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프로그램 3

[세션 1] 2030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로 가는 길 6

[대표발제]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위한 어젠다 / 이호영 7

발표요약 7

01. 회복기의 디지털 대전환 9

글로벌 도전과 복합위기 9

역사로부터의 교훈 10

효율성에서 회복력으로 방향 전환 11

불균등한 회복 11

팬데믹과 경험의 확장 12

정책과 담론의 확장 13

정책과 경제 담론의 확장 14

02. 디지털 대전환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14

디지털 전환의 성장효과 15

디지털 전환과 일자리 15

디지털 전환과 생산성 16

디지털 전환과 삶의 질 16

디지털 전환과 회복력 17

디지털 전환의 경제적 파급효과 17

디지털 대전환의 메타차원 18

03. 디지털 대전환의 방향성: 공동번영 19

2030 디지털 대전환 미래 시나리오 19

D. Acemoglu의 공동번영사회 비전 20

투자국가 vs 보장국가 20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新사회계약 21

디지털 대전환이 추구하는 가치 21

디지털 협력 거버넌스 22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 3대 정책방향 22

04. 국민의식조사 결과 23

05. 디지털 공동번영사회 어젠다 28

[세션 2] 혁신과 변화를 견인하는 디지털 대전환 39

[발제 1] 디지털 메가트렌드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 대응 전략 모색: Twin Transformation을 중심으로 / 김도훈 40

발표요약 40

01. 디지털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DTT 42

02. DTT 중심에 있는 TMT 섹터 45

03. 한국 TMT 섹터의 역할: 진화와 전망 47

04. TMT 섹터의 새 역할과 도전과제 50

[발제 2] 디지털 대전환 시대 가상-현실세계 융합과 초연결기술 / 홍인기 55

발표요약 55

01. 연구배경 및 목표 57

02. 2030 핵심 기술 61

03. 메타버스ㆍ디지털 트윈 64

04. 가상-현실 세계 융합과 초연결 사회를 위한 제안 67

[발제 3]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 변혁과 삶의 질 / 강정한 69

발표요약 69

1.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71

2. 디지털 대전환기 삶의 질 지표 개발 72

3. 디지털 전환 시대의 삶의 질 실증분석 78

4. 디지털 대전환 시대 노동의 변화와 삶의 질 86

5.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로의 도약 95

[발제 4] 인간-AI 협업기반 지능형 정부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 문명재 104

발표요약 104

01. 연구배경 및 체계 106

02. 지능형 정부와 인공지능 107

2-1. 지능정보사회와 인간-AI 협업 108

2-2. 인공지능의 위험요인 110

03. 정부내 AI활용을 위한 조사 110

3-1. 대국민 인식조사 111

3-2. AHP 조사 113

04. 미래정부의 인간-AI 협업 전망 115

4-1. Q방법론의 미래정부 핵심 쟁점과 인식유형 116

4-2. 미래예측 시나리오 119

05. 성공적 인간-AI 협업 방안 121

5-1. 성공적 인간-AI 협업 원칙 121

5-2. 성공적 인간-AI 협업 전략 122

[종합토론] 126

[세션 3] 지속가능한 디지털 경제를 위한 구상 130

[발제 1] 지속가능한 생태계 디자인을 통한 우리나라 디지털 전환 산업 경쟁력 강화 / 김연성 131

발표요약 131

01. 연구개요 133

02. 디지털 생태계와 디지털 격차 135

03. 디지털 전환 사례 연구: 기업 및 국가 정책 사례 139

04. 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위한 플랫폼 디자인 방안 143

[발제 2]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차세대 보안 기술 / 홍지만 151

발표요약 15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3

차세대 사이버 보완 기술 및 발전 시나리오 155

사이버 보완 정책 현황과 미래 전략 160

결론 162

[발제 3] 디지털 대전환 시대 ICTㆍ반도체 기술 및 인력 양성 전략 / 김훈 164

발표요약 164

배경 및 필요성 166

연구 체계 166

연구 범위 167

위협 요소 및 기술ㆍ인력 양성 전략 169

디지털 공동 번영 사회를 위한 어젠다 174

맺음말 175

[종합토론] 178

[세션 4] 연대와 포용의 디지털 사회를 향해 182

[발제 1] 디지털 대전환기 정치과정의 선순환 구축 / 장우영 183

발표요약 183

01. 연구의 배경 185

02. 디지털 대전환기 정치양극화 186

03. 정치과정의 악순환: 원인진단과 사례분석 189

04. 정치과정의 선순환: 문제해결과 공동번영 194

[발제 2] 디지털 대전환 시대 新디지털 격차와 정부역할 / 김서용 198

발표요약 198

0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200

02. 新디지털 격차의 개념, 현상, 시사점 201

03. 한국사회 新디지털 격차 현황분석 203

04. 新디지털 격차와 정부역할 및 정책1: 벤치마킹 206

05. 新디지털 격차와 정부역할 및 정책2: 방향 209

[발제 3]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의 공존 전략 / 최창용 212

발표요약 212

1. 서론 214

2-1. 디지털 전환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 분석 214

2-2. 주요국 트윈 전환 정책 동향과 시사점 215

2-3.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 전환의 이중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의 관리 216

2-4. 녹색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술활용 사례연구 217

3.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18

[종합토론]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