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프로그램 2
목차 3
개회사 / 김동명 4
축사 / 이재명 6
축사 / 김준우 7
축사 / 이낙연 8
축사 / 용혜인 10
축사 / 윤희숙 12
한국노총 22대 총선 노동·사회정책 핵심요구 / 유정엽 13
III. 제22대 총선 정책요구 방향, 정책과제의 구성과 체계 14
1. 문제의식과 정책방향 15
2. 노동정책 요구의 구성과 체계 16
3. 3대 정책목표, 7대 핵심정책, 139개 요구 17
IV. 회원조합 총선정책요구 23
노동·사회분야 핵심 7대 입법과제 관련 각 당의 입장과 추진방향 25
제22대 총선 더불어민주당의 노동·사회 정책 -한국노총 공개질의 답변서를 중심으로- / 정길채 26
제22대 총선 한국노총 노동·사회정책요구에 대한 국민의힘 입장 / 권혁태 38
1. 사회연대입법 법제화 38
2. 노동조합법 제2조, 제3조 개정 재추진 40
3. 공적 노령연금 수급연령과 연계한 65세 정년연장 법제화 41
4. 주 4일제 도입 및 장시간 압축노동 근절 41
5. 산업별 교섭을 통한 사회적 임금체계 구축 42
6. 지역 중심 돌봄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43
7. 공공의료 인력확대 및 의료 불균형 해소 44
8. 핵심 노동정책 공약 45
한국노총 정책제안에 대한 녹색정의당의 입장과 주요 공약 / 최용 46
제22대 총선 한국노총 노동·사회정책요구에 대한 새로운미래 입장 / 김만흠 50
제22대 총선 한국노총 노동·사회정책요구에 대한 새진보연합 노동·사회 공약 발표 / 최승현 54
1. 한국노총 7대 입법 과제 54
2. 새진보연합 3대 노동 공약 57
한국노총 정당별 노동사회정책 비교평가 진보당 토론문 / 박태우 58
각 정당에 대한 전문가 공통질의 및 토론 62
토론 1. 노동법 / 박귀천 63
I. 공통 질의 63
II. "사회연대입법 법제화" 및 "노조법 제2, 3조 개정 추진"에 대한 각 당의 기본 입장 및 평가 64
토론 2. 사회정책 / 윤홍식 69
토론 3. 노사관계/노동시장 / 정문주 72
1. 주4일제 도입 및 장시간압축(과로)노동 근절 73
2. 산별교섭을 통한 사회적 임금체계 구축 74
3. 노동정책 3대 핵심공약 76
토론 4. 노동법 : 22대 총선 '정책선거'가 답이다 / 연윤정 78
1. D-30, 총선 현황 78
2. '이합집산' 지지율 요동 79
3. 민생과 정책의 실종 80
4. 민생토론회와 의료개혁 81
5. 시대의 어젠다 '저노동사회' 81
참고자료 : 한국노총 7대 노동·사회 분야 핵심 7대 입법과제에 대한 정당별 답변서 비교표 83
(1) 사회연대입법 법제화 84
(2) 노조법 제 2,3조 개정 재추진 94
(3) 공적 노령연금 수급연령과 연계한 65세 정년연장 법제화 98
(4) 주 4일제 도입 및 장시간 압축노동 근절 102
(5) 산업별 교섭을 통한 사회적 임금체계 구축 108
(6) 지역 중심 돌봄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112
(7) 공공의료 인력확대 및 의료 불균형 해소 11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