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목차 2

개회사 / 심재연[내용없음] 2

환영사 / 염정섭[내용없음] 2

축사 / 최양희[내용없음] 2

축사 / 허영[내용없음] 2

격려사 / 지현병[내용없음] 2

기조강연 : 역사문화권 정비방향과 역사도시 / 성정용 3

I. 역사문화권이란? 3

1. 문화의 의미는? 3

2. 문화권 연구와 인식의 변화 4

II.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정 과정과 주요 내용 6

1. 제정과정 6

2. 주요 내용 7

III.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의의와 개선방향 9

1. 「역사문화권정비법」과 주요 문화재 관련법의 차이 9

2. 의의 10

3. 문제점과 개선방향 12

IV. 역사문화권정비사업의 지향점과 춘천 역사도시 13

1. "역사문화권정비사업" (제2조제3항) 정의 13

2. 정비사업 계획체계 : 기본계획 - 전략계획 - 시행계획 - 실시계획 14

3. 주요 정비사업의 실행 18

4. 정비사업 실행시의 원칙과 지향점 27

5. 예맥역사문화권과 고대 역사도시로서의 춘천 27

발표 30

발표 1. 역사도시 상주의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 박달석 30

I. 머리말 30

II. 조사·연구 현황 31

III. 사벌주의 형성과 도시구조 40

1. 신라의 상주 진출 40

2. 신라의 방어체계 44

3. 上州의 주치 이동과 배경 46

4. 사벌주의 도시구조 51

IV. 앞으로의 과제 59

참고문헌 60

역사도시 상주의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질문 / 차순철 63

발표 2. 춘천지역 지방도시의 조사 현황과 향후과제 -춘천 근화동 지역에서 조사된 삼국~고려시대 유적을 중심으로- / 남도인 65

I. 머리말 65

II. 춘천 근화동 도시유적 조사 현황 67

1. 삼국시대 71

2. 통일신라~나말여초 73

3. 고려시대 75

III. 춘천지역 역사도시의 복원과 향후 과제 80

1. 근화동 유적에서 확인된 고대 도시의 복원 80

2. 춘천지역 역사도시유적 연구를 위한 과제 85

IV. 맺음말 87

참고문헌 89

춘천지역 지방도시의 조사 현황과 향후과제에 대한 질문 / 차순철 103

발표 3. 춘천지역 고려시대의 기와 검토 -근화동, 소양로 일대를 중심으로- / 박은선 105

I. 머리말 105

II. 고려시대 기와 출토 유적의 성격 및 특징 106

1. 춘천 봉의산성 107

2. 춘천 근화동유적 109

3. 춘천 근화동 206번지 유적 111

4. 춘천 소양로유적Ⅱ 111

5. 춘천 소양로 93-8번지 유적 114

6. 춘천 소양로1가 92-21(22)번지 유적 115

7. 춘천 소양촉진2구역 재건축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116

8. 춘천 근화동 793-4번지 유적 117

9. 춘천 어린이모험공원 조성부지 내 유적 118

III. 춘천 근화동, 소양로 일대의 권역 설정 119

1. 군사권역 120

2. 종교권역 121

3. 행정권역 126

IV. 맺음말 128

참고문헌 129

토론 / 최문환 131

발표 4. 역사도시의 디지털 복원과 활용 방안 / 안형기 132

I. 머리말 132

II. 역사도시와 디지털 복원 133

1. 역사도시 개념 133

2. 디지털 복원의 개념과 유형 134

3. 디지털 복원의 목적과 원칙 135

4. 디지털 복원의 방법과 절차 136

III. 국내외 역사도시 관련 디지털 복원 사례 137

1. 국외사례 137

2. 국내사례 146

IV. 사례분석 및 활용 방안 154

1. 사례분석 154

2. 활용 방안 158

V. 맺음말 160

참고문헌 162

역사문화관광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가치에 대한 토론 / 한주형 163

종합토론 / 차순철 ; 최문환 ; 한주형[내용없음] 2

판권기 166

[뒷표지]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