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PROGRAM 2
목차 3
개회사 / 허영 4
개회사 / 정춘숙 6
개회사 / 강훈식 8
발제 10
발제 1. 경계선지능인 생애주기지원의 필요성 / 박현숙 10
CONTENTS 1. 경계선 지능의 개념 12
CONTENTS 1. 경계선지능인의 출현율 12
CONTENTS 1. 경계선지능인 특성과 사회부적응 양상 13
CONTENTS 2. 경계선 지능인의 생애주기별 어려움과 지원(연구중심) 13
CONTENTS 2. 사례로 보는 '생애시기별 경계선지능인의 어려움' 14
CONTENTS 2. 경계선지능인 사례의 함의와 지원 목표 17
CONTENTS 3. 경계선지능인 지원의 필요성 17
CONTENTS 3.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Girona 선언(2017) 19
CONTENTS 3. 경계선지능인 생애주기별 지원을 위한 제언 19
발제 2. 경계선지능인과 관련 지원제도 현황 / 오경옥 21
1. 대한민국 국민의 삶은 "평등"한가? 23
1. 대한민국 국민의 삶은 "평등"한가? - 사각지대 27
2. "경계선지능인"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 28
2. "경계선지능인"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 : 지능정규분포곡선 29
2. "경계선지능인"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 : 조례 속 정의 31
3. 경계선지능인 지원을 위한 사회흐름(1960년-2022년) 31
4. 민간지원 - 미인가 경계선지능인 대안학교(대안 배움터) 43
4. 민관협치 - 경계선지능인 위탁형 대안학교 탄생 43
4. 민간지원 - 기업의 사회공헌 44
4. 공공지원 - 서울시의 제1호 SBI사업(사회성과 보상사업) 44
4. 공공지원 - 서울학습도움센터 45
토론 47
토론 1. 경계선지능인법의 바람직한 입법 방향 / 박진우 47
1. 우리나라의 경계선 지능인 현황 48
2. 외국의 경계선 지능인 지원 50
3. 「경계선 지능인법」의 입법 방향 52
토론 2. 경계선지능 보호아동 자립지원 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송양수[내용없음] 54
토론 3. 경계선지능인 지원 인프라의 균형발전 필요성 / 최수진 55
토론 4. 경계선지능 청년이 살아가는 지금 우리 사회 / 이창갑 61
토론 5. 느린학습자 생애주기별 지원법을 통해 미래를 꿈꾸다 / 신순옥 65
1. 방관자 66
2. 방관자 효과란 67
3. 느린학습자는 스스로 살아 갈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67
4. 미래의 권리를 현재의 권리로 만들어가는 입법화 과정에 함께 합시다. 6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