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회의 - 자유패널 1] "북핵문제와 한반도" 7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현상타파 대외전략과 현상유지 대외정책의 결합 / 황지환 8
Ⅰ. 머리말 9
Ⅱ. 핵무기와 대외적 행동의 변학: 이론적 논의 10
Ⅲ. 북한의 핵실험과 핵 능력의 변화 13
Ⅳ. 북한의 핵실험과 대외적 행동의 분석: 현상타파 혹은 현상유지? 16
Ⅴ. 핵실험이후 북한 대외전략과 대외정책의 특징: 현상타파와 현상유지의 결합 26
참고문헌 29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서 검증문제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 정일영 31
Ⅰ. 서론 32
Ⅱ. 북한 비핵학의 경과와 문제점 34
Ⅲ. 북핵 검증의 역사: 논의와 한계 35
Ⅳ. 검증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모색 40
Ⅴ. 결론 41
참고문헌 43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과제 : 북미관계를 중심으로 / 김연수 44
Ⅰ. 문제의 설정 45
Ⅱ. 북미접근의 배경과 의도 45
Ⅲ. 향후 북미관계전망: 한반도 비핵화 전망 52
Ⅳ. 우리의 대응 방향과 과제 : 정치성과 복합성 53
Ⅴ. 맺음말 56
[제1회의 - 자유패널 2] "북한의 사상과 사회변화" 57
「한(韓)」 사상을 중심으로 본 김일성 주체사상 / 이현주 58
Ⅰ. 문제의 제기 59
Ⅱ. 이론적 검토 60
Ⅲ. 한(韓)사상을 중심으로 본 김일성 주체사상의 발달단계 67
Ⅳ. 결론 및 시사점 76
참고문헌 77
한국전쟁과 북한의 마을사회 변동연구 / 권태상 79
1. 서론 80
2. 본론 81
3. 결론 95
[제1회의 - 자유패널 3] "김정은 정권의 변화와 국가정체성" 96
북한 김정은 시대의 당ㆍ군ㆍ정 관계 : 선군정치의 약화와 내각의 부상 / 이상숙 97
Ⅰ. 서론 98
Ⅱ. 사회주의 당.군 관계 및 군정 관계 99
Ⅲ. 김정은 시대의 당군 관계 104
Ⅳ. 김정은 시대의 군.정 관계 109
Ⅴ. 결론 114
참고문헌 116
한반도 핵체제시대, 남북한 국가정체성 변동에 대한 재인식 / 박요한 118
Ⅰ. 문제의 제기 119
Ⅱ. 분석틀 120
Ⅲ. 미국핵무력과 북한 핵무력의 운명정체성 진학과정 128
Ⅳ. 결론 140
김정은 시대 탄소하나(C1) 석탄화학에 대한 연구 / 박종철 141
Ⅰ. 서론 142
Ⅱ. 일제시기 인조석유 생산의 3가지 기술 144
Ⅲ. 김정은 시기 석탄 가스학를 기반으로 하는 탄소하나 산업 147
Ⅳ. 결론: 석탄과 제재의 역설 154
[제1회의 - 대학원패널 1] 156
체제 간 언어통합의 역사와 사례, 그리고 의미 / 김주성;윤소정;김완서 157
Ⅰ. 서론 158
Ⅱ. 남북 언어 정책의 역사 159
Ⅲ. 언어 통합의 해외 사례 161
Ⅳ. 남북 언어 통합 정책의 근거와 재구성 168
Ⅴ. 결론 172
참고문헌 174
북한의 "년로자" 관련 로동신문 보도 분석 : "혁명선배"를 중심으로 / 박수현 176
Ⅰ. 서론 177
Ⅱ. 북한의 연로자 정의와 규모 178
Ⅲ. 연로자에 관련한 로동신문 보도 유형 180
Ⅳ. 로동신문 보도의 유형과 담론 분석 187
Ⅴ. 결론 191
참고문헌 193
[제2회의 - 기획패널 2] "3차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전략" 195
3차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 전략 / 김동엽 196
1. 북한의 핵개발: 미친(Mad), 나쁜(Bad), 합리적인(Rational) 197
2. 북핵에 대한 인식: 필사의 핵, 절망의 핵 198
3. 주고받기: 북핵 위협과 북한의 안보우려 201
4. 한반도 운명공동체를 위하여 205
3차 남북정상회담과 남북관게 발전 전략 / 김용현 209
1. 2018 남북정상회담 의의 210
2. 남북정상회담 의제 : 비핵학 평화체제,남북관계 발전 211
3. 향후 정책 대응 212
[제2회의 - 기획패널 3] "평화협정이 평화를 보장하는가? - 비교연구와 한반도에 주는 함의" 214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평가와 시사점 / 황수환 215
Ⅰ. 서론 216
Ⅱ. 평화협정의 유형 구분 218
Ⅲ. 북아일랜드 평화협정의 체결과정과 내용 220
Ⅳ. 북아일랜드 평화협정의 유형별 분석 229
Ⅴ. 결론: 한반도의 시사점 237
참고문헌 239
이스라엘 - 팔레스틴 평화프로세스 평가와 한반도 / 정상률 241
Ⅰ. 서론 242
Ⅱ. 이-팔 분쟁 및 평화협정 체결 과정 개요 242
Ⅲ. 오슬로 평화협정과 이행 프로세스 249
Ⅳ. 오슬로 평학 프로세스 실패 요인 254
Ⅴ.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에 주는 시사점 258
콜롬비아 평화협정의 성과와 과제 / 차경미 260
Ⅰ. 들어가는 말 261
Ⅱ. 콜롬비아 반군형성의 배경 262
Ⅲ. 평화협정 체결과정 265
Ⅳ. 평화협정 이행 과정 및 평가 269
참고문헌 273
유럽의 헬싱키 프로세스와 한반도/동북아 / 홍기준 275
Ⅰ. 서론 276
Ⅱ. 헬싱키 프로세스의 초기조건과 효과 277
Ⅲ/Ⅱ. 동북아 다자안보협 력의 전제조건 282
Ⅳ. 결론 : 6자회담 재개의 조건 287
참고문헌 289
[제2회의 - 자유패널 4] "통일국가의 건설과 그 이후" 291
통일 이후 남북한 고령화 추세와 시사점 / 최지영 292
Ⅰ/Ⅱ. 통계현황 294
Ⅱ/Ⅲ. 남북한의 인구구조 변학추이 295
Ⅲ/Ⅳ.독일 통일 이후 인구고령화의 전개양상 300
Ⅳ/Ⅴ. 남북한 통일 이후 인구고령화의 변학추이 309
Ⅴ/Ⅵ. 요약 및 시사점 321
참고문헌 324
통일연방국가 권한과 예산확보 방안 : 연합형 연방제를 중심으로 / 최양근 325
Ⅰ. 서론 326
Ⅱ. 예산의 개념과 기능 327
Ⅲ. 예산확보 각국 사례 331
Ⅳ. 단계적 통일연방국가 권한(업무) 351
Ⅴ. 통일연방국가의 재정확보방안(연합형 연방국가를 중심으로) 356
Ⅵ. 결론 357
참고문헌 359
북한 채무관련 유동화 채권 처리방안 연구 / 탁용달 360
[제2회의 - 대학원패널 2] 361
김정은 시대 북한의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 : 김정은 집권기 출간된 도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나정원 362
1. 서론 363
2. 통일과 관련된 공통된 시각 364
3. 각 도서별 특징 정리 365
4. 내용 정리 및 결론 371
참고문헌 373
남북한 경제협력지대 활용방안 연구 : 개성공단과 QIZ-OPZ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손유나 374
Ⅰ. 서론 375
Ⅱ. 역외가공(Outward Processing)의 개념 및 유형 376
Ⅲ. 역외가공 중심의 해외 경제협력지대 사례 분석 377
Ⅳ. 개성공단의 역외가공지역(OPZ) 구상과 한계 394
Ⅴ. 결론을 대신하여 401
참고문헌 402
탈북 난민들의 적응에 대한 연구: 캐나다 토론토 거주자 사례를 중심으로 / 손명희 405
1. 서론: 연구의 의의 및 연구목적 406
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409
3. 이론적 배경 및 기존연구 검토 411
4. 탈남한 탈북 난민의 배경 417
5. 캐나다에서의 적응 423
6. 결론: 캐나다 탈북난민의 적응의 특징 434
북한 김정은 시대의 당ㆍ군ㆍ정 관계 : 선군정치의 약화와 내각의 부상 / 이상숙 103
〈그림 1〉 군ㆍ정 관계의 변학와 개혁 개방정책의 연계성 103
한반도 핵체제시대, 남북한 국가정체성 변동에 대한 재인식 / 박요한 127
[그림 1] 핵무력의 블랙박스화와 원격조종 127
[그림 2] 핵무력의 기원과 운명정체성 도해 128
[그림 3] 1945년 이후 미국의 태평양 안보 세력관계 도해 129
[그림 4] 핵무력의 북한 국가운명정체성 구현 도해 131
[그림 5] 핵 변강(오랑캐)국가의 출현과 태평양 세력균형 변동 도해 132
[그림 6] 북한 핵무력의 국가성 네트워킹 총학 135
[그림 7] 2013 이후 북한 핵 백터와 한미동맹 137
[그림 8] 핵무력과 경제병진노선의 출구전략 도해 139
북한의 "년로자" 관련 로동신문 보도 분석 : "혁명선배"를 중심으로 / 박수현 181
[그림 1] 주요 키워드의 연도별 기사 빈도 181
[그림 2] 혁명선배의 의미 확장 190
이스라엘 - 팔레스틴 평화프로세스 평가와 한반도 / 정상률 243
〈그림 1〉 탈 냉전기 중동의 '분쟁과 평화' 243
〈그림 2〉 팔레스타인 지역의 갈등사 시대구분 244
〈그림 3〉 1993년 오슬로 협정과 후속 협정 및 주요 내용 250
통일 이후 남북한 고령화 추세와 시사점 / 최지영 295
〈그림 1〉 통계청과 유엔의 북한인구 비교 295
〈그림 2〉 남북한 총인구 및 연령별 인구구성 296
〈그림 3〉 남북한의 인구구조 변화추이 297
〈그림 4〉 남북한의 고령인구 비중 및 기대여명 변화추이 298
〈그림 5〉 남북한 통합시 인구구조 변화추이 299
〈그림 6〉 독일과 남북한의 인구구조 비교 300
〈그림 7〉 통일 이후 동서독 지역간 인구이동과 소득격차 변화 301
〈그림 8〉 통일 이후 동서독 지역의 출생/출산 변화 303
〈그림 9〉 통일 이후 기대여명 변화(동독지역 vs. 서독지역) 305
〈그림 10〉 연령별 인구구성(동독지역 V.S 서독지역) 307
〈그림 11〉 부양비 변화추이(동독지역 v.s 서독지역) 308
〈그림 12〉 북한인구 추계 과정 310
〈그림 13〉 남북한 연령별 출산율 가정 314
〈그림 14〉 시나리오별 총인구 변화추이 316
〈그림 15〉 시나리오별 생산가능인구 변화추이 317
〈그림 16〉 생산가능인구중 북한지역 인구 비중(시나리오별) 317
〈그림 17〉 시나리오별 고령인구 비중 변화추이 318
〈그림 18〉 시나리오별 고령인구 비중 변화추이 319
〈그림 19〉 시나리오별 고령화 전개양상 321
남북한 경제협력지대 활용방안 연구 : 개성공단과 QIZ-OPZ 사레 비교를 중심으로 / 손유나 378
[그림 3-1] 요르단 특학산업지역 설치 지역 378
[그림 3-2] 요르단의 유형별 대미수출액 380
[그림 3-3] 요르단 특학산업지역 성별ㆍ국적별 노동자 변학 추이 381
[그림 3-4] 이집트 특학산업지역 설치 지역 383
[그림 3-5] 이집트의 유형별 대미수출액 384
[그림 3-6] 이집트 특학산업지역 입주기업의 업종별 분포 385
[그림 3-7] 인도네시아 바탐ㆍ빈탄 산업단지 위치 387
[그림 3-8] 바탐 산업단지의 국적별 노동자 변화 추이 390
탈북 난민들의 적응에 대한 연구: 캐나다 토론토 거주자 사레를 중심으로 / 손명희 408
〈표 1〉 2000년~2016년 북한 국적자의 해외 난민 신청 추이 408
〈표 2〉 재외동포 다수거주 국가현황 409
〈표 3〉 한인들의 캐나다 지역별 거주 현황 409
〈표 4〉 캐나다 난민신청자수와 인정 및 거절 현황 410
〈표 5〉 탈북 난민 면접자의 일반적 특성 411
〈표 6〉 캐나다 체류 탈북 난민이 한국을 떠난 이유 417
〈표 7〉 영국 난민신청자 수와 인정 및 거절에 대한 통계 421
〈표 8〉 캐나다로 입국한 이유 421
〈표 9〉 캐나다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영주권 여부 424
〈지도 1〉 중동 분할 점령: 사이크스-피고 협정(1916) 247
〈지도 2〉 영국 위임통치 지역(1923~1947) 247
〈지도 3〉 필위원회 분리안(1937), 우드헤드위원회 분리안(1938) 248
〈지도 4〉 모리슨-그래디 분리 신탁통치 계획 (1947) 248
〈지도 5〉 1947년 UN분할안과 제1차 중동전 이후 1949 휴전선 249
〈지도 6〉 1947-2017 년 실질적 통제지역 변학 24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