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부 미 행정부 변화가 한국의 신북방정책에 미치는 영향 5

돌아온 미국의 가치동맹과 신북방정책에 대한 함의 / 최원근 6

초록(Abstract) 6

1. 들어가며 6

2. 바이든 행정부와 가치동맹 7

3. 신북방정책의 주요 파트너 국가에 대한 평가 9

4. 바이든 행정부의 가치동맹과 한국의 신북방정책 12

5. 결론 13

참고문헌 14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일대일로와 신북방정책 전망 / 주재우 15

내용요약 15

일대일로에 대한 환상 17

일대일로 견제를 위한 인태전략과 쿼드 18

신북방정책의 오판 18

미국의 대중 포위망 정책과 일본의 북방전략이 한국의 신북방정책에 던지는 함의 / 윤석상 20

요약문 20

초록(Abstract) 22

Ⅰ. 미국의 대중국 포위망 정책 24

Ⅱ. 90년대 일본의 북방정책 26

Ⅲ. 2000년대 일본의 북방정책 28

Ⅳ. 일본의 북방정책 추진 특징 32

Ⅴ. 한국에의 함의 33

제2부 2021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비핵화 전망 35

바이든 정부의 대중정책의 전환과 동아시아 관여정책 / 홍정민 36

발표 원고 PPT 요약 36

미국의 선택, 바이든 정부의 출범 39

바이든 정부의 대중정책에 관한 최근 미국민 여론 40

지난 오바마, 트럼프 정부때의 미중 패권경쟁 40

바이든 정부의 외교정책: 미국이 돌아왔다? 41

바이든 정부의 대중정책 전망 41

지난 오바마, 트럼프 정부때의 동아시아 정책 43

바이든 정부의 동아시아 정책 전망 43

미중 패권 경쟁 속의 한국의 외교 전략 44

참고문헌 45

시진핑-바이든 시기 미중 전략경쟁과 한반도 비핵화 / 박홍서 46

요약 46

미중관계, 어떻게 볼 것인가? 48

투키디데스 함정의 함정 48

중, 달러패권체제로의 진입 49

미중 경제 현황 50

중국 달러의 대미 환류 51

중, 대미 취약성 극복 전략 51

미국의 견제 52

바이든, 방법론 문제 53

주권 경쟁의 관성 53

미중 카르텔과 한반도 54

북한! 중국의 딜레마 54

중국은 왜 북한을 포기할 수 없는가? 55

중국의 목표: 한반도 인정 〉 한반도 비핵화 55

중국의 대응: '왕이 이니셔티브' 56

미중 전략경쟁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 신종호 57

Ⅰ. 머리말 57

Ⅱ. 수교 이후 미중관계와 '뉴노멀' 58

Ⅲ. 미중 전략경쟁의 전개와 가속화 및 장기화 60

Ⅳ. 미중 전략경쟁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 64

Ⅴ. 맺음말 69

표목차

표 1. 신북방정책 주요파트너 국가의 경제적 잠재력 10

표 2. 신북방정책 주요 파트너 국가의 정치적 평가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