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목차 2
토론회 일정표 3
1. 인사말 4
인사말 / 어기구 4
인사말 / 이원택 6
인사말 / 정희용 8
2. 기조발표 : 월동꿀벌 피해 조기회복 및 재발방지 대책 / 정재환 10
1. 추가피해 발생 최소화 및 적정 봉군 수 회복에 주력 11
1) 양봉농가 월동전후 집중관리를 통해 추가 피해 최소화 11
2) 우수 농가의 조기 분봉 지원으로 4월 중 피해농가 벌통 공급 11
3) 입식비, 사료비 지원을 통한 피해농가 구매부담 해소 11
4) 화분매개벌 수급 안정 추진 12
2. 연중 피해예방 체계 구축 12
1) 내성응애, 질병 등 방제 예찰·대응 체계 구축 12
2) 농가 역량 제고 14
3. 중장기 대응역량 강화 15
1) (기후변화 대응)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등을 위한 다부처 R&D 추진('23~'30, 총 484억원) 15
2) (월동관리 방법 개발) 월동기 안정적인 봉군관리를 위한 사양관리 방법 개발·농가보급 추진 15
3) (품종개량) 응애 저항성 품종을 육성해 지역현장 적응 시험을 통해 보급 가능성을 점검하고, 농가 활용을 위한 원원종 사육 추진(~'27, 농진청) 15
4) (약제개발) 내성 발생위험이 적고, 양봉산물 생산과 동시에 활용 가능한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약품 개발 추진(~'24, 검역본부) 15
5) (사양관리우수농가 육성) 사양관리가 우수한 농장을 지정해 육성하고, 우수사례를 농가에 전파해 사양관리 개선을 유도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15
4. 추가 대책 추진과제 16
1) 양봉산업 협의체 구성·운영(5월~) 16
2) 농업경영회생자금 제도개선(4월) 16
3. 토론 17
토론1. 양봉현장·정책을 뒷받침하는 탄탄한 연구 / 한상미 17
I. 일반 현황 18
II. 연구 방향 18
III. 다부처(5개부처)공동 연구사업 -기후변화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19
토론2. 꿀벌집단 폐사 대책 / 윤화현 25
I. 봉군소멸 피해현황 및 대책 추진 상황 26
II. 봉군소멸 피해현황 및 대책 추진 상황 29
토론3. 꿀벌 실종 피해 현황 및 대책 / 김용래 31
1. 꿀벌 실종 피해 현황 32
2. 꿀벌 실종 원인 32
3. 꿀벌 응애류 구제 현황 33
4. 꿀벌 실종 피해 대책 33
토론4. 꿀벌질병대책 및 방역비의 효율적 집행 / 윤병수 36
토론5. 꿀벌 응애류 특성 및 응애 방제 약제 저항성 모니터링 / 김영호 40
토론6. 화분매개용 꿀벌 생산·이용과 발전 방안 / 정화숙 62
토론7. 밀원면적 증식, 수분매개체 보호 등에 실효성 있는 대책 강구해야 / 최태영 68
1. 개요 69
2. 한국 정부 대응 70
3. 그린피스 평가 70
4. 해외 사례 70
5. 그린피스 제언 7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