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부 교육 현안 대응 5

[발표 1] 초ㆍ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주형미 5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6

Ⅱ.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향 7

Ⅲ.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9

Ⅳ. 정책 제언 13

참고문헌 29

[발표 2]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권유진 31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32

Ⅱ.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의미와 영향 요인 33

Ⅲ. 원격수업 설계 및 인식조사 35

Ⅳ. 원격수업에서의 학습 양상 분석 41

Ⅴ.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 탐색 50

참고문헌 52

제2부 교육 정책 지원 및 현장 개선 53

1분과 교육 정책 지원 53

[발표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이주연 53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4

Ⅱ. 공동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쟁점 56

Ⅲ.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64

Ⅳ. 정책 제언 67

참고문헌 71

[발표 2] 교과목 체계 및 이수 경로에 대한 해외 사례 탐색 / 김영은 72

1. 연구의 추진 개요 73

2. 교과목 체계 및 이수 경로에 대한 해외 사례 탐색 77

참고문헌 97

[발표 3] 교육 자치에 따른 지역과 학교 수준의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탐색 / 이승미 98

Ⅰ. 서론 99

Ⅱ. 교육 자치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설계의 의미와 지원 방향 101

Ⅲ. 교육 자치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설계 실태의 진단 도구와 지원 방안 105

Ⅳ. 정책 제언 109

참고문헌 116

[발표 4] 교육의 출발선 평등 인식 및 실태를 통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 방안 / 노원경 117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118

Ⅱ. 교육의 출발선 평등 선행 연구 및 정책 119

Ⅲ.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시각 120

Ⅳ.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실태 122

Ⅴ.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실천 양상 123

Ⅵ.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 126

Ⅶ.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 방안 128

Ⅷ. 정책 제언 132

참고문헌 133

[발표 5] 초ㆍ중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평가 예시 문항 개발 / 박선화 134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5

Ⅱ. 문해력, 수리력의 성취기준별 예시문항 개발 절차 및 초안 개발 138

Ⅲ. 문해력, 수리력 성취기준별 예시문항의 타당성 검토 142

Ⅳ. 문해력, 수리력 성취기준별 예시문항 최종(안) 149

Ⅴ. 결론 및 제언 152

참고문헌 153

[발표 6]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eNAEA)의 검사 도구 정교화 연구 / 이재봉 154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5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56

Ⅲ. eNAEA 예비시행의 학생 성취 및 수행 특성 분석 157

Ⅳ. eNAEA 시스템 및 평가 도구에 대한 인식 조사 170

Ⅴ. 정책 제언 178

참고문헌 181

[발표 7] TIMSS 결과로 본 우리나라 초ㆍ중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변화 추이 / 서민희 182

Ⅰ. 서론 183

Ⅱ.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와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86

Ⅲ.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의 관계 192

Ⅳ. 정의적 태도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특성 197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203

참고문헌 213

2분과 학교 현장 개선 214

[발표 1]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 박주현 214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215

Ⅱ. 학교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 개발 216

Ⅲ.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및 실행 지원 관련 학교 현장의 요구 225

Ⅳ.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를 적용한 예시 자료의 개발 229

Ⅴ.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및 실행 지원 방안 235

참고문헌 243

[발표 2]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평가 운영 방안 탐색 / 구자옥 244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245

Ⅱ.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 평가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247

Ⅲ. 온라인 학생 평가 운영 방안 예시 개발 258

Ⅳ.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 평가에 대한 정책 제언 262

참고문헌 270

[발표 3]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교실 단위 적용 사례 / 박종임 272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273

Ⅱ. 핵심역량평가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평가도구 개발 274

Ⅲ.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의 단위학교 적용 모형 개발 282

Ⅳ.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의 단위학교 적용 결과 288

참고문헌 298

[발표 4] 교과별 핵심 개념에 대한 학생의 이해 특성 분석과 교수학습 전략 탐색 / 차조일 299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00

Ⅱ. 교수학습 측면에서 핵심 개념의 빅 아이디어 성격 규명 302

Ⅲ. 교과별 빅 아이디어에 따른 교수학습 내용 조직 306

Ⅳ. 교과별 핵심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특성 분석 310

Ⅴ. 교과별 핵심 개념의 빅 아이디어 성격을 구현하는 교수학습 전략 313

Ⅵ.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제언 314

참고문헌 321

[발표 5]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원 방안 / 양정실 322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323

Ⅱ.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실태 324

Ⅲ.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수 담화 양상 338

Ⅳ.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교사ㆍ학부모 인식 339

Ⅴ.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 이해 제고를 위한 지원 방안 344

Ⅵ. 정책 제언 354

참고문헌 356

[발표 6]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 / 최소영 357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358

Ⅱ.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평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 359

Ⅲ. 질적 평가 준거 개발 및 예비평가를 통한 타당화와 준거 정교화 360

Ⅳ. 본평가를 통한 준거 확정 및 준거 텍스트 도출 361

Ⅴ. 양적 평가 준거 도출 369

Ⅵ. 이독성 평가 준거 활용 방안 제시 369

Ⅶ. 제언 373

참고문헌 374

[발표 7] 평가를 활용한 초ㆍ중등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 방안 / 박혜영 375

Ⅰ. 연구의 추진 배경 및 방향 376

Ⅱ. 글쓰기 평가틀 및 평가도구 구성 377

Ⅲ. 글쓰기 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표집ㆍ시행ㆍ채점 381

Ⅳ. 글쓰기 평가 및 설문 결과 분석 382

Ⅴ.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 방안 387

Ⅵ. 정책 제언 392

참고문헌 393

표목차

[발표 1] 초ㆍ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주형미 8

〈표 Ⅱ-1〉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 요약 8

〈표 Ⅲ-1〉 본 연구의 '성격' 관련 개선 방안 9

〈표 Ⅲ-2〉 본 연구의 '목표' 관련 개선 방안 10

〈표 Ⅲ-3〉 본 연구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관련 개선 방안 11

〈표 Ⅲ-4〉 본 연구의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방향' 관련 개선 방안 12

[발표 2]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권유진 35

〈표 1〉 설문 조사의 개요 35

〈표 2〉 원격수업에서 중요한 요소에 대한 교사의 신념(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p.11) 36

〈표 3〉 원격수업의 지속 여부에 대한 교사의 신념(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p.11) 36

〈표 4〉 원격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역할에 대한 교사의 신념(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p.12) 37

〈표 5〉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에서 학습결과 차이 38

〈표 6〉 초등학생의 원격수업 결과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결과 39

〈표 7〉 중학생의 원격수업 결과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결과 40

〈표 8〉 수업관찰 및 면담 개요 41

〈표 9〉 영향 요인별 학습 양상 분석 결과 42

[발표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이주연 58

〈표 1〉 학교 특성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설 과목 수 추이 58

〈표 2〉 교과 편제별 공동교육과정 개설 과목 수 59

〈표 3〉 학교 차원에서의 공동교육과정 개설ㆍ운영의 어려움(업무 담당 교사/ 2개 복수 응답 가능) 61

〈표 4〉 수업 지도 교사 차원의 공동교육과정 참여의 어려움(수업 교사/ 2개 복수 응답 가능) 61

〈표 5〉 학생 차원의 공동교육과정 참여 어려움(수강 경험 학생) 61

〈표 6〉 사례연구 학교의 공동교육과정 과목 운영 시간 63

〈표 7〉 공동교육과정 과목 수강 요건 및 학생 선발 방식 개선 방안(안) 65

〈표 8〉 공동교육과정 개설 과목의 성격 및 과목 개설 범위(안) 66

〈표 9〉 공동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모형(안) 66

〈표 10〉 4세대 지능형 나이스 시스템에서의 공동교육과정 관련 사항 반영(안) 69

〈표 11〉 타 시ㆍ도의 공동교육과정 개설 과목 수강 허용 방안(안) 70

[발표 2] 교과목 체계 및 이수 경로에 대한 해외 사례 탐색 / 김영은 77

〈표 1〉 해외 학점제 및 교과목 체계 관련 총론 주요 내용 77

〈표 2〉 호주 국가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 78

〈표 3〉 국어과 해외 교과목 체계 관련 주요 내용 79

〈표 4〉 핀란드 고등학교 자국어 교육과정 '핀란드어와 문학' 과목 80

〈표 5〉 수학과 해외 교과목 체계 관련 주요 내용 81

〈표 6〉 해외 ESL, EFL 교과 관련 주요 내용 83

〈표 7〉 핀란드 영어 과목과 내용 요소 85

〈표 8〉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구조 86

〈표 9〉 사회(역사/도덕 포함) 교과 해외 교과목 체계 관련 주요 내용 86

〈표 10〉 미국 텍사스주 사회과 일반 교과목과 내용 요소 88

〈표 11〉 미국 텍사스주 사회과 상급 교과목 이수 요건 89

〈표 12〉 과학 교과 해외 교과목 체계 관련 주요 내용 91

〈표 13〉 호주 국가 교육과정 '과학' 영역 교과목 체계 92

〈표 14〉/〈표 15〉 교과목 체계와 이수 경로 구안을 위한 제안 96

[발표 3] 교육 자치에 따른 지역과 학교 수준의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탐색 / 이승미 102

〈표 1〉 교육 자치에 따른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의미, 지향점, 실현 수준 102

〈표 2〉 교육 자치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설계의 전제 조건 102

〈표 3〉/〈표 4〉 '학교 교육과정 설계 전반'에 대한 일반 진단 항목 106

〈표 4〉/〈표 5〉 '학교 교육과정 설계 전반'에 대한 세부 진단 항목 107

〈표 5〉/〈표 6〉 '학교 교육과정 설계 전반'에 대한 지원 방안 108

〈표 6〉/〈표 7〉 교육 자치에 따른 지역과 학교 수준 교육과정 설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개요) 109

〈표 7〉/〈표 9〉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 권한 관련 법규의 개정(안) 110

〈표 8〉/〈표 10〉 교원의 교육과정 설계 참여 관련 법규의 개정(안) 111

〈표 9〉/〈표 11〉 학부모의 교육과정 설계 참여 관련 법규의 개정(안) 111

[발표 4] 교육의 출발선 평등 인식 및 실태를 통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 방안 / 노원경 121

〈표 1〉 초등학교 저학년이 경험해야 할 평등의 요소 121

〈표 2〉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 수준 분석 결과 122

〈표 3〉 초등학교 저학년이 경험해야 할 평등의 요소에 따른 수업 분석틀 124

〈표 4〉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126

〈표 5〉 교육의 출발선 평등에 대한 지원 요구 조사 결과 127

[발표 5] 초ㆍ중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평가 예시 문항 개발 / 박선화 142

〈표 Ⅱ-1〉 문해력의 예시문항 초안 개발 문항 수 142

〈표 Ⅱ-2〉 수리력의 예시문항 초안 개발 문항 수 142

〈표 Ⅲ-1〉 문해력과 수리력 예시문항의 내용 타당도 검토 기준 144

〈표 Ⅲ-2〉 예비검사 응시 인원 145

〈표 Ⅲ-3〉 문해력 예비검사지 구성 146

〈표 Ⅲ-4〉 수리력 예비검사지 구성 147

〈표 Ⅳ-1〉 문해력의 수준별 예시문항 중 타당도가 낮은 문항 수 150

〈표 Ⅳ-2〉 문해력의 예시문항 수와 성취기준 수 최종(안) 150

〈표 Ⅳ-3〉 수리력의 수준별 예시문항 중 타당도가 낮은 문항 수 151

〈표 Ⅳ-4〉 수리력의 예시문항 수와 성취기준 수 최종(안) 151

[발표 6]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eNAEA)의 검사 도구 정교화 연구 / 이재봉 156

〈표 1〉 eNAEA 출제 체제 구축을 위한 연차별(2020-2022년) 계획 156

〈표 2〉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eNAEA)의 문항 유형 158

〈표 3〉 eNAEA 예비시행 총 문항 수 및 문항 개발 유형별 문항 수 158

〈표 4〉 단순 모드 전환에 따른 문항별 PBT-CBT 정답률 비교(중학교 수학 예시) 162

〈표 5〉 기술공학적 기능에 따른 문항별 IBT-CBT 정답률 비교_중학교 수학 163

〈표 6〉 기술공학적 기능에 따른 eNAEA 예비시행 문항별 학생 수행 분석_중학교 수학 163

〈표 7〉 eNAEA 시스템 및 평가 도구에 대한 교과전문가들의 인식 170

〈표 8〉 eNAEA 검사 도구에 대한 학생 인식 설문 조사 내용 요약 171

〈표 9〉 eNAEA 안정적인 시행을 위한 정책제언 및 추진전략 179

[발표 7] TIMSS 결과로 본 우리나라 초ㆍ중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변화 추이 / 서민희 184

〈표 1〉 TIMSS 2019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 문항 구성 184

〈표 2〉 초4 수학 및 과학에 대한 자신감의 TIMSS 2011, 2015, 2019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86

〈표 3〉 초4 수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의 TIMSS 2011, 2015, 2019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87

〈표 4〉 중2 수학 및 과학에 대한 자신감의 TIMSS 2011, 2015, 2019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88

〈표 5〉 중2 수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의 TIMSS 2011, 2015, 2019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89

〈표 6〉 중2 수학 및 과학에 대한 가치인식의 TIMSS 2011, 2015, 2019 변화 추이 국제 비교 190

〈표 7〉 초4 수학 및 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정의적 태도 긍정 비율 추이 195

〈표 8〉 중2 수학 및 과학 성취수준에 따른 정의적 태도 긍정 비율 추이 196

〈표 9〉 TIMSS 2019 초4 정의적 태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모형 적합도 197

〈표 10〉 TIMSS 2019 정의적 태도 잠재집단별 구성 비율 199

〈표 11〉 초4 잠재집단과 영향 요인 관계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1

〈표 12〉 중2 잠재집단과 영향 요인 관계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2

〈표 13〉 기초수준 이하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수정의 예시 207

[발표 1]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 박주현 217

〈표 1〉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의 구성 요소 217

〈표 2〉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의 설계 원리 및 지침 219

〈표 3〉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절차 및 관련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224

〈표 4〉 설문 문항 구성 225

〈표 5〉/〈표 1〉 학생과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관련 교사의 전문성 226

〈표 6〉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 관련 교사의 전문성 226

〈표 7〉 분석 단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227

〈표 8〉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227

〈표 9〉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227

〈표 10〉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예시 자료의 주요 구성 항목 230

〈표 11〉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의 개요 235

〈표 12〉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체크리스트(예시안) 236

〈표 13〉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자료 구성 항목 236

〈표 14〉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안내 자료 구성 항목 237

〈표 15〉 성공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 구축 관련 개선사항 241

[발표 2]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평가 운영 방안 탐색 / 구자옥 249

〈표 1〉 국외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평가 정책 사례 내용 요약 249

〈표 2〉 국외 학습관리시스템의 예(독일, 미국, 싱가포르) 250

〈표 3〉 온라인 학생평가 실태 및 현황 분석 조사 대상, 방법, 기간 251

〈표 4〉 온라인 학생평가 실태 및 현황 분석 항목 252

〈표 5〉 설문조사 대상 255

〈표 6〉/〈표 4〉 원격수업 도입 이후, 학생 간 학력 격차에 변화 257

〈표 7〉/〈표 5〉 온라인 학생평가 흐름도(원격 초등 국어과 예시 중 일부) 259

〈표 8〉/〈표 6〉 국가 수준의 학습결손 파악 및 해결 방안 269

[발표 3]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교실 단위 적용 사례 / 박종임 281

〈표 1〉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현황 281

〈표 2〉 코로나19에 따른 수업 유형 282

〈표 3〉 핵심역량 평가도구의 수행평가 적용 방식 283

〈표 4〉 핵심역량 평가도구와 수행평가 적용 방식 간의 관계 예시 284

〈표 5〉 핵심역량 평가도구 수행평가 적용 모형 개발 개요 285

〈표 6〉 교과별 현장 적용 개요 288

〈표 7〉 국어과 평가도구 현장 적용 정보 288

〈표 8〉 사회과 현장 적용 정보 289

〈표 9〉 수학과 현장 적용 정보 289

〈표 10〉 과학과 현장 적용 정보 289

〈표 11〉 영어과 현장 적용 정보 290

〈표 12〉 교과 공통 학생 설문 결과(선택형) 290

〈표 13〉 학생 설문 공통문항 설문 결과(서술형) 291

[발표 4] 교과별 핵심 개념에 대한 학생의 이해 특성 분석과 교수학습 전략 탐색 / 차조일 301

〈표 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301

[발표 5]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원 방안 / 양정실 326

〈표-1〉 본 연구에서 활용된 어휘 난이도의 등급 체계 326

〈표-2〉 어휘 이해도 문항 유형 매트릭스 333

〈표-3〉 교과ㆍ학년별 검사 어휘 분포 334

〈표-4〉 국어과 1학년 1학기 1~5단원 어휘 목록의 예 349

〈표-5〉 학습 지원 자료의 구성 353

[발표 6]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 / 최소영 359

〈표 1〉 교육용 텍스트의 유형 분류 359

〈표 2〉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질적 평가 준거표'의 평가 요인 361

〈표 3〉 텍스트 질적 요인 평가의 척도 361

〈표 4〉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질적 평가 준거표(정보 텍스트) 362

〈표 5〉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질적 평가 준거표(문학 텍스트) 365

〈표 6〉 준거 텍스트(100편) 도출 상세 368

〈표 7〉 3개 양적 평가 요인이 텍스트 수준(적정 학년)에 미치는 영향 369

〈표 8〉 연구 의의 및 제언 373

[발표 7] 평가를 활용한 초ㆍ중등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 방안 / 박혜영 377

〈표 1〉 글쓰기 평가틀의 구성 요소: 영역 및 하위 요소 377

〈표 2〉 학교급별 의사소통 목적 글쓰기에서 낮은 성취 요소 384

〈표 3〉 1차 연도 및 2차 연도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387

그림목차

[발표 1] 초ㆍ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주형미 13

[그림 Ⅳ-1] 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 제언 13

[그림 Ⅳ-2]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성격' 개발 관련 추가 지침(안) 16

[그림 Ⅳ-3]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목표' 개발 관련 추가 지침(안) 17

[그림 Ⅳ-4]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개발 관련 추가 지침(안) 18

[그림 Ⅳ-5]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개발 관련 추가 지침(안) 19

[그림 Ⅳ-6]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 시기에 따른 모니터링 연도 22

[그림 Ⅳ-7]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 및 운영 체제 23

[그림 Ⅳ-8] 교육과정ㆍ교과서 개발 추진 일정(5개년 로드맵) 23

[그림 Ⅳ-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심사 및 적용 일정 24

[그림 Ⅳ-10]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추진 체계도 26

[그림 Ⅳ-11]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각론개발위원회의 업무 및 역할 27

[그림 Ⅳ-12] 국가 교육과정 개정 추진 체계 개선안 28

[발표 2]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 탐색 / 권유진 32

[그림 1] 연구 과정 및 절차 32

[그림 2] 원격수업 학습격차 영향 요인 모형 34

[그림 3] 원격수업의 등교수업 대체 가능성에 대한 인식(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p.10) 36

[그림 4] 수업 관찰 및 면담 결과 분석 절차 42

[그림 5] 원격수업에서의 학습격차 영향 요인별 지원 방안 50

[그림 6] 학습격차 완화 지원 방안 및 지원 정책 51

[발표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이주연 56

[그림 1] 연구 추진 개요 56

[그림 2] 공동교육과정 정의 56

[그림 3] 공동교육과정 유형 구분 57

[그림 4] 공동교육과정 성격의 명료화 방안 65

[그림 5] 공동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안) 67

[그림 6] 공동교육과정 담당 부서 설치 및 운영 개요(안) 68

[그림 7]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맞춤형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69

[그림 8] 공동교육과정 교ㆍ강사 인력풀 운용 체계 70

[발표 2] 교과목 체계 및 이수 경로에 대한 해외 사례 탐색 / 김영은 76

[그림 1] 본 연구 개요도 76

[그림 2] 캐나다 온타리오주 9-12학년 수학 이수 경로 82

[그림 3] 캐나다 온타리오주 역사 교과 이수 경로 87

[그림 4] 중국 물리 교과 이수 경로 93

[발표 3] 교육 자치에 따른 지역과 학교 수준의 초ㆍ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탐색 / 이승미 100

[그림 1] 본 연구의 개요 및 정책 제언 100

[그림 2] 교육 자치에 따른 학교 수준 교육과정 설계의 참여 주체 101

[그림 3] 교육 자치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의 범위 103

[그림 4] 교육 자치에 따른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 설계 실태 및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 절차 103

[그림 5] 학교 교육과정의 교육 자치 단계에 따른 지원 방안 104

[그림 6]/[그림 3] 교육 자치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설계 실태의 진단 도구와 지원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 절차 105

[그림 7] 교육 자치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념 명료화(안) 109

[그림 8] 교육 자치에 따른 교육과정 자율성과 책무성의 실현 방향 명료화(안) 110

[그림 9] 교육과정 대강화 방향(안) 112

[그림 10] 국가-지역 간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의 협업 체제 구축(안) 113

[그림 11] 학교 교육과정 지원의 다변화(안) 113

[그림 12] 교육지원청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센터'로의 명칭 및 역할 변경안 114

[그림 13] 학교 수준 내 협업 체제 구축(안) 114

[그림 14] 교사 자격 기준 세분화(안) 115

[발표 4] 교육의 출발선 평등 인식 및 실태를 통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 방안 / 노원경 121

[그림 1] 교육의 출발선 평등 개념 정의 121

[그림 2] 교육의 출발선 평등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의 영역 및 영역별 구축 방안 128

[그림 3] 교육의 출발선 평등 교수학습 지원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132

[발표 5] 초ㆍ중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을 위한 문해력, 수리력 평가 예시 문항 개발 / 박선화 138

[그림 Ⅱ-1] 문해력, 수리력 예시문항 개발 절차 138

[그림 Ⅱ-2] 문해력 문항카드 양식 140

[그림 Ⅱ-3] 수리력 예시문항 문항카드 양식(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a: 56) 141

[그림 Ⅲ-1] 문해력, 수리력의 내용 타당도 검토 절차 143

[그림 Ⅳ-1] 예시문항 및 성취기준 수정ㆍ보완 절차 및 내용 149

[발표 6]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eNAEA)의 검사 도구 정교화 연구 / 이재봉 155

[그림 1] 컴퓨터 기반 역량 평가 체제 도입 로드맵 155

[그림 2] 연구 절차 및 내용 157

[그림 3] eNAEA 시스템을 활용한 예비시행 159

[그림 4] 교과별 학생 검사 점수 및 수행시간 분포 160

[그림 5] eNAEA 예비시행 문항별 정답률 분포(중학교 수학) 161

[그림 6] 2020년 본시행(IBT) 및 2021년 eNAEA 예비시행(CBT) 중학교 수학 10번 문항 162

[그림 7] 본 연구의 정책 제언 179

[발표 7] TIMSS 결과로 본 우리나라 초ㆍ중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변화 추이 / 서민희 192

[그림 1] 주요국의 TIMSS 주기별 초4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와 성취도의 상관 192

[그림 2] 주요국의 TIMSS 주기별 중2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와 성취도의 상관 193

[그림 3] TIMSS 주기별 참여국의 초4 성취도와 수학 및 과학에 대한 자신감의 산점도 194

[그림 4] TIMSS 2019 수학 및 과학 정의적 태도에 따른 잠재집단 구조 198

[그림 5] TIMSS 2015 초4와 TIMSS 2019 중2의 수학과 과학 정의적 태도에 따른 잠재집단 구조 비교 200

[그림 6] AskMath 웹사이트의 수학 클리닉 사전검사 209

[그림 7] 제곱근 관련 단계적 개별 지도 예시 210

[그림 8] 피드백 모형 211

[그림 9] 피드백 활동이 포함된 과학 수업 지도안 212

[발표 1]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 박주현 216

[그림 1] 주요 연구 내용과 연구 절차 개관 216

[그림 2]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 개발 과정 217

[그림 3]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개념 모형 218

[그림 4]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절차 모형 223

[그림 5] 교과별 예시 자료 개발의 절차 229

[그림 6]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예시 자료 집필 양식의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과 활용 기술 분석' 부분 231

[그림 7] 사회과 예시 자료 '나도 미디어 비평가'의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과 활용 기술 분석'과 적용한 설계 원리 및 지침 232

[그림 8]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절차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홍보 자료 예시 237

[그림 9]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하위 요소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관련성 240

[발표 2]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평가 운영 방안 탐색 / 구자옥 246

[그림 1]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생평가가 가지는 장점 246

[그림 2] 학생평가 관련 주요 정책 추진 현황 247

[그림 3] 대한민국 외 9개국 코로나19로 인한 휴교 및 부분 등교 248

[그림 4] 학생평가 운영 현황 파악 및 분석 개요 251

[그림 5] 학생이 제출한 활동지에 대한 교사의 비공개 댓글 예시 253

[그림 6] 원격수업 학습 만족 정도의 추정 주변 평균 255

[그림 7] 원격수업 학습의 이해도 추정 주변 평균 256

[그림 8] 원격 및 등교 수업에서의 평가 유형별 경험 비율 256

[그림 9] 등교수업과 비교할 때, 원격수업을 실시한 이후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 성취수준 변화 257

[그림 10] 평가 개요(국어과 예시) 259

[그림 11] 온라인 학생평가 방안 사용의 필요성 261

[그림 12] 본 연구의 정책 제언과 실행 전략 262

[발표 3] 컴퓨터 기반 핵심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교실 단위 적용 사례 / 박종임 276

[그림 1] 수동 채점 화면 276

[그림 2] 핵심역량 평가시스템 교사용 모니터링 기본 화면 구성 277

[그림 3] 핵심역량 평가시스템 교사용 모니터링 학생 답변 확인 기능 278

[그림 4] 평가 결과표: 학생의 평가 결과와 교과 역량 상세 보기 영역(국어과 예시) 280

[발표 4] 교과별 핵심 개념에 대한 학생의 이해 특성 분석과 교수학습 전략 탐색 / 차조일 304

[그림 1] 빅 아이디어의 의미와 유형 304

[그림 2] 백워드 설계 템플릿 1.0 305

[그림 3] 핵심 개념 중심의 내용 조직 구성 방안 307

[그림 4] 과학과 핵심 개념의 내용 조직 구성 방안 309

[발표 5]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원 방안 / 양정실 330

[그림-1] 조사 대상 어휘 선정 과정 330

[그림-2]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 이해 제고를 위한 지원 방안 개요 345

[그림-3] 교과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어휘 지도 원리 348

[그림-4] 〈수학〉 1학년 1학기 4단원의 어휘망 350

[그림-5] 초등학교 1~2학년 국어, 수학 교과서 어휘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원을 위한 정책 방안 354

[발표 6]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평가 준거 개발 연구 / 최소영 359

[그림 1] 이독성의 요인 359

[그림 2] 준거 개발 및 타당화와 정교화 절차 360

[그림 3] 예비평가 결과 분석 방법 360

[그림 4] 준거 텍스트 학년 평정 분포 368

[그림 5] 준거 텍스트에 대한 질적 특성과 양적 특성 상세 분석 과정 370

[발표 7] 평가를 활용한 초ㆍ중등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 방안 / 박혜영 378

[그림 1] 문항 개발 틀과 채점 준거와의 관계 378

[그림 2] 글쓰기 평가용 웹 사이트 구성 381

[그림 3]/[그림 2] 초ㆍ중ㆍ고 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 개선 방안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