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목차 1
[행사일정] 2
발제 : 누가 누구를 대표할 것인가 :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정치제도 설계 / 문우진 3
주제 : 누가 누구를 대변할 것인가? :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부분개방형 명부 비례대표제 설계 / 문우진 15
요약 15
I. 서론 16
II. 이론적 논의: 대의민주주의의 구조적 문제 17
1. 다수지배 원리와 소수보호 원리의 상충 17
2. 대리인 문제 17
3. 정치의 시장거래화 18
III. 정치제도의 입법적 효과 19
1. 거부권행사자 분석 19
2. 양당 다수결 의회에서의 입법생산성과 입법결과 21
3. 양당 초다수결 의회에서의 입법생산성과 입법결과 22
4. 다당 다수결 의회에서의 입법생산성과 입법결과 25
5. 다당 초다수결 의회에서의 입법생산성과 입법결과 27
6. 정당체제와 입법규칙이 입법생산성과 입법결과에 미치는 영향 31
IV. 누가 누구를 대표해야 하는가? 36
1. 당간 차원 대표성과 당내 차원 대표성 36
2. 어떤 정치제도가 당간 차원 대표성을 극대화시키는가? 37
3. 어떻게 당내 차원 대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 39
4. 무엇을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가? 40
V. 선거제도 개혁 방안 42
1. 정당 명부 구성 및 후보순위 결정 42
2. 명부유형, 선거구 크기와 봉쇄조항 43
3. 개혁안의 다양한 적용 방법 45
VI. 개혁안이 한국 정치에 미치는 효과 47
1) 대통령 권한 약화 48
2) 지역주의 약화 48
3) 정치양극화 해소와 협치 증진 48
VI. 결론 50
참고 문헌 51
부록: 선거제도 개혁안 서울 선거구 획정 사례 52
토론 55
토론1. 대한민국 정치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바꿀 것인가 / 신인규 55
토론2. 우리나라 정치는 왜 이 모양 이 꼴일까 / 천하람 58
토론3. / 하헌기 60
토론4. 세대간 형평과 공존을 위한 정치개혁 / 이동학 65
[뒷표지] 6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