을 위한 보호조치 74
(5) 한복, 한복생활 전승과 보전을 위한 육성 진흥 정책 지원 76
4) 한복생활의 광범위한 참여 77
(1) 공동체의 한복생활 참여 78
(2) 단체의 한복생활 참여 84
(3) 민ㆍ관 협력과 소통을 통한 한복생활 참여 87
5) 한복생활에 내재 된 전통 공예기술과 지식 92
(1) 국가, 시ㆍ도 무형유산의 전통 공예기술 92
(2) 현대교육과정의 전통 공예기술과 지식 101
Ⅳ. '한복생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106
1. 한복생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기준 부합성 검토 107
1)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제2조)이 명시하는 무형문화유산과의 부합성 107
2) 유네스코 SDGs 요소와 한복생활과의 관계 108
2. 등재관련기관 의견 검토 111
1) 국가유산청 111
2)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12
3)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113
4) 한복세계화포럼 113
5) 자문위원 의견 114
Ⅴ. '한복생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추진 방안 구축을 위한 로드맵 115
1. 단계별 업무 내용 116
1) 국내신청 준비 116
2)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신청 준비 117
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신청 117
4)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심사 및 결정 118
2. 단계별 업무분장 118
3. '한복생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일정(안) 119
4. 단계별 '한복생활' 심포지엄 및 연구과제 목록(안) 120
참고문헌 125
〈그림 1〉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과정 25
〈그림 2〉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목록 중 의생활 관련 유산 지정현황 31
〈그림 3〉 2024년에 등재된 북한의 '조선옷차림풍습'에 설정된 콘셉트(concepts), 굵은 글씨로 표기된 'Costume', 'Technical skills', 'Women workers'가 주요 콘셉임 35
〈그림 4〉 블라우드루크/모드로티스크/켁페슈테시/모드로틀라치, 유럽의 블록 방염날염과 쪽빛 염색공예의 유네스코 ICH 대표목록 등재를 위한 동의서 37
〈그림 5〉 블라우드루크/모드로티스크/켁페슈테시/모드로틀라치, 유럽의 블록 방염날염과 쪽빛 염색공예를 설명하는 사진 37
〈그림 6〉 라이호신 : 가면을 쓰고 가장을 한 신의 내방의식을 설명하는 사진 39
〈그림 7〉 ICH 대표목록에 등재된 북한의 '조선옷차림풍습' 40
〈그림 8〉 '김치와 김장문화' 42
〈그림 9〉 '김치와 김장문화' 42
〈그림 10〉 '김치와 김장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추진을 위한 설문조사 43
〈그림 11〉 국가유산청장 〈한국의 '장담그기 문화'〉유네스코 인류문화무형유산 등재결정 수락 감사연설 장면(2024.12.3., 파라과이 아순시온) 44
〈그림 12〉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45
〈그림 13〉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중 장 담그는 모습 45
〈그림 14〉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한지살리기재단 업무협약(2022) 46
〈그림 15〉 한복생활과 한국의 세계문화유산과의 관계 50
〈그림 16〉 설 명절 문화 나눔 행사, 용인시 가족센터 53
〈그림 17〉 다(多)가치놀자, 평택시 다문화 가족센터 53
〈그림 18〉 (溫)가족 윷놀이 한마당, 대구남구 가족센터 53
〈그림 19〉 다문화가족 한복사진 촬영, 서울 종로구 53
〈그림 20〉 장수사진, 해남군 54
〈그림 21〉 나눔 한마당 행사, 광주 북구 용봉동 54
〈그림 22〉 드라마 대장금, 2003년 54
〈그림 23〉 Neflix 드라마 킹덤, 2019년 54
〈그림 24〉 몬스터엑스, K-컬쳐 54
〈그림 25〉 게임 리그오브레전드, 한복 54
〈그림 26〉 멕시코 유카탄 한인후손들 56
〈그림 27〉 쿠바 호세마르티 한인 후손들 56
〈그림 28〉 파주 사할린 동포 56
〈그림 29〉 '한복의 날' 선포, 미국 뉴저지주 57
〈그림 30〉 한-싱가포르 수교 40주년 한복패션쇼 57
〈그림 31〉 한-베 수교 30주년 기념, 한문화진흥협회 57
〈그림 32〉 한-튀르키예 수교 65주년 57
〈그림 33〉 조선시대 돌잡이 58
〈그림 34〉 현대 돌잡이 58
〈그림 35〉 상복을 입은 여인 58
〈그림 36〉 수의의 상의와 하의 58
〈그림 37〉 제향공간으로서 기능, 소수서원 58
〈그림 38〉 청렴ㆍ충효 교육, 도산서원 교육 58
〈그림 39〉 2005년 BUSAN APEC, 실크 두루마기를 착용한 정상들 59
〈그림 40〉 새로운 스타일의 탄생과 가치로의 전환 60
〈그림 41〉 한복 입고 궁궐 산책하기 60
〈그림 42〉 경복궁에서 아시아 모델 페스티발 60
〈그림 43〉 금강 예술단 국악 예술제 61
〈그림 44〉 전주시 태조어진 봉안행렬 61
〈그림 45〉 한복입고 세계여행하기, 개인활동 61
〈그림 46〉 K-culture의 이해 및 향유를 위한 교육 62
〈그림 47〉 유물 내 손으로 만들기 체험학습 기회 확대 62
〈그림 48〉 전통과 현대의 믹스 & 매치 62
〈그림 49〉 국가 유산 체계 - 국가유산사랑 2024.04 Vol.233 63
〈그림 50〉 2025년-2029년 전통문화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65
〈그림 51〉 가족공동체와 한복생활 78
〈그림 52〉 창동서원 향사 80
〈그림 53〉 이강년 순국 116주기 추모제향 80
〈그림 54〉 전주향교 향사 80
〈그림 55〉 안동태사묘 향사 80
〈그림 56〉 원불교의 한복생활 80
〈그림 57〉 불교인들의 한복생활 81
〈그림 58〉 유불선 갱정유도교 81
〈그림 59〉 교육공동체의 한복생활 82
〈그림 60〉 한복세계화포럼(2024~현재) 한복관련 사업 84
〈그림 61〉 (사)한문화진흥협회 한복관련 사업 85
〈그림 62〉 (사)세계전통복식문화연구원 한복관련 사업 85
〈그림 63〉 (재)아름지기 한복 관련 사업 86
〈그림 64〉 쌈지사랑 규방공예연구소 한복관련 활동사업 86
〈그림 65〉 (사)한국차문화협회 한복관련 활동사업 87
〈그림 66〉 (사)예지원 한복관련 활동사업 87
〈그림 67〉 여성용 모시적삼 저고리 94
〈그림 68〉 누비 제작 과정 중 솜놓기-시침하기-누비기-밀대로 누비기-마무리 95
〈그림 69〉 전통매듭기법과 만드는 과정 97
〈그림 70〉 망건과 탕건의 제작과정 100
〈그림 71〉 직물짜기 101
〈그림 72〉 무형유산 전승 구조체계 102
〈그림 73〉 전승취약종목 특별전시 포스터(2024) 102
〈그림 74〉 국가유산진흥원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102
〈그림 75〉 한복생활과 과학, IT기술의 융합 사례 103
〈그림 76〉 초중고 한복문화교육 '동삼초등학교'(2024) 104
〈그림 77〉 2022 지역한복문화창작소, 경북 청도군 남성현초 104
〈그림 78〉 유네스코 SDGs 10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