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Program(프로그램) 2
Contents 10
목차 15
SESSION 2. How Can We Improve and Enhancing Accessibility in Museums?(어떻게 박물관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19
Presentation 12. Who Is Not in the Museum... Yet?(아직 박물관에 없는 사람...?) / Amparo Leyman Pino 20
[영문] 21
[국문] 23
Presentation 13. Beyond Physical Barriers, Why Museums are not Accessible?(물리적 장벽 외, 박물관에 접근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 Héctor Valverde Martínez 27
[영문] 28
[국문] 31
Presentation 14. Unlocking Accessibility: The Potential Role of LLMs in Fostering Interactive and Inclusive Experiences in Blockbuster Exhibition(접근성 향상: 대규모 전시에서 상호 포용적인 경험을 기르기 위한 LLMs의 잠재적 역할) / Zhi Ye 33
[영문] 34
[국문] 36
Presentation 15. Making Accessible Audience Through Designing Museum Exhibitions: from Idea to Implementation(박물관 전시 디자인을 통한 접근성 높은 관람객 만들기: 아이디어에서 실행까지의 구현) / Fatemeh (Kimia) Amini Khoshouei ; Yasaman Haji Esmaili 40
[영문] 41
[국문] 43
Presentation 16. Improving accessibility through virtual exhibitions and services - experiences of the Finnish Aviation Museum(가상현실 전시 및 서비스를 통한 접근성 개선 - 핀란드 항공박물관의 경험) / Valeri Saltikoff ; Tiia Fynes 45
[영문] 46
[국문] 49
Presentation 17. New Rules of Engagement: Harnessing the Power of Generative Al and Fictional Universes for Museum Accessibility(관계 맺기의 새로운 방식: 박물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성형 AI와 픽션 유니버스 활용) / 김호산 52
[영문] 53
[국문] 56
Presentation 18. From Encounter to Becoming - Accessibility and its Design Frame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만남에서 시작되기까지 - 과학기술박물관에서의 접근성과 디자인 프레임) / Zhang Na 60
[영문] 61
[국문] 64
Presentation 19. Using Audio Description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inclusive anti-ableist museums(오디오 해설을 활용한 포용적 장애인 차별 금지 박물관 만들기) / Alison Eardley 67
[영문] 68
[국문] 72
Presentation 20. Avatar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y and Case on the Application of Untact Universal Docent Program using MR Device in Ge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아바타 수어 기술과 국립과천과학관 MR(혼합현실) 기기 활용 언택트 유니버셜 도슨트 프로그램 적용 사례) / 김준경 ; 남경욱 76
[영문] 77
1. Understanding on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and Sign Language 77
2. Avatar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y 77
3. Advantages and disadvantage of avatar sign language technology 77
4. Usages of avatar sign language technology 78
5. Pandemic and the untact docent program 79
6. Develop the untact docent program for the hearing impaired in 2020 79
7. Expanding to a universal untact docent program in 2021 81
8. Implications and expectations 82
[국문] 83
1. 청각장애인과 수어에 대한 이해 83
2. 아바타 수어 번역 기술 83
3. 아바타 수어 번역 기술의 장점과 단점 84
4. 아바타 수어 번역 기술의 사용처 84
5. 팬데믹과 비대면 도슨트 프로그램 85
6. 1차년도(2020) 장애인 대상 비대면 도슨트 프로그램 개발 85
7. 2차년도(2021) 유니버설 비대면 도슨트 프로그램으로 확대 86
8. 시사점 및 기대효과 87
Working Group Parallel Session : Group A. Attracting New Peoples in Museums(박물관에 새로운 사람 끌어들이기) 89
Presentation 21. A Museum to be Seen but not Necessarily Heard - the Experience of Deaf Public in the Brazilian Museu Ciência e Vida(볼 수는 있지만 들을 필요는 없는 박물관 - 청각 장애인의 브라질 시엔시아 에 비다 박물관에서의 경험) / Monica Santos 90
[영문] 91
[국문] 92
Presentation 22. Children's voice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과학 기술 박물관에서의 아이들의 목소리) / Wu Sha 94
[영문] 95
[국문] 97
Presentation 23. Valued Sentiments, Disclosed Narratives: Seniors Accessibility to Scientific Museums in the Philippines(가치 있는 감정, 공개된 이야기들: 필리핀 과학박물관에서의 노인 접근성) / Jessie Rose M. Bagunu ; Miriam Charmigrace Q. Salcedo ; Clyde Jeric Joan Morpos 99
[영문] 100
[국문] 104
Presentation 24. Inviting Adults as Participants to the Value Discovery from Using Science Museums(과학관 이용을 통한 가치 발견에 성인을 참여자로 초대하기) / 박은지 107
[영문] 108
[국문] 109
Presentation 25. AIM-ing for Accessible Museums: a Learning Festival in Designing Accessible and Inclusive Programmes in the Museum Roundtable Singapore(접근 가능한 박물관을 위한 목표: 싱가포르 박물관 라운드테이블 사례) / Ivy Lam 111
[영문] 112
[국문] 114
Presentation 26. Packing up the Museums: an Inclusive Journey(박물관 짐 싸기: 포용적 여행) / Elena Santi ; Chiara Marin ; Giuseppe Palmisano 117
[영문] 118
[국문] 119
Presentation 27. Object-based Museotherapy: Therapeutic Aspects for Anxiety - A Case Study at Shanghai Museum, China(오브제 중심 박물관 치료법: 불안에 대한 치료적 측면 - 중국 상하이 박물관 사례) / Siyi Wang 121
[영문] 122
[국문] 124
Presentation 28. The Museum as a Place for Conversation about Environmental Challenges. An Approach for Enhancing Accessibility in Science Communication(환경 문제에 대한 대화의 장으로서의 박물관.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 / Eduardo Rodríguez Batista 128
[영문] 129
[국문] 130
Working Group Parallel Session : Group B. Using New Technologies in Museums(박물관에서 새로운 기술 사용하기) 133
Presentation 29. Enhancing Accessibility of Technological Artefacts through QR coding(QR코드를 통한 기술 유물의 접근성 향상) / Rajib Nath 134
[영문] 135
[국문] 136
Presentation 30. Review of the public media art 〈OCEAN〉 project in the War Memorial of Korea(대한민국 전쟁기념관의 공공미디어 아트 〈OCEAN〉 프로젝트 후기) / 김보영 139
[영문] 140
[국문] 141
Presentation 31. Usage of VR(Virtual Reality) in Museum: Exploring new Opprtunity to Develop Digital Exhibits and New Apprach to Promote Education Through Entertainment(박물관에서의 VR(가상현실) 활용: 디지털 전시물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와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교육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 모색) / Divyeshkumar Sureshchandra Gameti 142
[영문] 143
[국문] 144
Presentation 32. Enhancing Accessibility to Museums(박물관 접근성 향상) / Soumitra Kumar Biswas 147
[영문] 148
[국문] 149
Presentation 33. Enhancing the Accessibility to Science Museums by Online Knowledge Platform(온라인 지식 플랫폼을 통한 과학 박물관의 접근성 향상) / 백두성 151
[영문] 152
[국문] 152
Presentation 34. Creating Video Program Innovation in an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접근성 높은 정보 환경에서 비디오 프로그램 혁신 만들기) / Fu Zijie 154
[영문] 155
[국문] 156
Presentation 3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Science Museum using Music: Focusing on the Music Program of the GNSM(음악을 이용한 과학관 접근성 향상에 관한 연구: 국립광주과학관 음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서현아 ; 문경주 158
[영문] 159
[국문] 159
Working Group Parallel Session : Group C. Try Exploring New Practices in Museums(박물관의 새로운 시도 탐색하기) 161
Presentation 36. The Power of Initiative: The Opportunity for the Inclusion of New Visitor Groups under Unusual Operating Circumstances at the Hungarian Museum of Science, Technology and Transport(이니셔티브의 힘: 헝가리 과학기술교통박물관의 비정상적 운영 상황에서 새로운 방문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는 기회) / Gabor Zsigmond 162
[영문] 163
[국문] 164
Presentation 37. Various Attempts by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of Korea to Diversify its Accessibility to Exhibitions(전시 접근성 다변화를 위한 국립해양박물관의 다양한 시도들) / 김윤아 167
[영문] 168
[국문] 169
Presentation 38. Increasing Accessibility for the Audience through Museum Visits(박물관 방문을 통한 관람객의 접근성 향상) / Parvaneh Asghari ; Mohsen Jafarinezhad 171
[영문] 172
[국문] 174
Presentation 39. Unlocking Stored Collections: Enhancing Accessibi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Collections(수장고 컬렉션의 잠금 해제: 과학기술박물관 컬렉션의 접근성 향상) / Lara Corona 177
[영문] 178
[국문] 179
Presentation 40. Improving Accessibility at Kafr El Sheikh Museum(카프르 엘 셰이크 박물관의 접근성 개선) / Mai Khaled Ebrahim Amer 182
[영문] 183
[국문] 185
Presentation 41. Digital Tools and Outreach Activities: Issues and Challenges Faced by Smaller Museums in India(디지털 도구와 아웃리치 활동: 인도 소규모 박물관이 직면한 문제와 과제) / Vismay Hasmukh Raval 187
[영문] 188
[국문] 189
Presentation 42. The Role of University Museums in Improving Accessibility to Science and Technology Heritage(과학기술 유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학박물관의 역할) / 안신원 ; 황나영 192
[영문] 193
[국문] 194
Presentation 43. Museum as Social Activator: With the Vulnerability-Oriented Museum Education Program in China as Example(사회 활동가로서의 박물관: 중국의 취약계층 대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 Cheng Yanni 197
[영문] 198
First part, different practices for different people in China 198
Second part, comparison with ICOM-CECA Best Practice Award 199
Third part, how to implement a successful practice 199
[국문] 200
1부: 다양한 사람에게 맞는 다양한 실천 200
2부: ICOM-CECA 모범사례상과 비교 201
3부: 성공적인 실천 방법 201
판권기 203
[뒷표지] 20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