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학술대회 일정 3
목차 4
기획취지발표 : 유라시아 고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중부지역 -포크로프카 신라 환두대도와 중도 말갈계 토광묘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 강인욱 5
I. 서론 5
II. 유라시아와 중부지역 고고학의 주요 쟁점 6
2. 연구 방법론 상의 문제 8
III. 포크로프카 출토 신라 환두대도 10
1. 연해주 포크로프카 유적 10
2. 유물 소개 11
IV. 춘천 중도의 말갈계 토광묘 15
1. 토기 15
2. 매장양상 16
3. 철지은장 세환이식 17
V. 고찰 17
1. 포크로프카 신라 환두대도의 출토 배경 17
2. 중도 말갈계 토광묘의 등장 배경 19
VI. 결론을 대신하여 21
참고문헌 22
주제발표 1. 환동해문하권 북부지역의 쪽구들 유라시아 확산 현상에 대한 검토 : 우리나라 북한강 유역, 청천강 유역, 자바이칼 흉노 / 김재윤 24
I. 머리말 24
II. 연구성과 및 연구방향제시 25
III. 각 지역의 쪽구들 자료 검토 32
1.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 32
2. 자바이칼의 흉노 유적 39
3. 북한 청천강 유역 47
4. 우리나라 북한강 유역 50
IV. 쪽구들 기원지와 유라시아 확산현상 54
1. 생성과 발달 54
2. 쪽구들 유라시아 확산현상 56
3. 기온변화 60
V. 맺음말 62
참고문헌 63
토론문 1.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쪽구들 유라시아 확산 현상에 대한 검토'에 대한 토론 / 오승환 67
주제발표 2. 유물로 본 한반도 중부지역 부여계 문화의 유입 / 윤정하 70
I. 머리말 70
II. 중부지역의 부여계 유물 출토양상 72
1. 김포 운양동 유적(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72
2. 풍납토성 197번지 은제 이식 부속품 1점(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75
3. 오송 동병철검(중앙문화재연구소 2018) 75
III. 원지역과의 유물 형식 비교 76
IV. 중부지역 출토 부여계 유물의 유입 78
1. 시기 78
2. 묘제 79
3. 부장유물 80
V. 맺음말 83
참고문헌 84
토론문 2. '유물로 본 한반도 중부지역 부여계 문화의 유입'에 대한 토론 / 유은식 86
1. 부여의 물질문화 관련 86
2. 한반도 중부지역 부여계 유물 관련 86
3. 중부지방 부여계 유물의 유입 배경 관련 87
참고문헌 87
주제발표 3. 고조선 문화권 차마구의 전개와 사회 : 중원-북방-흉노 차마구의 유입과 변용 / 이후석 88
I. 머리말 88
II. 고조선 문화권 차마구의 종류와 특징 90
1. 고대 차마구와 전차·마차 90
2. 고대 차마구의 종류와 특징 93
III. 고조선문화권 차마구의 전개와 사회 110
1. 선동검(문화)기 111
2. 비파형동검문화기1(전기) 111
3. 비파형동검문화기2(후기) 112
4. 세형동검문화기(철검 이전 단계) 112
5. 원삼국기(철검 이후 단계) 113
IV. 맺음말 114
참고문헌 115
토론문 3. 「고조선 문화권 차마구의 전개와 사회: 중원·북방·흉노 차마구의 유입과 변용」에 대한 토론 / 쑨루 117
주제발표 4. 고구려와 선비의 문화교류 양상 -모용선비를 중심으로- / 양시은 123
I. 머리말 123
II. 역사적 배경 124
1.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요동 진출 125
2. 고구려와 전연의 각축 126
3. 고구려와 후연·북연의 각축 129
III. 고분을 통해 본 문화교류 양상 131
IV. 유물을 통해 본 문화교류 양상 140
1. 마구 140
2. 보요장식 144
3. 대금구 145
4. 토기 146
V. 맺음말 149
참고문헌 151
토론문 4. '고구려와 선비의 문화교류 양상'에 대한 토론 / 오진석 152
주제발표 5. 소와 말 유존체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반도 중부지역의 고대 교역 - 유전학적 분석 보고를 중심으로 - / 홍종하 155
I. 서론 155
II. 고대 중국의 사육소 도입과정과 그 확산 157
III. 중국에서 소와 혹소 분포의 경계 160
IV. 原牛 유전자의 사육소 移入(Introgression) 160
V. 한국 소의 기원 163
VI. 일본 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165
VII.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발견된 소 유존체 연구 167
VIII. 유전학적으로 살펴본 말 사육과 전파 168
IX.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발견된 말 유존체 연구 168
X. 맺음말 170
참고문헌 171
토론문 5. 『소와 말 유존체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반도 중부지역의 고대 교역』에 대한 토론문 / 김현석 173
1. 한반도 가축 소의 유입시기와 지역에 관한 문제 173
2. 유전형의 다양성과 유전자 분석기술 발달과의 관계-NGS기번을 통한 전장 유전체 복원 174
3. 유라시아 대륙의 원우의 확산의 모습과 문화정체지역에서의 유전형 잔존 양상의 문제 174
4. 한반도의 소와 말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175
참고문헌 175
판권기 176
[뒷표지] 17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