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제문 1]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 명칭과 배치 / 박은경 4
1.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현상과 원 배치상태 5
2. 부석사 조사당 벽화 사천왕 도상의 검토 7
3.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배치원리 10
4.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의의 12
참고문헌 13
[발제문 2] 범천과 제석천, 그리고 사천왕상 도상의 시작 / 임영애 14
1. 머리말 15
2. 쌍이 된 범천과 제석천: 성(聖)과 속(俗)의 만남 15
3. 사천왕상: 天界의 神에서 戰士로 19
4. 맺음말 21
참고문헌 23
[발제문 3] 신장(神將) 벽화를 통해 본 부석사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 / 심영신 24
1. 머리말 25
2. 조사당 신장 벽화의 특징과 선종 승탑의 신장상 26
3. 설산 천희의 간화선 체험과 조사당 건립 28
4. 맺음말 33
[발제문 4]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근대기 기록과 원형의 재구성 -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의 조사에서부터 3차원 디지털 복원까지 / 박윤희 34
1.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와 부석사 조사당 35
2. 부석사 조사당 공사(1916~1919) 36
3. 철거 전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기록 37
4.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원형 재구성 40
참고문헌 42
[발제문 5]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과학적 보존 / 정혜영 43
1. 서론 44
2. 수리 및 보존이력 45
3. 주요 손상현황 46
4.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47
5. 향후 과제 48
참고문헌 49
판권기 50
[발제문 1]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 명칭과 배치 / 박은경 5
도 1. 부석사 조사당 건물(등화스님 제공) 5
도 2. 부석사 무량수전 내 조사당 벽화(『海東佛敎』, pp.162~163 사진) 5
도 3. 부석사 조사당 입구 내벽(2018) 5
도 4. 부석사 조사당 벽화 ②남방천왕(좌:전도, 우:방책명) 8
도 5. 부석사 조사당 벽화 ②남방천왕(좌:원본, 우:국립문화재연구원 일러스트) 8
도 6. 화엄사 서오층석탑(통일신라 9세기), 남방천왕 9
도 7. 지장시왕도(고려 14세기), 일본 靜嘉堂文庫美術館 9
도 8. 부석사 조사당 벽화 ③천왕(원본, 일러스트) 9
도 9. 청룡사 영산회괘불(1658)(전도, 서방천왕) 9
도 10. 영산회도(1565), 동아대 석당박물관(전도, 서방천왕) 9
도 11. 北京 法海寺 대웅보전 벽화(명, 1443), 서방천왕 9
도 12. 사천왕 배치 - 동향법(東向法) 10
도 13. 지장사천왕도(고려 14세기), 호암미술관 소장 10
도 14. 석굴암 내부 모습(故 한석홍 작가 사진) & 사천왕 배치(동향법) 11
도 15. 석굴암 사천왕 배치 도형 11
도 16. 천은사 청동불감, 고려말~조선초 11
도 17. 조사당 입구의 좌우 벽면을 열었을 경우 11
[발제문 2] 범천과 제석천, 그리고 사천왕상 도상의 시작 / 임영애 17
도 1. 불오존상, 파키스탄 폐샤와르박물관 17
도 2. 〈도 1〉의 세부, 정병을 쥔 범천과 금강저를 쥔 제석천 17
도 3. 카니쉬카사리기 뚜껑 부분, 1~2세기, 파키스탄 폐샤와르박물관 18
도 4. 범천권청, 스와트 출토, 1세기 전반, 높이 38.8cm, 베를린아시아미술박물관 18
도 5. 아기 붓다의 목욕, 2~3세기, 높이 26.4cm, 파키스탄 폐샤와르박물관 18
도 6. 붓다의 탄생, 2~3세기, 베를린아시아미술 박물관 18
도 7. 사천왕봉발도, 2~3세기, 시크리 출토, 높이 33cm, 파키스탄 라호르박물관 19
도 8. 사천왕상, 중앙아시아 호탄 단단-윌릭(Dandan-uilik) 제2사원지 동벽 사천왕상, 5~6세기 20
도 9. 사천왕상, 〈도 8〉의 현재 모습 20
도 10. 〈석굴암 범천〉, 8세기 중~후반, 경상북도 경주시 21
도 11. 〈석굴암 제석천〉, 8세기 중~후반, 경상북도 경주시 21
도 12. 〈석굴암〉 짧은 복도와 주실 경계, 경상북도 경주시 21
도 13. 구미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육각사리기, 김천 직지사 성보박물관 22
도 14. 구미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육각사리기, 드로잉, 김천 직지사 성보박물관 22
[발제문 4]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근대기 기록과 원형의 재구성 -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의 조사에서부터 3차원 디지털 복원까지 / 박윤희 35
도 1. 『朝鮮古蹟調査略報告』, 「古跡地名拔萃」 35
도 2. 1916년 4월 25일 '부석사 무량수전 및 조사당 보존공사에관한 문서(별첨 관야공학박사보고)' 37
도 3. 철거 전 부석사 조사당 벽화 촬영 사진, 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 수록 38
도 4. 조선총독부박물관, 1926.4, 박물관보 1-1 38
도 5. 부석사 조사당 벽화 모사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도 6. 부석사 조사당 벽화 디지털 복원 VR 초기 화면 41
[발제문 5]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과학적 보존 / 정혜영 44
도 1. 부석사 조사당 벽화 현황 44
도 2.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주요 손상 현황 4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