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Organizing Committee 3

[행사일정] 4

목차 7

Plenary Lecture 16

Plenary Lecture 1. 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 Same or Different Considerations during Pre and Post Covid 19 Periods / Berinderjeet Kaur 17

Plenary Lecture 2. Does the Qu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mpact Development of Student Resources / Brian Hand 19

Plenary Lecture 3. Eye-tracking as a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 Markku Hannula 22

1. How to study the mathematics in mind? 22

2. Basics of eye movement research 23

3. The relevance of visual atten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24

4. MathTrack: exploring student and teacher visual attention in mathematics classrooms 25

5. Concluding reflections 25

References 26

Plenary Lecture 4. Coordinating Multiplication and Measurement: New Pathways into Calculus / Andrew Izsak 29

1. Introduction 29

2. Coordinating Multiplication and Measurement 30

3. Pathways to Calculus 32

4. Discussion 35

References 36

International Session 37

International Session 1 38

Exploring Zeitgeist of Korean Mathematics Teaching within Teacher Professional Community with Text Mining Approaches / Gima Lee ; Hee-jeong Kim 38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Questionnaire: In the Context of Korea and Türkiye / Yüksel Dede ; Hee-jeong Kim ; Gürcan Kaya ; Gima Lee ; Veysel Akçakin 41

Explo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in Mathematic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tbot / Taekwon Son ; Sheunghyun Yeo 45

1. Introduction 45

2. Methods 46

3. Results 47

4. Conclusion 48

Reference 49

International Session 2 50

Navigating Integral Calculus with Calculators / Diansuy, Aileen A. 50

The Knowledge of Voting & Electoral Systems in Mathematics Curriculum / Emily Sum 52

Didactic Revision Strategy for the Design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with AI Technology / Young-Seok Oh 56

Oral Presentation 58

〈국내발표 1〉 : Oral Presentation 1 59

개인 맞춤형 수학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시스템의 기능과 적용 사례 분석 / 성지현 59

I. 서론 59

II. 연구 방법 60

III. 연구 대상 61

IV. 연구 도구 61

V.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2

PICRAT 모델을 활용한 공학 도구 활용 수학 수업의 분석 가능성 탐색 / 이지연 ; 임해미 63

수학 문제 해결에서 효과적인 ChatGPT의 프롬프트 고찰: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 오세준 66

〈국내발표 2〉 : Oral Presentation 2 69

공약불가능성을 중심으로 무리수 지도에 대한 고찰 / 백승주 69

위상수학을 활용한 갑산부 고지도 분석 / 최규흥 ; 정택선 71

위상수학을 활용한 삼수부 고지도 분석 / 정택선 ; 최규흥 75

〈국내발표 3〉 : Oral Presentation 3 80

곱셈 비교관계를 강조한 비와 비례 수업이 학생들의 비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 정슬비 ; 이광호 80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확률: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박진형 83

데이터 기반 통계교육을 위한 웹 기반 탐색적 데이터 분석 공학 도구 개발 / 황수빈 ; 유연주 85

〈국내발표 4〉 : Oral Presentation 4 88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성찰 / 심재훈 ; 박만구 88

한국 초·중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마인드셋 조사 연구 / 이기마 ; 이유정 ; 김희정 91

I. 연구 배경 91

II. 연구 방법 92

III. 연구 결과 93

IV. 결론 및 논의 93

참고문헌 94

과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도형과 측정 영역에서 초등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유형과 수준 및 뇌 활성의 변화 탐색 / 한진희 ; 이광호 95

I. 서론 95

II. 연구문제 96

III. 연구 방법 96

IV. 연구 결과 97

V.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98

〈국내발표 5〉 : Oral Presentation 5 100

수학 수업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프로젝트 수업 개발 사례 / 박주연 ; 노지화 100

고등학교 수학과 진단 평가 모형에 대한 평가 공학의 타당성 연구 / 정진민 ; 김성연 102

체화된 설계 기반 증강현실 활용 수학 학습 환경 설계 방안 논의 / 왕효원 ; 유연주 106

〈국내발표 6〉 : Oral Presentation 6 108

Chat GPT를 활용한 인공지능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 김호석 ; 고호경 108

ChatGPT의 수학적 성능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 권오남 ; 오세준 ; 윤정은 ; 이경원 ; 신병철 ; 정원 110

초등학생 튜터링 챗봇 개발을 위한 오류 유형별 튜터링 시나리오 연구 / 강보선 ; 유연주 ; 신인섭 ; 임준호 113

〈국내발표 7〉 : Oral Presentation 7 116

초등학생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등호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서 미지수가 포함된 등식 지도하기 / 김고은 ; 방정숙 116

I. 서론 116

II. 연구의 배경 116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17

참고문헌 117

등식 해결 문항에서 전략 사용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확신 분석 / 이유진 119

수학 교육과정 자원 활용 유형에 따른 교사의 집단별 특징 / 김윤성 ; 방정숙 121

I. 서론 121

II. 연구의 배경 121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22

IV. 결론 및 제언 122

참고문헌 123

〈국내발표 8〉 : Oral Presentation 8 124

가상현실 협력학습 기반 융합 교육 콘텐츠 개발 / 유연주 ; 김민정 ; 노하은 ; 왕효원 ; 조상연 124

연동장치를 이용한 타원의 작도 / 허남구 128

I. 서론 128

II. 이론적 배경 128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29

IV. 결론 및 제언 130

참고문헌 130

수학학습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학교 수업 사례 연구 / 육지은 ; 고호경 131

〈국내발표 9〉 : Oral Presentation 9 135

패턴 일반화 과제의 난이도와 안구 운동 / 최인용 135

담론적 관점에서 히스토그램의 의미와 과제 발문 분석 / 김원 137

로봇을 활용한 초등 기하 수업에서 각에 대한 동적 관점 형성에 대한 연구: 포괄적 유물론을 기반으로 / 김영인 ; 서유민 ; 이경화 141

〈국내발표 10〉 : Oral Presentation 10 143

인공지능 분류 모델을 활용한 여러 가지 사각형 단원 수업안 개발: 개념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박시은 ; 최윤성 143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학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이현희 ; 김래영 147

반힐 수준에 기반한 로봇 활동 수준의 변화 분석 / 최인선 ; 임해미 150

〈국내발표 11〉 : Oral Presentation 11 152

길이와 시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의 검정 및 국정 교과서와 미국의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 이윤경 ; 박만구 152

수세기와 가르기, 모으기에 관한 일대일 지도 사례 연구 / 오민영 ; 방정숙 155

정사각형 칠교판으로 만들 수 없는 볼록다각형에 대한 고찰 / 황지남 157

〈국내발표 12〉 : Oral Presentation 12 161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해석을 통한 교사의 빅 아이디어 의미 이해 / 송창근 ; 이효빈 ; 이경화 16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수학교육 평가의 방향 / 최인선 ; 이세형 ; 문두열 164

STEA"M" 교육 정책 실행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 탐색 / 한채린 ; 이유진 ; 이경원 ; 권오남 167

〈국내발표 13〉 : Oral Presentation 13 169

에듀테크 활용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 분석 / 임미인 169

TF 및 TF-IDF 분석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의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 키워드 분석 / 조미경 171

AI와 Coding을 활용한 데이터 스토리텔링 초등수학 영재교육 통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고준석 174

〈국내발표 14〉 : Oral Presentation 14 177

이차분석에 대한 소고: TIMSS, SELS 분석을 바탕으로 / 가연석 ; 안정수 ; 차승진 ; 지민경 ; 배기정 ; 황지현 177

서론 177

사례 1 178

사례 2 179

논의 180

참고문헌 181

상담과 코칭에 기반한 수학학습클리닉 모델(R-UTF) 개발 / 김정현 ; 고상숙 182

조합적 추론 과정 탐색을 위한 교과서 경우의 수 단원 문제의 구조 분석 연구 / 김진수 ; 이경화 186

〈국내발표 15〉 : Oral Presentation 15 189

2022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연결역량 강화를 위한 6학년 수학 교과활동 재구성 / 이종학 ; 하태봉 189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측면의 분석 / 강윤지 192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평적 연결의 구체화 방안 연구 / 이예진 ; 장혜원 194

1. 서론 194

2. 이론적 배경 195

3. 연구 방법 195

4. 연구 결과 195

5. 결론 및 제언 195

참고문헌 196

〈국내발표 16〉 : Oral Presentation 16 197

수학 수업에서 GPT를 활용한 피드백 과정의 설계와 적용 연구 / 유연주 ; 신인섭 ; 김명식 ; 이준수 ; 윤예린 ; 황수빈 ; 안영석 197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및 평가 탐색: 서울 수학학습 메타버스(SEMM) 활용 초등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 김동희 ; 김민경 200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의 크기 비교 탐색: 동분모 분수와 단위분수의 크기 비교를 중심으로 / 이지영 ; 김민경 202

〈국내발표 17〉 : Oral Presentation 17 205

중학생 대상 수학 학습 코칭 적용 사례 연구 / 이승원 ; 고호경 205

수학사를 통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적분 전개 sensemaking / 이지현 207

비고츠키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 효과적인 발문 전략 / 강혜정 ; 김희정 21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1

2. 연구 문제 212

3. 연구 참여자 212

4. 연구 방법 212

5. 결론 213

참고문헌 214

〈국내발표 18〉 : Oral Presentation 18 215

현직 수학 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에 대한 인식과 과제 개발 역량: 현실성을 중심으로 / 황선영 ; 한선영 215

1. 서론 215

2. 방법 215

3. 결과 216

4. 제언 217

참고문헌 217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의 설계 및 실행에서 수학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 분석: TPACK의 관점에서 / 이송희 ; 김영인 ; 박찬희 ; 이경화 218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김소민 ; 권나영 220

〈국내발표 19〉 : Oral Presentation 19 224

방향 판단 질문 사용에 대한 수학 수업 동영상 분석 / 김혜영 ; 김래영 224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디지털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 이기마 ; 문제웅 ; 김희정 227

I. 연구의 배경 227

II. 연구 방법 227

III. 연구 결과 228

IV. 결론 및 시사점 228

참고문헌 229

〈국내발표 20〉 : Oral Presentation 20 230

AI를 활용한 고등학교 융합프로그램 개발연구 / 김형식 ; 이두현 ; 이연희 ; 이현애 230

I. 서론 230

II. 연구 내용 231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232

IV. 결론 및 제언 232

참고문헌 233

Diagnostic Tree Model을 활용한 수학 서술형 문항 인지진단평가 적용 연구 / 최병홍 ; 김래영 ; 유연주 234

직업기초능력평가 수리활용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 김윤민 ; 김부미 ; 정지영 237

〈국내발표 21〉 : Oral Presentation 21 240

지오지브라를 이용한 중학생의 사각형 포함관계에 대한 담화분석 / 김명창 240

I. 서론 240

II. 이론적 배경 240

III. 연구 방법 241

IV. 분석 242

참고문헌 243

그뢰브너 기저와 종이접기 삼차곡선 / 유재헌 ; 안재만 244

스마트폰을 활용한 중학교 이차함수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최경식 246

〈국내발표 22〉 : Oral Presentation 22 249

잠재적 구성 영역(ZPC)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가역성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사례 연구 / 박정선 249

I. 서론 249

II. 이론적 배경 249

III. 연구방법 250

IV. 결과 분석 250

V. 결론 251

참고문헌 252

중학생의 수학 학습동기를 촉진하는 수업을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 박석준 253

함수의 극한 단원 교과서 읽기 과정에서 학생의 말하기 분석 사례 / 김민아 ; 이봉주 256

1. 서론 256

2. 연구 대상 및 분석 틀 256

3. 연구 결과 257

참고문헌 257

Special Session 258

Special Session 1 259

다이어그램과 수학 기초 학력 지도 / 노정원 259

다이어그램과 수학 기초 학력 지도 / 문성재 261

수학 기초학력 저하 및 도·농간 지역 격차의 원인 탐색 / 이동환 264

Special Session 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공학 도구 활용 수업 방안 / 임해미 ; 박진형 ; 신동조 ; 신보미 ; 조진우 ; 이지연 ; 한현구 266

Special Session 3. 수학교육 내실화를 위한 정책 현황·성과 분석 / 나귀수 ; 최지선 ; 이수진 ; 임미인 ; 신동조 ; 선우진 268

Special Session 4. OECD PISA 2022 수학 영역 결과 발표 및 논의 / 김성경 270

Workshop 271

Workshop 1. 통계 수업에서 CODAP의 활용 / 이봉주 ; 이지연 ; 전영주 ; 임해미 272

1. 서론 272

2. CODAP 실행 방법 273

참고문헌 273

Workshop 2. GDC(Graphics Display Calculator)와 함께하는 IB Diploma Programme 수학 수업 / 조정수 ; 劉雯婷 ; 박예지 274

1. TI-Nspire CX II 274

Workshop 3. 『교사가 알아야 할 통계와 데이터과학』 함께 읽기 / 탁병주 ; 지영명 ; 이윤경 ; 김은하 ; 구나영 ; 이자미 ; 전수경 ; 한수연 278

Workshop 4 280

삼각함수로 해시계만들기 / 한은진 280

I. 서론 280

II. 연구의 배경 280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281

IV. 결론 및 제언 283

참고사이트 283

원만다라를 이용한 작도 그리고 원의 평행이동 / 안승석 284

I. 서론 284

II. 연구의 배경 284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285

참고문헌 287

고려대학교 수학교육과(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288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CENTER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S STUDIES) 289

판권기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