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학술대회 프로그램 2

목차 3

한국고전서사 속 여성의 모성과 자기돌봄 / 남기민 4

1. 들어가며 4

2. 모성의 왜곡과 '자기돌봄'의 필요성 5

1) 두 가지 측면의 모성 5

2) 자기돌봄과 여성 주체성 7

3. 고전서사 속에서 찾은 모성과 자기돌봄의 양상 8

1) 모성의 재인식과 주체적 돌봄의 실현 8

2) 주체적 돌봄의 기반으로서 자기돌봄 12

4. 나가며 15

토론 / 이경화 18

1. 돌봄의 전제조건으로서의 자기 돌봄 18

2. 당금애기와 경험적 돌봄의 전수 18

3. 자기돌봄과 황후 책봉의 관계 19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본 남녀 화자별 구비설화 전승 양상의 차이 -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를 대상으로 / 한유진 20

1. 서론 20

2. 텍스트 데이터 분석 과정 23

3. 남성화자와 여성화자의 전승 유형 비교 24

3.1. 유래담 26

3.2. 가족담 27

4. 결론[내용없음] 20

참고문헌 34

토론 / 박시언 36

호랑이 설화에 나타난 죽음과 성(性) -〈아래 입으로 물리친 호랑이〉와 〈좆총으로 물리친 호랑이〉를 중심으로- / 김현희 39

1. 서론 39

2. 자료 및 서사 정리 41

3. 타나토스와 정면승부한 에로스 44

4. 문명과 육담 47

5. 결론 50

참고문헌 51

토론 / 김순재 52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불교 천도공간 자기화 전략과 수용의 종교문화사적 맥락-서울지역본 '귀환' 장면을 중심으로 / 조보윤 53

1. 머리말 53

2. 서울지역본의 불교 천도공간 수용 양상 54

3. 불교 천도공간 수용의 자기화 전략 59

3.1. 구조화 측면 59

3.2. 의미화 측면 61

4. 불교 천도공간 수용에 따른 무가 개편 시기 62

5. 나가며: 수용의 종교문화사적 맥락 66

참고문헌 68

토론 / 이원영 70