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일정표 3
목차 6
기조 강연 9
한국의 교사와 교사되기 -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서 교사 되기, 교사로 성장하기 / 이혁규 10
주제 발표 1분과 11
1. 지속가능한(sustainable) 초기교사교육(ITE) 방향성 탐색 - 싱가포르와 핀란드 사례에 기초하여 / 홍미영 12
I. 서론 12
II. 이론적 배경 15
III. 지속가능한 초기교사교육 '투입-과정-성과' 모형 고안 19
IV. 싱가포르와 핀란드 초기교사교육 체제에의 적용 및 논의 22
V. 결론 28
참고 문헌 31
토론 / 이슬아 34
2. 예비교사는 교육실습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성장하는가 - 협력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상황을 중심으로 / 윤미영 ; 정재림 37
I. 서론 37
II. 이론적 배경 38
III. 프로그램 개관과 연구 방법 40
IV. 연구 결과 43
V. 시사점 53
참고 문헌 55
토론 / 강민규 57
3. 초등 교사의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문해력 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 보조 자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미혜 ; 오지혜 59
I. 서론 59
II. 선행 연구 61
III.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문해력 지도를 위한 보조 자료의 개발 64
IV.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문해력 지도를 위한 보조 자료의 활용 74
V. 결론: 요약 및 제언 77
참고 문헌 79
토론 / 이선림 81
1. 한국어가 제1언어인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보조 교재에 대해서 81
2. 교사/예비교사들이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가르치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 81
3. 보조 자료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서 82
4. 한국어 교원, 그리고 한국어를 교육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기 -현장 연구자를 위한 수업 사례 연구방법론에 대한 소고 / 구민지 83
토론 / 조형일 84
주제 발표 2분과 86
1. 초임 국어 교사, 헤매고 고뇌하고 성장하는 기록 - 배움의 숲 나무 학교를 중심으로(A Record of a Beginning Korean Teacher who Wanders, Agonizes, and Grows: Focusing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Namu School) / 한준휘 ; 가은아 87
1. 서론 87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88
3. 연구 방법 90
4. 연구 결과 및 논의 93
5. 결론 116
참고문헌 118
토론 / 이슬기 120
2. 국어 교사는 언제, 어떻게 행복해지는가 - 국어 교사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오윤주 122
I. 서론 122
II. 이론적 탐색 124
III. 연구 방법 126
IV. 연구 결과 129
V. 결론 및 제언 139
참고 문헌 142
토론 / 이인화 144
1. 교사 K의 좌표 144
2. 국어교사의 행복과 학생 144
3. '순간의 망함'과 '방향성' 145
3. 배움의 공동체와 교사의 실천적 지식(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he 'Learning Community') / 한영욱 146
1. 연구의 필요성 146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47
3. 연구방법 149
4. 연구 결과 150
5. 논의 및 결론 158
참고문헌 161
토론 / 송지언 163
4. 한국어 교사로 살아내기 / 이소연 165
I. 들어가기 165
II. 만나기 167
III. 이야기하기 170
IV. 나오기 178
토론 / 윤지원 180
1. '한국어 교사'로서의 삶에 관하여 180
2. '한국어 교사'로서의 어려움에 관하여 180
3. '한국어 교실의 변화'에 관하여 181
개인발표 1분과 182
1. 시조 감상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각 체험 양상 연구 / 이루리 183
I. 문제 제기 183
II. 학습자 감각 체험 논의의 전제 185
III. 학습자 감각 체험 양상 190
IV. 시조 교육을 위한 시사점 197
참고 문헌 202
토론 / 유정란 204
2. 호주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역량 반영 양상과 교육적 함의 -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 역량과 '윤리적 이해' 역량을 중심으로 / 이은홍 ; 김금내 206
I. 들어가는 말 206
II. 호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일반역량의 기능 207
III. 호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일반역량 반영 양상 214
IV. 나오는 말: 교육적 함의 228
참고 문헌 231
토론 / 이상아 233
1. 문학교육의 내용이 신설되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지요 233
2. 이 논문에서 두 역량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무엇일지요 233
3. 위계화는 어느 정도의 위상을 지닌 것일지요 233
4. 역량 관련 인용 연구물 사이의 연관 233
3. 주요 내용어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읽기 이해의 차이 / 심혜경 ; 박영민 235
I. 서론 235
II. 연구 방법 236
III. 연구 결과 238
IV. 결론 241
참고 문헌 243
토론 / 이현진 244
4. 텍스트 이해의 계열성과 구조성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0장 '어느 박물학자의 회상'을 토대로 / 김도남 246
I. 서언 246
II. 텍스트 이해의 계열과 구조 248
III. 계열적 이해와 구조적 이해 255
IV. 결언 261
참고 문헌 263
토론 / 이창근 264
개인발표 2분과 266
1. 자기 성찰·계발 역량 기반 초등 국어 교과서 활동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초등 5-6학년 단원을 중심으로 / 양수연 ; 최영인 267
I. 들어가며 267
II. 핵심역량과 자기 성찰·계발 역량 268
III. 초등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자기 성찰·계발 역량의 구현 양상 272
1. 단원 분포 개괄 및 분석 기준 272
2. 교과서 학습 활동 양상과 특성 276
IV. 논의 및 제언 281
V. 나가며 282
참고 문헌 283
토론 / 박성석 285
1. 분석 틀 관련 285
2. 분석 결과 관련 286
참고문헌 287
2. 직업계고에서의 국어 수업과 국어 교사 - 직업계고 교육과정 보통교과로서의 국어 교과의 의미 / 김경주 288
I. 서론 288
II. 직업계 고등학교에서 학습, 학력 289
III. 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국어 수업 293
IV. 결론 298
토론 / 구영산 300
3. '기초문식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 서현석 301
I. 시작하며 301
II. 이론적 배경 302
1.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기초 문식성' 지도 302
2. 교사가 개발한 교육과정의 의미 303
III. 교사교육과정 개발과 실행 연구의 과정과 결과 305
1. 교사교육과정 개발 연구의 방법과 과정 305
2. 사례 : 천천히 학습 전체가 함께 배우는 1학년 '한글 낱자 익히기' 306
IV. 맺으며 312
참고 문헌 313
토론 / 이경남 314
개인발표 3분과 316
1. '학습'의 관점에서 본 예비 국어교사 모의 수업 교육의 문제점 / 남지애 317
I. 서론 317
II. 이론적 배경 318
III. 예비 국어교사 모의 수업 교육의 문제점 320
IV. 학습을 중심으로 한 모의 수업 교육의 개선 방향 323
V. 결론(생략) 326
참고 문헌 327
토론 / 백정이 329
2.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교사의 교과내용지식 탐색적 연구 -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인식 양상을 중심으로 / 이영희 331
I. 서론 331
II. 이론적 배경 333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336
IV. 연구 결과 분석 340
V. 결론 및 제언 343
참고 문헌 344
토론 / 최선희 346
3. 대학 수학 능력 시험 문법 문항의 내용 타당도 점검 / 이관희 348
I. 문제 제기 348
II. 연구 방법 349
III. 연구 결과 352
IV. 제언 361
참고 문헌 364
토론 / 최은정 365
1. 시험의 목적과 타당도의 관계 365
2. 연구 방법과 내용 타당도 점검 결과 366
참고 문헌 367
4. 중학교 국어과 기초학력부진반 수업 사례연구 - '느린 학습자'의 학습 참여 양상 변화를 중심으로 / 김은성 368
[ppt자료] 368
토론 / 박의용 383
1. [제목없음] 383
2. 기초학력부진반 지도 경험 383
3. 학습부진아반 내 학습자의 위치와 역할, 가용 자원에 따른 학습 참여도 변화 383
4. 학습부진아반의 개선 대상을 학생의 국어 역량 일반으로 잡아야 하는가, 정규 국어 수업에서의 학습 능력으로 잡아야 하는가? 384
5. 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 동기 중에서, 국어 공부의 방법을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384
6. 국어 학습부진아반 지도가 개선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운영 방식의 검토. 38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