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발간사 / 윤창용 2

목차 3

1. 최근 국제 현안의 한반도 안보와 통일에 대한 함의 / 정동준 4

I. 머리말 4

II. 국제 현안과 한반도 안보의 상관성 7

1. 안보 개념의 확장 추세 7

2. 국제 현안의 한반도 안보와의 관련성 9

III. 국제 현안의 한반도 안보 관련 전략적 함의 12

1.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12

2.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쟁 가열 15

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4

4.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27

5. 북한의 움직임 29

IV. 맺음말 32

2. 바이든 행정부의 핵태세검토보고서(NPR) - 한반도 안보에 주는 함의 - / 전성훈 34

I. 바이든 NPR 개요 35

II. 안보환경과 억지에 대한 도전 37

III. 미국의 전략에서 핵의 역할 42

1. 전략적 공격에 대한 억지 42

2. 동맹/파트너를 안심시킴 43

3. 억지 실패시에 미국의 목표를 달성 44

4. 핵사용에 관한 선언적인 정책 44

5. 미국의 방어전략에서 핵의 역할 47

IV. 맞춤형 핵억지전략 48

1. 국가별 맞춤형 접근 49

2. 확전/오판의 위험 관리 51

V. 지역 핵억지 강화 54

1. 유럽대서양의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핵억지 55

2. 인도태평양의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핵억지 56

VI. 군비통제, 핵비확산 및 대테러 58

1. 핵군비통제와 위험감소 59

2. 핵비확산 60

3. 다자 군비통제와 군축 61

3. 이스라엘은 어떻게 적대국의 핵 개발을 저지했을까 / 오용현 63

I. 들어가면서 63

II. 이스라엘의 핵 대응전략 67

1. 베긴 독트린 67

2. 모호성 전략 68

3. 삼손 전략 70

III. 이스라엘의 적대국 핵 개발 저지사례 72

1. 이라크 오시라크 원자로 폭격 72

2. 시리아 알키바르 원자로 폭격 79

3. 이란 핵 개발 지연 작전 87

IV. 나오면서 100

4. 북한의 최근 식량 위기론 분석 - 가용량(FAD)과 획득성(FED) 관점에서 - / 박성열 102

1. 서론 102

2. 이론적 논의 105

1) 식량 가용량 감소(FAD) 접근법 105

2) 식량 획득성 감소(FED) 접근법 106

3) FAD와 FED의 관계 107

3. FAD와 FED 관점을 적용한 북한의 식량 위기론 분석 109

1) FAD 관점의 가용량 109

2) FED 관점의 획득성 115

4. 결론 119

참고 문헌 121

5. 6.25전쟁의 교훈 - 일본 외무성 조사국 자료를 중심으로 - / 이길규 123

I. 서론 123

II. 6.25전쟁 직전의 국제정세 125

III. 6.25전쟁 직전의 한·미 관계와 북·소 관계 128

1. 한·미 관계 128

2. 북·소 관계 131

IV. 북한군의 남침 135

1. 서울 함락과 후퇴 135

2. 인천상륙작전 및 서울 탈환과 북진 139

V. 북한군의 남한 점령지역 정책 141

VI. 유엔의 6.25전쟁 대응 145

VII. 중공의 6.25전쟁 개입 148

VIII. 결론 153

참고 문헌 158

판권기 159

[뒷표지]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