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기조강연] 사회변화와 인구정책의 방향 / 박기남 5
I. 인구변화? 격세지감! 7
II. 인구 재생산의 위기 진단 9
III. 가족계획사업 돌아보기 12
IV. 인구정책의 새로운 방향 16
참고문헌 21
[전시소개] "사람, 숫자: 인구로 보는 한국현대사" 특별전 소개 / 함영훈 22
1. 전시개요 및 내용 24
가. 전시개요 24
나. 전시주제 및 연출방향 24
다. 전시구성(안) 24
2. 전시 연출 및 컨셉 25
[프롤로그] 숫자로 본 사람이야기 - 인구탑 25
[1부] 사람 100 26
[2부: 연구폭발]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면한다 27
[3부: 성비불균형]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28
[4부: 고령화와 저출산] 카페 100: 백세시대, 나 혼자 산다 29
[에필로그]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30
[발표 1] 사회 문제로서의 인구, 인구 문제로서의 사회 / 김영미 32
인구와 사회: 관점의 전환 34
가족계획 정책의(의도하지 않은) 결과: 출산은 관습행동에서 계획행동으로 변화 34
거대한 전환: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어디로 가는가? 35
불평등과 인구변동: 운명의 분기(Diverging destinies) 36
한국에서도 "운명의 분기"는 나타나고 있는가? 37
한국에서 운명의 분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불평등 기제로서의 동질성 37
불평등, 동질성, 내일의 종언 38
대기업, 교육성취의 최상층에 있는 밀레니얼들의 출산 결정 담론 38
20대 미혼 여성, 출산결정의 내러티브 39
20대 미혼 남성들, 출산결정의 내러티브 39
불안한 중산층사회의 징후: "책임질 수 없으면 낳지 않는게 낫다" 40
"정형화될 수 없는 불만"으로서의 출산 회피 40
계획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숫자에서 내러티브로 41
[발표 2] 대한제국기 전후의 인구정책: 장기변동의 관점 / 손병규 42
머리말 43
1. 식민지시대 초기의 인구조사; 인구와 호구 44
2. 대한제국의 호구정책; 중앙집권화의 실패 46
3. 조선왕조 호구정책의 복지적 성격 49
맺음말 52
[발표 3] 출산은 어떻게 통제되어 왔는가: 한국 가족계획사업과 국가, 젠더, 마이너리티 / 소현숙 54
급격한 저출산 사회 56
출산통제의 역사 57
산아제한운동의 출현 57
가족계획사업 이전 상황 58
가족계획사업(1962~1996) 59
가족계획사업 실행방식 60
가족계획사업의 효과 61
여성 몸의 도구화 62
피임수단 62
임상실험실이 된 여성의 몸 63
남아 선호와 여아낙태 64
성비불균형 64
우생학적 근심의 대두 65
모자보건 법(1973)과 우생학 65
제8조 인공임신중절수술 허용한계 66
제9조 불임수술 절차 및 소의 제기 66
한국에서 우생학의 확산 67
정심원 강제불임수술 논란(1975) 67
찬반론 68
김홍신 보고서(1999) 68
관행화된 강제불임 수술 69
저출산 대책과 출산장려 69
태아선별의 가속화? 70
계속되는 고민들 70
[종합토론] 7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