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목차 2
인사말 / 서영교 3
인사말 / 설훈 5
인사말 / 신정훈 7
인사말 / 양경숙 9
인사말 / 윤미향 11
피해자증언 13
1. 나는 총살을 경험했다 / 홍창성 14
2. 나는 깡패가 아니다 / 김동철 17
발제문 20
발제 1. 삼청교육대 인권침해의 실상 / 신하나 21
1. 삼청교육대 사건 21
2. 불법구금 및 가혹행위 관련 28
4. 삼청교육대 출소 이후의 피해 38
5. 나가며[내용없음] 41
발제 2. 삼청교육대의 위헌·위법성에 관한 검토 / 조영선 42
1. 들어가며 42
2. 삼청교육대 사건의 배경 및 입안 과정 43
3. 계엄포고 제13호의 위법·위헌성에 관한 주장 48
4. 삼청교육대 - 순화교육(1980. 8.~1981. 1.)의 위헌·위법성 53
5. 삼청교육대 - 근로봉사(1980. 9.~1981. 1.)의 위헌·위법성 59
6. 삼청교육대 - 보호감호(1981. 1.~1983)의 위헌·위법성 62
7. 사회보호법 자체의 위헌·위법성 66
8. 사회보호법 부칙 제5조 제1항의 위헌성에 관한 주장 71
9. 나가며 76
발제 3. 삼청교육피해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개정안 검토 / 이영기 78
1. 기존 법률의 주요 내용(2004. 1. 29. 제정 2004. 7. 30. 시행) 78
2. 일부개정법률안(2023. 1. 31. 발의)의 주요 내용 79
3. 추가 개정이 필요한 사항 - 전부개정의 필요성 80
토론문 84
토론 1. 국가폭력에 대한 종합적 접근과 삼청교육대 피해자 법 개정안 / 명숙 85
1. 삼청교육대 피해자들의 삶과 철저히 기획된 국가폭력 85
2. 우리는 과거 국가폭력에 대해 어떻게 임해야 하나 86
3.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폭력 진실규명과 피해자 구제, 국제인권기준 87
토론 2. 삼청교육대 등 중대한 인권침해 피해회복운동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제언 - 어떻게 하면 "선(先) 진상규명, (後) 배·보상" 요구를 관철할 것인가? - / 허상수 88
1. 전국의 수많은 1980년 삼청교육대 피해자들은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어서 빨리 진실규명 결정이 내려지길촉구하며, 국가를 상대로 한 권고가 이행되기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88
2. 삼청교육대 관련 보상법 개정 이유와 촉구 89
토론 3. 삼청교육피해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전면개정에 찬동한다 / 조승현 98
I. 삼청교육대의 위법성과 법개정의 필요성 근거(발제문을 중심으로) 98
II. 삼청교육대법의 개정필요성 101
III. 결론: 전면개정에 찬동하며 그 밖의 문제에 관하여 10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