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기조발표] 서봉사(瑞鳳寺), 워밍업은 끝났다 / 김태식 5
죽어야겠다는 사람들은 이곳으로 가라 6
급격한 주변 환경변화와 절터 7
산지가람 전면 발굴의 전범 8
서봉사가 뚫은 돌파구 9
광교산 중턱에서 내가 보고 싶은 것은 잔디밭이 아닌 탑! 11
[1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의 건축유구 분석 및 정비방향 검토 / 도윤수 14
Ⅰ. 머리말 15
Ⅱ. 3단 조선시대 유구 중 불전지에 대한 조사현황과 기존 논의 18
1. 3단 유구 조사과정과 내용 18
2. 불전지에 대한 기존 해석 21
Ⅲ. 3단 불전지 유구와 평면 검토 22
1. 기둥배치와 평면 검토 22
2. 불단 검토 29
Ⅳ. 맺음말 32
[토론문 1] 「용인 서봉사지의 건축유구 분석 및 정비방향 검토」에 대한 토론문 / 배병선 35
용도와 규모 35
평면과 가구 36
주칸과 영조척 36
복원연구의 필요성 37
[2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의 3단 대지 조성과정 검토 / 양정석 39
Ⅰ. 조선시대 서봉사지에 대한 재인식 40
Ⅱ. 서봉사지 3단 대지 건축군의 조성시기에 대한 인식 41
Ⅲ. 유물로 보는 서봉사지 3단 대지 건축군의 조성 시기 검토 42
Ⅳ. 서봉사지 출토 청기와의 검토 44
Ⅴ. 청기와를 통해 본 서봉사의 위상 46
[토론문 2] 「용인 서봉사지 조선시대 가람과 청기와」에 대한 토론문 / 김종길 52
[3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 가람배치 특성 검토 / 한지만 54
Ⅰ. 머리말 55
Ⅱ. 선행연구와 서봉사의 연혁 58
1. 선행연구 58
2. 서봉사의 연혁 62
Ⅲ. 유구 현황과 가람배치 특성 65
1. 5, 6단지 : 고려시대 가람 65
2. 1-3단지 : 조선시대 가람 71
Ⅳ. 맺음말 81
참고문헌 82
[토론문 3] 「용인 서봉사지 가람배치 특성 검토」에 대한 토론문 / 이경미 83
판권기 85
[1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의 건축유구 분석 및 정비방향 검토 / 도윤수 17
〈그림 1〉 「서봉사지Ⅲ - 4차 발굴조사 보고서」, 용인시ㆍ(재)한백문화재연구원2019, 32쪽) 17
〈그림 2〉 불전지 1차 발굴조사 유구현황도 1(한백문화재연구원, 2015, 103쪽) 18
〈그림 3〉 불전지 1차 발굴조사 유구현황도 2(한백문화재연구원, 2015, 105쪽) 19
〈그림 4〉 불전지 부분 항공사진 - 2차 발굴조사 후(한백문화재연구원, 2016, 8쪽, 부분편집) 19
〈그림 5〉 1차 발굴조사 출토 불상편과 막새 기와 20
〈그림 6〉 2차 발굴조사 출토 금동보관편 20
〈그림 7〉 조사단이 제시한 불전지 건축평면 비교 사례(한백문화재연구원, 2015, 176, 177쪽) 21
〈그림 8〉 불전지 주망 추정도 22
〈그림 9〉 후열감주법이 적용된 창경궁 명정전 23
〈그림 10〉 수덕사 대웅전 평면도(원문불량) 24
〈그림 11〉 부석사 무량수전 평면도 24
〈그림 12〉 법주사 원통보전 평면도(원문불량) 24
〈그림 13〉 정수사 법당 평면도와 단면도(원문불량) 25
〈그림 14〉 개목사 원통전 평면도와 단면도(원문불량) 25
〈그림 15〉 불전지 기단열 위치 - 도면 26
〈그림 16〉 불전지 기단열 위치 - 사진 26
〈그림 17〉 안심사 대웅전 평면도 27
〈그림 18〉 불전지 유구 평면, 단면, 남측입면(정비공사 도면 필자 수정, 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제공) 28
〈그림 19〉 조사단 추정 불단유구 29
〈그림 20〉 법주사 대웅보전 불단 하부 사진과 단면도(「법주사 대웅전 실측ㆍ수리보고서」, 2005) 30
〈그림 21〉 수덕사 대웅전 불단 현황과 일제강점기 해체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0
〈그림 22〉 순천 송광사 관음전 전경과 내부 감실 현황 31
[2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의 3단 대지 조성과정 검토 / 양정석 41
〈그림 1〉 3단 전체 현황도(2, 3차 보고서) 41
〈그림 2〉 성화3년 명 막새 43
〈그림 3〉 가정32년 명 막새 43
〈그림 4〉 서봉사지 청기와편(보고서 Ⅰ) 44
〈그림 5〉 서봉사지 청기와편(보고서 Ⅲ) 44
〈그림 6〉 서봉사지 청기와편(보고서 Ⅱ) 44
〈그림 7〉 1단 대지와 1단 축대 45
〈그림 8〉 1단 축대 단면 45
〈그림 9〉 보성 개흥사지 2기 유구 현황도 47
〈그림 10〉 보성 개흥사지 1호 건물지 출토 청기와 48
〈그림 11〉 청기와 출토 위치(최인창, 2015) 49
[3주제 발표] 용인 서봉사지 가람배치 특성 검토 / 한지만 57
〈그림 1〉 서봉사지 유구 배치(한국산업경제정책연구원, 2018) 57
〈그림 2〉 5, 6단지 일대 유구배치 현황(김종길, 2016) 59
〈그림 3〉 3단지 일대 유구배치 현황(김종길, 2016) 59
〈그림 4〉 현오국사비 61
〈그림 5〉 5, 6단지 건물지 현황((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6) 66
〈그림 6〉 5, 6단지 유구 평면 배치 추정((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6 발굴도면 위에 재작도) 67
〈그림 7〉 파주 혜음원지 배수시설(원문불량) 68
〈그림 8〉 양주 회암사지 배수시설 68
〈그림 9〉 불일사지 배치(리화선, 1993) 69
〈그림 10〉 흥왕사지 배치 69
〈그림 11〉 정국안화사 중심부 가람배치 추정도 69
〈그림 12〉 고려 말 회암사 중심부 가람배치 추정도 69
〈그림 13〉 마곡사 대광보전과 오층석탑 71
〈그림 14〉 불영사 대적광전과 삼층석탑(문화재청) 71
〈그림 15〉 3단지 불전지에서 조망되는 형제봉 71
〈그림 16〉 3단지 건물지 현황((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6) 72
〈그림 17〉 3단지 조선시대 유구 평면 배치 추정((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6 발굴도면 위에 재작도) 73
〈그림 18〉 개심사 안양루 외부 전경 74
〈그림 19〉 개심사 안양루 내부 전경 74
〈그림 20〉 화암사 우화루 외부 전경 74
〈그림 21〉 화암사 우화루 내부 전경 74
〈그림 22〉 부석사 안양루 외부 전경 74
〈그림 23〉 부석사 안양루 내부 전경 74
〈그림 24〉 조선 전기 원찰 가람배치 추정도(이경미, 2009) 75
〈그림 25〉 삼척 흥전리 사지 금당 유구(문화재청) 76
〈그림 26〉 고려 말 회암사의 정청과 방장 76
〈그림 27〉 추정 비각지(발굴보고서, 2016) 76
〈그림 28〉 추정 비각지 초석 76
〈그림 29〉 불일사지 추정 진전원 77
〈그림 30〉 일제강점기 청평사 극락보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유리건판사진) 78
〈그림 31〉 비각지와 3-8 건물지 일대 유구 배치 79
〈그림 32〉 석탑지 유구 배치(발굴보고서, 2016) 79
〈그림 33〉 3-2 건물지 유구 배치(발굴보고서, 2016) 7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