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목차 1

개회사 / 한무경 2

AGENDA 3

발제1. 송전 · 발전제약의 경제적 영향 / 이태의 4

발제2. 발전제약 완화를 위한 계통분야 제도개선 방향 / 이근준 13

1. 전력계통 운영 조건과 한계(열적, 안정도적조건) 15

1.1. 발전제약 15

1.2. 발전제약 요인 16

1.3. 계통안전성 : 작용외란(상정사고)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17

1.4. 정전 : 그 원인과 대정전으로의 진전 메커니즘 18

2. 우리나라 전력수급계획과 송전망 문제 20

2.1. 수립 방법과 절차, 내용 : 법으로 정해지는 문제(전기사업법25조) 20

2.2. 10차-9차 전력수급계획 간 차이점(2036년 대비) 21

2.3. 전력수급계획의 기준(신뢰도/품질유지기준-신뢰도지표?) 21

2.4. 송변전계획 전이 22

2.5. 재생가능전원과 기저전원의 수송루트 특성 23

2.6. 소결론 23

3. 송전시스템의 송전용량 24

3.1. 송전용량 정의 24

3.2. 송전선로 송전용량의 제약과 대책 24

3.2. PJM의 동적송전용량 25

3.3. 송전선로의 송전용량 25

3.3. HVDC 미이용율과 신뢰성(?) 26

3.4. 송전망 이슈들 26

4. 송전망과 발전제약 27

4.1. 동해안 발전력 수송제약 27

4.2. 서해안 조류와 발전제약 30

4.3. 장기발전제약 전망 (2034) 31

4.4. 소결론 32

5. 발전제약 해소대책 33

5.1. 단기 : 운용계획 : EMS의 HVDC와 FACTS 협조제어로 제약해소 34

5.2. 외란 증가에 따른 신뢰도 기준 개정과 사회적 비용 반영 34

5.3. 정밀한 계통검토기준과 방법, 데이터개발 35

5.4. 탄소제약대응과 연료비 절감 필요 - ESS 보강한 재생가능전원의 도입 36

6. 결론 : 발전제약완화를 위한 계통분야 제도개선방향 36

A. 단기(1년) 36

B. 중기 : 조직, 규제, 제도의 시대화 37

관련 법들 38

토론 및 질의응답 / 양성배 ; 장재원 ; 이병준 ; 이철휴 ; 권도우 ; 권승기[내용없음] 1

[뒷표지]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